Abstract
Recently our government has presented the realization of 'Creative Economy' as a primary goal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hrough encouraging start-ups and ventures. Activ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an important task for a national job creation and entrepreneurship activation policy. Since 2012, as a mid and long term project,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has led to activate creativ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culture within university by installing entrepreneurship centers respectively in 61 universities. In this study, we provide future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subject and policy implic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center operation and 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we will examine the program and condition of successful entrepreneurship centers in overseas universities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can enhance domestic entrepreneurship center development and operational effectiveness by analyzing 61 university-entrepreneurship center survey. First, primary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survey focusing 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enters, entrepreneurship education, startup support for students and entrepreneurship culture activation to proceed with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this case study, we expect to be able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entrepreneurship center and the nurture of creative entrepreneurial young generation.
현 정부는 벤처 및 창업 활성화를 통한'창조경제'실현을 주요 정책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러한 창조경제의 구현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창업정책 활성화를 위해서 창업교육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는 2012년부터 중장기적인 발전과제로 전국 61개 대학에 창업교육센터를 설치하여 창업문화 확산 및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지원사업 초기 61개 대학에 설치된 창업교육센터 운영현황 및 실태조사를 통해 창업 관련 분야의 정책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해외 선진국의 창업교육센터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창업교육센터 운영현황 및 실태조사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국내 창업교육센터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창업교육센터의 조직구성 및 운영 현황, 창업교육 강좌현황, 학생창업 지원 및 창업문화 확산 등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효과적인 운영 및 창의적인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