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edia Property of Timelapse

타임랩스 영상의 미디어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정규형 (청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6.11.01
  • Accepted : 2016.12.05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imelapse which was appeared Georges Mellieoseu in 1897 was not familiar to people and was not popular in film or broadcast industry in spite of long history. But about 5 years ago, timelapse has become distinguished in all around image art, because it show us aesthetic extraction of time and variation of color in Vimeo and Youtube which neve been seen before. So nowadays latest camera has come out with default menu which can shoot timelapse. But popularity of timelapse seem not development of cinematography technique or appearance of new function but production of image which reflects ages of present with fully accept digital media property. This study is approached from two formative characteristics. First it is strengthen of time which is showed timelapse and analog media from a comparison angle. Second, it is how to extend their sense and imitate images through resolution which can be possible high quality image and color especially with Raw data Through these methodology, this study defines correlation of character of digital media and artistic value of images in timelapse. And also it cleary assures the era of penetrating art has not only visual amusement as known but, also representative value of our ages and technology of media.

1897년 조르쥬 멜리어스에 의해 등장했던 타임랩스는 그 오랜 역사와는 별개로 대중들에게 그렇게 익숙하거나 인기 있는 영상은 아니었고, 그 기조는 최근까지도 이어져왔다. 그러나 5-6여 년 전 Vimeo나 Youtube 등에서 시간의 미적 추출과 색의 변주라는 디지털 미디어적인 접근을 통해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시각적 충격을 전해주면서 영상 예술의 전면에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의 카메라에는 대부분 타임랩스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들이 기본 메뉴로 포함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인기 이면에는 촬영기법론적인 놀라운 발전이나 신개념이 등장한 것이 아니라, 현재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미디어인 디지털의 특성을 타임랩스가 온전히 수용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이미지들을 생산해냈기 때문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는 타임랩스라는 영상에서 보여 지는 디지털 미디어적인 특성들을 두 가지 조형 요소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 번째는 타임랩스에서 보여 지는 '시간의 강화'라는 영상미가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서 구현되는 방법론을 통해 아날로그미디어와의 비교 측면에서 그 특성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는 압도적인 고퀄리티 이미지를 가능하게 하는 해상도와 색상의 측면에서 타임랩스가 인간의 시각이라는 감각을 어떻게 확장하여 이미지에 전사하였는지에 대해 Raw 데이터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특성과 타임랩스에서 보여 지는 영상미의 상관관계를 정의하고, 시대를 관통하는 예술에는 시각적 유희만이 아닌 시대를 대변하는 가치관과 미디어론적 기술론이 바탕이 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선의, 최호천,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미진사, 1989, p.23.
  2. 들뢰즈, 이정하 역, 시네마 II 시간-이미지, 시각과 언어, 2005, pp.61-98.
  3. 키트레이번, 나호원 역, 애니메이션북, 민음사, 2003, p.91.
  4. 허버트 제틀러, 박덕춘 정우근 역,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p.43.
  5. 김은주, 영상서사구조와 시간조작에 대한 연구, 전북대학교 디자인학연구, 2007, p.69.
  6. 왕성현, 타임랩스 기법을 이용한 영상제작에 대한 연구-작품 'Time Remapper'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p.6.
  7. 시사상식사전, "타임랩스,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4696&cid=43667&categoryId=43667, 2016.07.03.
  8. 위키디피아, "타임랩스 포토그라피", https://en.wikipedia.org/wiki/Time-lapse_photography, 2016.07.12.
  9. 위키백과, "스톱모션",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6%B1_%EB%AA%A8%EC%85%98, 2016.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