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MPSAT-3 위성영상 기반 양식시설물 자동 검출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Prototype System for Aquaculture Facility Auto Detection Using KOMPSAT-3 Satellite Imagery

  • 김도령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김형훈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김우현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류동하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강수명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정윤재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KIM, Do-Ryeong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C&I Co., Ltd.) ;
  • KIM, Hyeong-Hun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C&I Co., Ltd.) ;
  • KIM, Woo-Hyeon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C&I Co., Ltd.) ;
  • RYU, Dong-Ha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C&I Co., Ltd.) ;
  • GANG, Su-Myung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C&I Co., Ltd.) ;
  • CHOUNG, Yun-Jae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C&I Co., Ltd.)
  • 투고 : 2016.09.02
  • 심사 : 2016.12.02
  • 발행 : 2016.12.31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삼면이 바다와 접해있는 반도형태의 국가로 과거부터 해양수산물에 대한 양식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양식시설물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생산량에 대한 조사하고 있으며, 조사된 자료를 기반으로 생산물에 대한 가격책정을 수행하여 내수 어족자원을 안정화하고 어민생활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양식시설물의 조사는 매년 항공사진 기반의 수동 디지타이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활용한 수동 디지타이징은 양식시설물 별 종류에 따른 특징과 시설물 운용 여부 등을 알고 있는 전문가의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정확한 구획이 수행된다. 그러나 항공사진의 활용은 생육주기가 다른 양식자원들을 모니터링하기에는 경제적, 시간적 한계가 있으며, 전문가의 지식기반 구획 역시 다수의 전문 인력 등이 투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관측 대상지에 대한 대단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위성영상을 바탕으로 양식장에 대한 외곽정보 자동으로 검출하는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에 사용되는 위성영상은 국내 고해상 위성인 KOMPSAT-3 위성영상 13 Scene을 양식시설이 주로 이용되는 10월에서 4월 사이에 신규 촬영하여 사용하였다. 양식시설의 검출은 가두리식, 연승식, 부류식 양식시설을 검출하였으며 검출 방법은 영상 처리를 통한 ANN 분류기법 및 Polygon 생성기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양식시설 검출율은 약 93% 정도로 나타났다. 위성영상 기반의 양식시설물 외곽정보 검출은 기존 항공사진이 가지는 모니터링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가 양식시설을 탐지하고 판독하는 데 있어 유용하게 지원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양식장 시설물별 분류 및 영상 처리 기법의 적용을 통해 양식장 시설물 검출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해당 시스템을 통해 양식시설물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관련 의사결정 지원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quaculture has historically delivered marine products because the country is surrounded by ocean on three sides. Surveys on production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to systematically manage aquaculture facilities. Based on survey results, pricing controls on marine products has been implemented to stabilize local fishery resources and to ensure minimum income for fishermen. Such surveys on aquaculture facilities depend on manual digitization of aerial photographs each year. These surveys that incorporate manual digitization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graphs can accurately evaluate aquaculture with the knowledge of experts, who are aware of each aquaculture facility's characteristics and deployment of those facilities. However, using aerial photographs has monetary and time limitations for monitoring aquaculture resources with different life cycles, and also requires a number of exper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 automatic prototype system for detecting boundary information and monitoring aquaculture facilities based on satellite images. KOMPSAT-3 (13 Scene), a local high-resolution satellite provided the satellite imagery collected between October and April, a time period in which many aquaculture facilities were operating. The ANN classification method was used for automatic detecting such as cage, longline and buoy type. Furthermore, shape files were generated using a digitizing image processing method that incorporates polygon genera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our newly developed prototype method detected aquaculture facilities at a rate of 93%. The suggested method overcomes the limits of existing monitoring method using aerial photographs, but also assists experts in detecting aquaculture facilities. Aquaculture facility detection systems must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rough application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classification of aquaculture facilities. Such systems will assist in related decision-making through aquaculture facility monito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Cho Y.S., S.J. Hong, H.C. Kim, W.J Choi, W.C. Lee, and S.M. Lee. 2010. Development of bivalve cultu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for oyster aquaculture in GeojeHansan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6(1):11-20 (조윤식, 홍석진, 김형철, 최우정, 이원찬, 이석모. 2010.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에 대한 GIS 기반 어장관리시스테 개발.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6(1):11-20).
  2. Jeollanamdo. 2015. Fisheries Statistics. pp. 45-51 (전라남도. 2015. 해양수산 통계. 45-51쪽).
  3. Jo. M.H. 2011. Measuring the quantities of aquaculture farming facilities for seaweed, ear shell and fish using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2):147-161 (조명희. 2011. 고해상 항공영상을 활용한 김, 전복, 어류 양식장 시설량의 산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2):147-161).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2.147
  4. KAMI(Korea Association of Marine Industry). 2015. SEA & Monthly Magazine for the Blue Ocean. http://www.webzinesean.kr/html/main/view.php?idx=160&keyword=&keyfield=&s_category=(Acessed August 22, 2016).
  5. KARI(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2016. http://www.kari.re.kr/kor/sub03_02_01.do (Acessed September 30, 2016).
  6. Park J.H. and Y.C. Suh. 2013. GIS-based suitable site selection for aquaculture using scope for growth of styela clava.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81-90 (박정현, 서용철. 2013. GIS 기반 미더덕 SFG(Scope for Growth)를 이용한 양식장의 적지선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81-90).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081
  7. Park J.S., W.H. Lee, and M.H. Jo. 2016. Improving accurac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river basins using Landsat -8 OLI image, vegetation index, and water index.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2):98-106 (박주성, 이원희, 조명희. 2016. Landsat-8 OLI 영상과 식생 및 수분지수를 이용한 하천유역 토지피복분류 정확도 개선.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9(2):98-106). https://doi.org/10.11108/kagis.2016.19.2.098
  8. Park. S.E., W.J. Choi, W.C. Lee, J.H. Koo, R.H. Jung, and J.S. Park. 2004. Construction of the fishing ground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3):90-98 (박성은, 최우정, 이원찬, 구준호, 정래홍, 박종수. 2004. GIS를 이용한 양식어장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90-98).
  9. Statistics Korea. 2012. Survey on the status of fish culture. pp. 29-31 (통계청. 2012. 어류양식동향 조사. 29-31쪽).
  10. Yang C.S. and S.W. Park. 2006. Facilities analysis of laver cultivation grounds in Korean coastal waters using SPOT-5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9(3):168-175 (양찬수, 박성우. 2006. SPOT-5 위성영상에 의한 2005년 한국 연안 김 양식장의 시설현황 분석.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3):168-175).
  11. Yang J.Y., J.S. Lee, I.S. Han, Y.K. Choi, and Y.S. Suh. 2012. Seawater temperature variation at aquafarms off Wando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8(6):514-519 (양준용, 이준수, 한인선, 최용규, 서영상. 2012. 완도 양식장 해역의 수온변동.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8(6):514-519). https://doi.org/10.7837/kosomes.2012.18.6.514
  12. Yang J.Y., Y.S. Suh, Y.K. Choi, K.K. Jung, H.D. Jeong, and J.S. Park. 2007. Development of real-time ocean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platforms of aquaculture farm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2):46-56 (양준용. 서영상. 최용규. 정규귀. 정희동. 박종수. 2007. 양식장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해양환경 정보제공시스템 개발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46-56).

피인용 문헌

  1. Safe Navigation Distance Between Marine Routes and Aquaculture Farms in South Korea Using Gaussian Mixture Model vol.20, pp.5, 2020, https://doi.org/10.3390/s20051246
  2.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mapping sea farms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ry vol.41, pp.15, 2020, https://doi.org/10.1080/01431161.2019.17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