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finition and Division in Intelligent Service Facility for Integrating Management

지능화시설의 통합운영관리를 위한 정의 및 구분에 관한 연구

  • PARK, Jeong-Woo (Engineering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yungSung University) ;
  • YIM, Du-Hyun (Engineering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yungSung University) ;
  • NAM, Kwang-Woo (School of Civil, Urba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
  • KIM, Jin-Young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정우 (경성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
  • 임두현 (경성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
  • 남광우 (경성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 ;
  • 김진영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6.09.26
  • Accepted : 2016.10.01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Smart City is urban development for complex problem solving that provides convenience and safety for citizens, and it is a blueprint for future cities. In 2008, the Korean government defined th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government support of U-Cities in the legislation, Act on the Construction, Etc. of Ubiquitous Cities (Ubiquitous City Act), which included definitions of terms used in the act. In addition,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established a "ubiquitous city master plan" considering this legislation. The concept of U-Cities is complex, due to the mix of informatization and urban planning. Because of this complexity, the foundation of relevant regulations is inadequate, which is impeding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ractical plans. Smart City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are not easy to define and classify, because technology is rapidly changing and includes various devices for gathering and expressing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the legal definition of the intelligent service facility, which is necessary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on U-City were analyzed using text-mining techniques to identify insufficient legal definitions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Using data gathered from interviews with officials responsible for constructing U-Citie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generated by implementing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at the field level. This strategy should contribute to improved efficiency management, the foundation for building integrated utilization between departments. Efficiencies include providing a clear concept for establishing five-year renewable plans for U-Cities.

스마트시티는 날로 복잡해지는 도시문제 해결 및 시민들의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위한 도시차원의 방법론이자 미래 도시의 청사진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2008년 이후 한국 정부는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이하 유시티법, 현재 스마트시티로 명칭 변경 및 법 개정 중)을 제정하여 스마트시티의 건설 및 관리에 관한 내용과 정부지원방안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장관은 스마트시티의 효율적인 건설을 위하여 유시티법에서 정한 사항을 고려하여 법에 따라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에 관한 개념은 정보화계획 측면과 도시계획 측면의 혼재로 인하여 통합관리 측면의 어려움은 물론 법규 정립의 미흡함으로 인해 실무단계에서도 다부처간의 협력적 계획의 설정 및 구현을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시티의 지능화시설은 다양한 정보 수집 및 표출 장비가 포함되어 있고 기술의 빠른 변화로 인해 정의 및 분류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지능화시설의 통합관리운영 측면에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지능화시설의 법적 정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지능화시설의 법적 정의의 미흡함을 파악하기 위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해 상위 법 및 지자체들의 관련 조례를 분석 하였다. 또한, 스마트시티 관련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실무적 차원의 지능화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따른 실행적 차원의 문제점 및 법적 분류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활용도 측면을 고려한 지능화시설의 분류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차후 각 도시들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유비쿼터스 도시계획을 수립 시 명확한 개념의 제공을 통해 다 부서간의 통합 활용을 위한 기반구축 등 관리 효율성 증대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hoi, N.H. 2004. Spatial characteristics of ubiquitous computing and implementation of U-City. Urban Affairs 39(427):62-78 (최남희. 2004. 전자정부와 디지털 도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공간적 특성과 U-도시의 구현. 도시문제 39(427):62-78).
  2. FTC(Federal Trade Commission). 2015. Internet of things, privacy & security in a connected world. FTC Staff Report. p.1.
  3. IBM(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2010. Smarter cities for smarter growth. IBM Global Business Service Executive Report. pp.1-3.
  4. ISTAG(The Information Society Technologies Advisory Group). 2009. Revising Europe's ICT strategy. p.34.
  5. Jo, S.S., S.H. Lee, and Y.T. Leem. 2015. An analysis on the evolutionary characteristics of Ubiquitous City through evolutionary map of Ubiquitous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2):75-91 (조성수, 이상호, 임윤택. 2015. 유시티 진화 지도를 통한 유시티 진화 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2):75-91).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2.075
  6. Joung, Y.B. 2009.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 law concerning building Ubiquitous City and laws concerning country-city development. Public Land Law Review. 45:129-151 (정연부. 2009.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의 기능적 지위와 국토.도시개발법제와의 관계. 토지공법연구. 45:129-151).
  7. KISTEP(Korea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16. Policy direction of domestic and forign's IoT. KISTEP InI. vol.13. pp.20-2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추진 방향. KISTEP InI. 제13호 20-21쪽).
  8. KLID(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13 loc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pp.226-471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13. 2013년 지역정보화백서. 226-471쪽).
  9. Lee, J.S. 2006.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vices types and CSFs. Master's thesis. Dankook Univ., Yongin, Korea. (이종승. 2006. 유비쿼터스 서비스 유형과 핵심성공요인과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0. Moon, T.H., D.H. Kim, N.H. Choi, and J,H. Jeon. 2002. A study on the vision and strategy for building Ubiquitous Cities.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p.66-68 (문태훈, 김동환, 최남희, 전재호. 2002. '차세대 고도 정보화모델도시' 구상 및 대응전략 연구. 정보통신부. 66-68쪽.).
  11. NIA(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5. IoT requirement and market trends. IT & Future Strategy Report. vol.15. pp.13-2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사물인터넷 수요 및 시장동향. IT & Future Strategy 보고서. 제15호 13-26쪽).
  12. NIPA(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13. Internet of Things Industry key trends. International ICT R & D policy trends vol.6 pp.102-115(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3. 사물인터넷 산업의 주요 동향. 해외 ICT R&D 및 정책동향. 제6호 102-115쪽).

Cited by

  1. 지능화시설의 통합운영 방안 vol.20, pp.1, 2016,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