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in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특성에 따른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 분석

  • Received : 2016.11.15
  • Accepted : 2016.12.27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in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included 63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the 3-months online gifted program. Participants volunteerly surveyed 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subjects, self-efficacy of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T-test, ANOVA, and M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tudents'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n variou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overall, participants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gifted program positively; (2) participants perceived the satisfaction of the online gifted program positively. In specific, they perceived system satisfaction higher than interaction satisfaction. (3)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impacted on both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ere grade, self-efficacy of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uggestion for the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영재교육 수강생의 성별, 학교급, 수강과목, 인터넷 수업에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K 영재교육원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이수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630명(남학생 402명, 여학생 228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연구에 사용되었던 연구도구를 수정, 보완하였고, 인구배경학적 특성을 포함하여 총 48문항이 제시되었다.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배경변인에 따라 두 독립표본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도 대체로 만족하는 수준이었고,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제만족도가 상호작용만족도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학교급, 인터넷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온라인 영재교육을 위해 필요한 콘텐츠 및 프로그램 요소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2002). 대학 교실수업 병행 웹 기반 가상수업에서 수업효과 요인분석: 사례연구. 고등교육연구, 13(2), 1-27.
  2. 강숙희 (2003). 사이버수업 운영유형과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9(4), 209-228.
  3. 강숙희, 조석희, 금미라 (2000). 사이버 영재교육의 가능성 탐구를 위한 사례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6(1), 49-70.
  4. 강완, 박만구 (2009). 멘토링 프로그램을 활용한 영재교육의 탐색. 과학영재교육, 1(2), 33-49.
  5. 구재훈, 전용주, 김태영 (2016). 초등 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CT-CPS 프레임워크 기반 수업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교육, 27(2), 339-357.
  6. 권성호, 강경희, 방선희 (2006).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와 효과성 분석: 학생, 교사, 학부모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4), 105-130.
  7. 김경숙 (1998). 인터넷 학습자료의 제시유형과 자기규제 학습수준이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8. 김미량, 김진숙 (2007).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및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0), 44-58.
  9. 김현욱 (2015).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 환경, 학습자 요인, 학습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정보화정책, 22(2), 75-92. https://doi.org/10.22693/NIAIP.2015.22.2.075
  10. 김홍원 (1996). 자율 학습 능력의 개념 정립 및 신장 방법 탐색. 사회과교육, 29, 315-342.
  11. 나일주, 성은모 (2005).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학습게시판에 나타난 메시지 유형별 정서적 표현의 내용요인 분석. 평생학습사회, 1(1), 49-70.
  12. 류숙희, 서정희, 구양미 (2011). 초등 사이버가정학습 운영 실태 및 효과 인식, 만족도, 개선방안탐색: 경기도 사이버가정학습 다높이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4), 397-420.
  13. 문병상 (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14. 미래창조과학부 (2013).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13-'17).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15. 박성희, 주영주, 봉미미 (2007).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연구. 교육공학연구, 23(3), 59-87.
  16. 박은영 (2007). 영재들의 지식공유와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구성주의적 e-Mentoring 시스템의 조건 분석 및 설계. 중등교육연구, 55(2), 81-111.
  17. 배영권, 고대권 (2008).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에 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3), 253-265.
  18. 교육인적자원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분석 방법론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9. 성은모, 진성희, 유미나 (2016).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지원을 위한 학습데이터 탐색 연구. 교육공학연구, 32(3), 487-533.
  20. 송효완, 이정화, 황진숙, 박병기 (2016).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동기 비교: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30(2), 315-344.
  21. 신민, 안도희 (2014). 영재와 평재의 자기조절 전략에 미치는 요인: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4(5), 877-892. https://doi.org/10.9722/JGTE.2014.24.5.877
  22. 신봉호, 임경희 (2007).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의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교육, 16(4), 119-129.
  23. 심규철, 박종석, 육근철 (2001). 사이버 상에서 과학영재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 방법 및 프로그램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11(3), 69-84.
  24.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5. 이선순, 이홍석 (2005). 원격교육 대학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비교 분석. 평생학습사회, 1(1), 131-150.
  26. 이성혜, 최경애 (2016). 온라인 수학 . 과학 영재교육에서 중학생의 학습과제에 대한 지각과 도전감, 심층학습 및 성취도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189-212.
  27.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28. 이영 (2011).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9. 이영, 박인우 (2012). 사이버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8(1), 137-168.
  30. 이응규, 이종기 (2006). e-learning에서의 학습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16(1), 1-21.
  31. 이재호 (2002). 과학영재를 위한 전자교재 개발현황 및 활용방안. 한국영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1-91.
  32. 이재호 (2006). 과학영재를 위한 e-Learning 콘텐츠 설계 방법론.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9, 125-113.
  33. 이재호 (2009). 사이버영재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검증. 영재교육연구, 19(1), 116-137.
  34. 이정민, 윤석인 (2011).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자 동기, 교수실재감, 학습몰입의 예측력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12(1), 141-166.
  35. 이지연 (2006). 사이버강좌에서의 학습자 참여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9(4), 27-61.
  36. 이지혜 (2010).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48(2), 67-92.
  37. 전용주, 김태영 (2015). 초등 정보영재의 창의적 인성 함양을 위한 체험중심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사이버 교수 . 학습의 설계 및 적용. 한국초등교육, 26(4), 477-494.
  38. 정용란, 우애자 (2006). 사이버가정학습의 이용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중학교 과학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4), 131-155.
  39. 조규락 (2007).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및 효과성 인식 분석: 경상북도 사이버가정학습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3), 159-188.
  40. 채유정, 이성혜 (2015).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 차이분석. 영재교육연구, 25(6), 905-926.
  41. 최경애, 이성혜 (2015).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중학생 튜터 역할에 대한 인식이 심층학습, 학업성취, 수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5(6), 857-879.
  42. 최경애, 이성혜, 채유정 (2016).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학습자의 교수실재감, 수업인식, 학습결과간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2), 381-408.
  43. 최종홍, 박기순, 이종연 (2008).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분석을 위한 교육적 평가 모델 설계.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6), 65-76.
  4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교육정보화백서.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45. 홍경선, 오종철 (2008).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및 효과성 인식 분석: 전라북도사이버가정학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2), 423-447.
  46. Artino, A. R. (2008). Promoting academic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Practical guidelines for online instructors. Techtrends. Linking Research & Practice to Improve Learning, 52(3), 37-45.
  47.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48. Colley, A., & Comber, C. (2003).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computer use and attitude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What has changed? Educational Research, 45(2), 155-165. https://doi.org/10.1080/0013188032000103235
  49. Chae, Y., & Gentry, M. (2011). Gifted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and motivational construc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igh Ability Studies, 22(1), 103-118. https://doi.org/10.1080/13598139.2011.577275
  50.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ed.). Boston, MA: Pearson.
  51. Hargittai, E., & Shafer, S. (2006). Differences in actual and perceived online skills: The role of gender. Social Science Quarterly, 97(2), 432-448.
  52. Hartung, P. J., Porfeli, E. J., & Vondracek, F. W. (2008). Career adaptability in childhood. The Career Development Quaterly, 57(1), 63-74.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8.tb00166.x
  53. Imhof, M., Vollmeyer, R., & Beierlein, C. (2007). Computer use and the gender gap: The issue of access, use, motivation, and performa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6), 2823-2837. https://doi.org/10.1016/j.chb.2006.05.007
  54. Liaw, S. S. (2008) Investigating students' perceived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effectiveness of e-learning: A case study of the Blackboard system. Computers & Education, 51(2), 864-873. https://doi.org/10.1016/j.compedu.2007.09.005
  55. McCoy, C. W. (2001).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 learning, technolog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in a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Alabama.
  56. Moon, S. M., Kolloff, P., Robinson, A., Dixon, R, Oc Feldhusen J. R (2009). The Purdue Three-Stage Model. In J. S. Renzulli, E. J. Gubbins, K. S. McMillen, R. D. Eckert, Oc C. A. Little (Eds.),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2nd ed., pp. 289-322).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57. Nedelko, Z. (2008). Participants'characteristics for e-learning. E-leader conference, June, Krakow.
  58. Pintrich, P. R.,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59. Puzziferro, M. (2008). Online technologies self 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predictors of final grade and satisfaction in college-level online courses.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22(2), 72-89. https://doi.org/10.1080/08923640802039024
  60. Ritzhaupt, A. D., Liu, F., Dawson, K., & Barron, A. E. (2013). Differences in stud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iteracy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ethnicity, and gender: Evidence of a digital divide in Florida School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5(4), 291-307. https://doi.org/10.1080/15391523.2013.10782607
  61. Shashaani, L. (1997). Gender differences in computer attitudes and use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6(1), 37-51. https://doi.org/10.2190/Y8U7-AMMA-WQUT-R512
  62. Schunk, D. H. (1989). Self efficacy and achievement behavior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13), 173-208. https://doi.org/10.1007/BF01320134
  63. Song, L., & Hill, J. R. (2007). A conceptual model for understanding self-directed learning in online environments. Journal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6(1), 27-42.
  64. Wang, A. Y., & Newlin, M. H. (2002). Predictors of Web-Student Performance: the role of self- efficacy and reasons for taking an on-line cla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8(2), 151-163. https://doi.org/10.1016/S0747-5632(01)00042-5
  65.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