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gnitive Frame of the Expert on Musically Talented in the Pop Music Audition Program

대중가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음악영재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지프레임 분석

  • Received : 2016.11.15
  • Accepted : 2016.12.27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ognitive frame of the expert on musically talented in the Pop music audition program. Consequently, this article found that each expert has difference priority. Myself(PA), voice(YA), tune(YO) are used frequently. In comparison with standard frame, all experts refer to creative area in priority. But, they lack in motive area. Also, there are areas which don't treat in standard frame. And to conclude, pop music audition program has creative and personal characteristic. If not, it doesn't give prominence to differentiated messages and last in the global marke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Firstly, it needs devices that support areas which fall short of selection. Secondly, it requires new frame which modifies the details of standard frame.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가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전문가들의 음악영재에 대한 인지프레임을 분석해보는 데 있다. 연구결과 각 전문가는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전문가는 본인(PA), 목소리(YA), 톤(YO)을 자주 사용하였다. 기준 프레임에 의한 분석 결과 세 명의 심사위원 모두 창의성영역을 중심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세 명 모두 부족한 영역은 동기 영역이었다. 또한, 기준프레임에는 제시가 되어 있으나, 다루지 않은 소영역들도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중가요 오디션 프로그램이 창의적인 영역과 본인만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더욱 중요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글로벌 시장을 생각하여 차별화된 메시지를 부각시켜야하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무대 밖의 모습도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심사 내용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00). 영재교육진흥법 법률 제6215호. 서울: 교육부.
  2.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검색일: 2016. 3. 13).
  3. 김용학 (2011).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4. 심준섭 (2011). 언어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한 갈등 프레임의 분석. 한국정책연구, 20(2), 183-212.
  5. 원영실 (2010). 음악 영재 진단평가 모형 개발: 국악 및 서양음악 분야. 연구보고서 2010-12.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6. 원영실 (2013). 예술영재성의 의미와 특성: 음악, 전통예술, 발레 분과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3(6), 919-945. https://doi.org/10.9722/JGTE.2013.23.6.919
  7. 이미경 (2005). 최근에 일고 있는 음악영재교육에 대한 몇 가지 제안. 음악과 민족, 29, 255-256.
  8. 이준기, 하민수 (2012).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적' 의미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23-840.
  9. 정덕호, 조규성, 유대영 (2013). 소집단 활동에서 과학 영재들의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48-161. https://doi.org/10.5467/JKESS.2013.34.2.148
  10. 최은식 (2003). 음악영재, 예술영재교육 육성계획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1. 태진미 (2009). 국내 음악영재교육의 현황 및 발전방안 탐색. 영재교육연구, 19(3), 729-758.
  12. 현경실 (2006). 음악영재의 이해와 선발. 서울: 민음사.
  13. ArtsConnection. (1997). New Horizons. Report to the Jacob Javits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education program. New York: Author.
  14. Bonacichi,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5), 1170-1182. https://doi.org/10.1086/228631
  15. Haroutounian, J. (2002). Kinding the spark-recognizing and developing musical talent. NY: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