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M. J. Donahue and P. L. Benson, "Religion and the well-being of adolescents," Journal of Social Issues, Vol.51, No.2, pp.145-160, 199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95.tb01328.x
- P. E. Paloutzian and C. W. Ellison,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2.
- 이만식, 한국인들의 정신건강, 소진, 영적안녕에 대한 의식조사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제3회 바른신학 균형 목회 세미나 보고서, 2009.
- A. P. L. Chng, The impact of burnout and spiritual well-being on the job satisfaction of pastor within the methodist church in Singapore, Unpublished Manuscript, Asbury Theological Seminary, 2012.
- 김상태, 재림교회 목회자의 바람직한 부인상과 목회현장에서의 사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장미선, 이유진, 조현정, "목회자 사모의 DACUM 직무분석과 교회비서와의 비교연구," 비서학논총, 제20호 pp.79-103, 2011.
- 오원택, 인지요법을 활용한 목회자 사모의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장은진,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상담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6호, pp.187-210, 2008.
- S. R. Polly, G. G. Hildy, and E. S. Gary, "Alleviating stress in clergy wives," The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Vol.9, No.1, pp.35-58, 2006. https://doi.org/10.1300/J515v09n01_03
- 김영경, "목회자 아내들의 심리적 안녕과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기독교상담학회지, 제12권, pp.92-116, 2006.
- 김나미,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영적 안녕감의 관계 분석,"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252-261, 2014.
- 김광미, 기독교인의 영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감사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신수옥,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서경현, 정성진, 구지현, "대학생의 영적 안녕과 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5호, pp.1077-1095, 2005.
- A. E. Bergin,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A critical reevaluation and meta 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14, pp.170-184, 1983. https://doi.org/10.1037/0735-7028.14.2.170
- R. D. Hayward and N. Krause, Religion,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ocial aspects, In V. Saroglou(Ed.), Religion, personality, and social behavior, pp.255-280,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 김나미, 김신섭,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753-772, 2013.
- 이옥형,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9-57, 2012.
- 반신환, "사모에 대한 목회상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7호, pp.291-312, 2000.
- 김지영, 극동방송 두란노 수강생 설문, 국민일보 2006년 4월 26일.
- J. Hammermeister and M. Peterson, "Does spirituality make a difference? Psychosoci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well-being," Americ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Vol.32, No.5, pp.293-297, 2013. https://doi.org/10.1080/19325037.2001.10603485
- P. Van Cappellen, M. Toth-Gauthier, V. Saroglou, and B. L. Fredrickson. "Religion and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December 2014.
- 설경옥, 박지은, 박선영.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메타분석: 국내 학회지 게재논문(1995-2011)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3호, pp.617-642, 2012.
- 박지아, 적응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 애착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서경현, 전겸구,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9권, 제2호, pp.333-350, 2004.
- 이미숙, 남정훈, 이인화, "대학운동선수의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5권, 제3호, pp135-150, 2011.
- 김희선, 전요섭, "기독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복음과 상담, Vol.22, No.4, pp.153-183, 2014.
- 장진용, 결손가정 청소년의 기독교 인지 행동 프로그램 경험이 자존감과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박미하, "성격 강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517-1533, 2013.
- 김철섭, 기독교인의 내외통제성 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영적 안녕감의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D. H. Gardner and T. J. Parkinson, "Optimism, self-resilience, and social, or is it support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s among workload, stress and wellbeing in Veterinary students," Journal of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Vol.38, No.1, pp.60-66, 2011. https://doi.org/10.3138/jvme.38.1.60
-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 M. Rutter and C. D. Ryff,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47, No.26, pp.1-11, 1985. https://doi.org/10.1192/bjp.147.1.1
- A. S. Masten,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56, pp.227-238, 2001.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27
- 김동일, 김원호, 김명찬, 최선, 이주영, "다시 생각해 본 리질리언스: 외상성 손상 후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적응 결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Vol.12, No.4, pp.1371-1390, 2011.
- K. Reivich, M. E. Seligman, and S. McBride, "Master resilience training in the U. S. Army," American Psychologist, Vol.66, No.1, pp.25-34, 2011. https://doi.org/10.1037/a0021897
-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이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2호, pp.19-39, 2001.
- 김주환,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서울: 위즈덤 하우스, 2011.
- 김세붕, 변상해,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47-459, 2012.
- 황혜리, 서경현, 김지윤, "대학생의 영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6권, 제4호, pp.709-724, 2011.
- 유현우, 청소년의 종교성숙도가 자기통제력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R. A. Emmons and M. E. McCullough,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No.2, pp.377-389, 2003. https://doi.org/10.1037/0022-3514.84.2.377
- R. A. Emmons and T. T. Kneezel, "Giving thanks: Spiritual and religious correlates of gratitude," Journal of Personality and Christianity, Vol.24, No.2, pp.140-148, 2005.
- M. R. Elosua.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Vol.17, No.2, pp.110-118, 2015. https://doi.org/10.1080/19349637.2015.957610
- 손은정, 홍혜영, 이은경,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2호, pp.465-48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