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목회자 사모의 심리적 안녕감이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Spiritual Well-being: Mediating Effe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 투고 : 2015.08.17
  • 심사 : 2015.10.19
  • 발행 : 2016.02.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 사모가 지각한 심리적 안녕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목회자 사모 236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들이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회복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과 .82, 영적 안녕감과는 .63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목회자 사모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 효과는 없었고 회복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심리적 안녕감이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회복탄력성이 매개할 때의 총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이 영적 안녕감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 능력, 대인관계 능력, 긍정성 요인들이 대부분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긍정성이 가장 높은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목회자 사모의 영적 안녕 향상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The survey findings and resulting analysis of the 236 participants measure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piritual well-being,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follow: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piritual well-being. Resilience shows high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resilience, but was not mediated by social support. Lastly, the influence of resilience sub factors(self control cap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ositivity) on spiritual well-being shows that positivity was highly significant.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spiritual well-being for pastors' wives.

키워드

참고문헌

  1. M. J. Donahue and P. L. Benson, "Religion and the well-being of adolescents," Journal of Social Issues, Vol.51, No.2, pp.145-160, 199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95.tb01328.x
  2. P. E. Paloutzian and C. W. Ellison,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2.
  3. 이만식, 한국인들의 정신건강, 소진, 영적안녕에 대한 의식조사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제3회 바른신학 균형 목회 세미나 보고서, 2009.
  4. A. P. L. Chng, The impact of burnout and spiritual well-being on the job satisfaction of pastor within the methodist church in Singapore, Unpublished Manuscript, Asbury Theological Seminary, 2012.
  5. 김상태, 재림교회 목회자의 바람직한 부인상과 목회현장에서의 사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6. 장미선, 이유진, 조현정, "목회자 사모의 DACUM 직무분석과 교회비서와의 비교연구," 비서학논총, 제20호 pp.79-103, 2011.
  7. 오원택, 인지요법을 활용한 목회자 사모의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8. 장은진,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상담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6호, pp.187-210, 2008.
  9. S. R. Polly, G. G. Hildy, and E. S. Gary, "Alleviating stress in clergy wives," The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Vol.9, No.1, pp.35-58, 2006. https://doi.org/10.1300/J515v09n01_03
  10. 김영경, "목회자 아내들의 심리적 안녕과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기독교상담학회지, 제12권, pp.92-116, 2006.
  11. 김나미,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영적 안녕감의 관계 분석,"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252-261, 2014.
  12. 김광미, 기독교인의 영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감사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3. 신수옥,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4. 서경현, 정성진, 구지현, "대학생의 영적 안녕과 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5호, pp.1077-1095, 2005.
  15. A. E. Bergin,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A critical reevaluation and meta 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14, pp.170-184, 1983. https://doi.org/10.1037/0735-7028.14.2.170
  16. R. D. Hayward and N. Krause, Religion,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ocial aspects, In V. Saroglou(Ed.), Religion, personality, and social behavior, pp.255-280,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17. 김나미, 김신섭,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753-772, 2013.
  18. 이옥형,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9-57, 2012.
  19. 반신환, "사모에 대한 목회상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7호, pp.291-312, 2000.
  20. 김지영, 극동방송 두란노 수강생 설문, 국민일보 2006년 4월 26일.
  21. J. Hammermeister and M. Peterson, "Does spirituality make a difference? Psychosoci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well-being," Americ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Vol.32, No.5, pp.293-297, 2013. https://doi.org/10.1080/19325037.2001.10603485
  22. P. Van Cappellen, M. Toth-Gauthier, V. Saroglou, and B. L. Fredrickson. "Religion and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December 2014.
  23. 설경옥, 박지은, 박선영.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메타분석: 국내 학회지 게재논문(1995-2011)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3호, pp.617-642, 2012.
  24. 박지아, 적응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 애착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5. 서경현, 전겸구,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9권, 제2호, pp.333-350, 2004.
  26. 이미숙, 남정훈, 이인화, "대학운동선수의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5권, 제3호, pp135-150, 2011.
  27. 김희선, 전요섭, "기독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복음과 상담, Vol.22, No.4, pp.153-183, 2014.
  28. 장진용, 결손가정 청소년의 기독교 인지 행동 프로그램 경험이 자존감과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9. 박미하, "성격 강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517-1533, 2013.
  30. 김철섭, 기독교인의 내외통제성 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영적 안녕감의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1. D. H. Gardner and T. J. Parkinson, "Optimism, self-resilience, and social, or is it support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s among workload, stress and wellbeing in Veterinary students," Journal of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Vol.38, No.1, pp.60-66, 2011. https://doi.org/10.3138/jvme.38.1.60
  32.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33. M. Rutter and C. D. Ryff,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47, No.26, pp.1-11, 1985. https://doi.org/10.1192/bjp.147.1.1
  34. A. S. Masten,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56, pp.227-238, 2001.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27
  35. 김동일, 김원호, 김명찬, 최선, 이주영, "다시 생각해 본 리질리언스: 외상성 손상 후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적응 결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Vol.12, No.4, pp.1371-1390, 2011.
  36. K. Reivich, M. E. Seligman, and S. McBride, "Master resilience training in the U. S. Army," American Psychologist, Vol.66, No.1, pp.25-34, 2011. https://doi.org/10.1037/a0021897
  37.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이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2호, pp.19-39, 2001.
  38. 김주환,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서울: 위즈덤 하우스, 2011.
  39. 김세붕, 변상해,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47-459, 2012.
  40. 황혜리, 서경현, 김지윤, "대학생의 영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6권, 제4호, pp.709-724, 2011.
  41. 유현우, 청소년의 종교성숙도가 자기통제력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2. R. A. Emmons and M. E. McCullough,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No.2, pp.377-389, 2003. https://doi.org/10.1037/0022-3514.84.2.377
  43. R. A. Emmons and T. T. Kneezel, "Giving thanks: Spiritual and religious correlates of gratitude," Journal of Personality and Christianity, Vol.24, No.2, pp.140-148, 2005.
  44. M. R. Elosua.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Vol.17, No.2, pp.110-118, 2015. https://doi.org/10.1080/19349637.2015.957610
  45. 손은정, 홍혜영, 이은경,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2호, pp.465-48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