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J. J. Arnett and J. L. Tanner, Emerging Adults in America: Coming of Age in the 21st Centur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6.
- 김효정, 정미애,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43-50, 2010.
- R. C. Kessler, P. Berglund, O. Demler, R. Jin, K. R. Merikangas, and E. E. Walters, "Lifetime prevalence and age-of-onset distributions of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es of General Psychiatry, Vol.62, pp.593-603, 2005. https://doi.org/10.1001/archpsyc.62.6.593
- 최우경, 김진숙,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22권, 제1호, pp.1-25, 2014.
- 성민정, 장경자, "일부 지역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6권, 제7호, pp.840-848, 2007. https://doi.org/10.3746/jkfn.2007.36.7.840
- 배욱현, 홍상욱,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7권, 제1호, pp.27-34, 2008. https://doi.org/10.5934/KJHE.2008.17.1.027
- 우채영, 박아청, 정현희,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1호, pp.19-38, 2010.
- 김재엽, 남석인, 최선아, "기혼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 TSL 대처방식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2권, pp.375-308, 2009.
-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coping, adjustment in female adolescent incest victims," Child Abuse & Neglect, No.15, pp.293-305, 1984. https://doi.org/10.1016/0145-2134(91)90073-M
- 조민영, 중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서정진,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와 학교적응수준에서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오성희,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R. H. Billings and Moos,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No.46, pp.877-891, 1984. https://doi.org/10.1037/0022-3514.46.4.877
- 강혜자, "대학생의 지연행동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담론 201, 제15권, 제1호, pp.67-92, 2012.
- 김노은, "대학생의 스트레스, 탄력성, 삶의 질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4호, pp.1-19, 2011.
- S. Howard and B. Johnson, "Tracking Student Resiliency," Children Australia, Vol.24, pp.14-23, 1999.
- 김수안, 민경환,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2호, pp.223-243, 2011.
- 봉원영, "자아탄력성의 이해와 기독교대학에서의 소그룹 활동을 통한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509-52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509
- 이옥형,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9-57, 2012.
- 김민경, "대학생의 가족학대경험, 사회부적응 및 자아탄력성과 일상생활만족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0권, 제1회, pp.1-13,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1.001
- 박병기, 이선영, 송정화,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1호, pp.61-82, 2010.
- 박준성, 박은미, 정태연, "종교성이 일반적 신뢰, 자기-효능감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개신교인과 비종교인의 생활양식 비교," 종교연구, 제55집, pp.159-190, 2009.
- 강성봉, 조성숙, "노인의 종교 활동과 신앙태도가 우울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25-346, 2013.
- 홍성실, 홍정아, 전원희, "간호학생의 영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361-36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361
- 김혜순,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종교성의 매개효과," 종교교육학연구, 제35권, pp.139-158, 2011.
- 유은영,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225-236, 2009.
- L. Underwood and J. Teresi, "The Daily Spiritual Experience Scale: Development, Theoretical Description,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reliminary Construct Validity Using Health-Related Data," The Society of Behavioral Medicine, Vol.24, No.1, pp.22-33, 2002. https://doi.org/10.1207/S15324796ABM2401_04
- R.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ition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05.
- S. Cohen, T. Kamara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Society Behavior, Vol.24, pp.385-396, 1983. https://doi.org/10.2307/2136404
- S. Maroufizade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ersian Version of Perceived Stress Scale (PSS-10) in Adults with Asthma," Archives of Iranian medicine, Vol.17, No.5, pp.361-365, 2014.
- 주소영, 이양희, "청소년용 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03-139, 2011.
- 김신섭, 정구철, "목회자 아내의 자아정체감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영적 체험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42-25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242
-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187-205, 2009.
- J. Anderson and D.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411-423, 1988. https://doi.org/10.1037/0033-2909.103.3.411
- 한금상, 서경현, "경험논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0권, 제1호, pp.235-254, 2015.
- 한수연, 정구철, "경험논문: 남성 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제4호, pp.763-781, 2013.
- 정혜욱, 이옥형,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pp.31-53, 2011.
- 장휘숙, "사회정서발달: 정신병리를 차단하는 요인으로서의 탄력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4권, 제1호, pp.113-127, 2001.
- 이경열, 김정희, 김동원,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4호, pp.711-728, 2003.
- 박준성, 정태연, "한국인의 종교성이 행복, 봉사활동 그리고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종교연구, 제64권, pp.109-135, 2011.
- 이원규, "종교성과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 신학과세계, 제20권, pp.246-299, 1990.
- D. V. Powers, R. J. Cramer, and J. M. Grubka, "Spirituality, life stress, and affective wellbeing,"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Vol.35, No.3, pp.235-243, 2007. https://doi.org/10.1177/009164710703500306
- 서경현, 정성진, 구지현, "대학생의 영적 안녕과 생활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4호, pp.1077-1095, 2005.
- Jr. Kelly, and W. Eugene, Spirituality and religion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Diversity in theory and practice,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1995.
Cited by
-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on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vol.26, pp.3, 2017,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3.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