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is of History Film Viewers' Evaluation: Written History vs. Unwritten History

실재스토리 팩션 영화 대(對) 허구스토리 팩션 영화의 수용자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 <명량, 2014>와 <군도, 2014>를 중심으로

  • 최배석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학과)
  • Received : 2015.12.08
  • Accepted : 2016.01.20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is basically based on a written history but is narrated for an unwritten history with imagination. This study explored whether viewers of tow films and regard them as a real story or an unreal story. Analysis of film contents and data from a nationwide online survey(N = 300) were executed.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viewers consider a true story but a imaginary story. Second, viewers show different ideologial and emcotional evaluation, and strength of memory between two films. Finally, viewers are not likely to evaluate performative value of two history films, which suggest a pluralistic interpretation of history, as they regard the films as an imaginary story or a recreation.

영화 <명량>은 기본적으로 역사적 기록에 근거하고 있으며, 영화<군도>는 기록되지 않은 역사에 대한 새로운 서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재스토리 팩션 영화 <명량>과 허구스토리 팩션 영화 <군도>를 모두 관람한 관객들을 대상으로 영화 콘텐츠 이해와 평가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정성적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전국 단위 설문조사를(N = 300) 통해 보완적 통계분석을 함께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관객은 <명량>을 사실의 이야기로서 <군도>를 상상의 이야기로서 받아들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관객들은 두 영화에 따라 이데올로기적, 감정적 평가를 다르게 하고 있었으며 영화에 대한 상기도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영화를 허구적 이야기 또는 오락적 수단으로 받아들이는 관객일수록 다원주의적 역사 해석이라는 영화의 실천적 가치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봉, 팩션시대 영화와 역사를 중매하다, 프로네시스, pp.57-73, 2006.
  2. Hayden White, "Historiography and Historiophoty,"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93, No.5, p.1194, 1988(12).
  3. 존 버거, 강명구 택, 영상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나남, p.24, 1987.
  4. 양혜정, 재현과 재구성의 영역으로서의 역사기술 영화연구: 후샤오시엔의 역사재현 텍스트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5. 오승현, 대중영화의 판타지적 재현이 역사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6. 배경민, 역사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연구: 1987년 이후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7. 전평국, "영화의 역사화 범주 가능성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35권, 2008.
  8. 김기봉, "팩션(faction)으로서 역사서술," 역사와경계, 제63권, 2007.
  9. 강준만, 대중매체 이론과 사상, 개마고원, p.427, 2002.
  10. 문재철, 영화적 기억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 : 포스트 코리안 뉴웨이브 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 첨단영상전문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66, 2003.
  11. Hayden White, The Content of the Form, Baltimore, pp.4-5, 1987.
  12. 배경민, 역사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18-20, 2008 재인용.
  13. 폴 벤느, 이상길, 김현경 옮김,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새물결, pp.37-62, 2004.
  14. 배경민, 역사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21, 2008.
  15. 안병직, "픽션으로서의 역사: 헤이든 화이트(Hayden White)의 역사론," 인문논총, 제51집, p.51, 2004.
  16. 조지 이거스, 임상우, 김기봉 옮김, 20세기 사학사, 푸른 역사, pp.46-48, 1998.
  17. 헤이든 화이트, 천형균 옮김, 19세기 유럽의 역사적 상상력: 메타역사, 문학과 지성사, 1991.
  18. E. H. 카, 김택현 옮김,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글방, p.50, 2001.
  19. Hayden White, "Historiography and Historiophoty,"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93, No.5, p.1188, 1988(12).
  20. 양혜정, 재현과 재구성의 영역으로서의 역사기술 영화연구: 후샤오시엔의 역사재현 텍스트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39, 2000.
  21. 김기덕, "팩션영화의 유형과 '대중적 몰입의 문제'," 역사문화연구, 제34집, p.455-494, 2009.
  22. Nicholas T. Proferes, Film Directing Fundamentals, 김진섭 역, 영화 만들기의 비밀, 한길아트, p.44, 2007.
  23. 김성곤, 헐리웃20세2기문화의거울, 웅진출판, p.33, 1997.
  24. 김은주, "한국 영화의 예술성과 반사회성 연구," 映像學報, 제1호, pp.123-129, 1989.
  25. 김기봉, "팩션(faction)으로서 역사서술," 역사와경계, 제63권, p.13. 2007.
  26. 장 보드르야르, 하태환 옮김, 시뮬라시옹, 민음사, pp.9-10. 2001.
  27. 김기봉, "팩션(faction)으로서 역사서술," 역사와경계, 제63권, p.89. 2007.
  28. 한스 위르겐 괴르츠, 최대희 옮김,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뿌리와 이파리, pp.148-174, 2003.
  29. 장경재, 역사팩션 영상스토리텔링 유형 연구,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재인용,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