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and Promotion of Local Government Consolidation Plan -Focusing on Andong-si and Yecheon-gun-

지방자치단체 통합의 과제와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안동시와 예천군을 중심으로-

  • 권기창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안동대학교 창조산업연구소)
  • Received : 2015.07.31
  • Accepted : 2015.08.24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Gyeongsangbuk-do moved its provincial office in October, 2015 and has been building a new town with a goal to construct a truly self-sufficient city with the population of 100,000 people before 2027. However, a new town tends to be dualized in terms of its administrative districts, so it is raising a lot of problems regarding from city construction up to operation.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author has selected Si Gun Gu integration that was chosen as a major task to do in 2012 among the basic plans to revise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announced by the promotional committee to reorganize administrative districts as the range of this research and analyzed how it is going on in Andong-si and Yecheon-gun where a provincial office new town is being constructe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regard the theoretical model to reform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basic plans to revise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and necessity and directions for reorganizing administrative districts in Andong-si and Yecheon-gun. Based on that, this author suggests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s a way for a provincial office new town to establish its identity and grow as a sustainable, new growth focus city in Gyeongsangbuk-do.

경상북도는 2015년 10월 도청을 이전하고 2027년 인구 10만의 진정한 자족도시 건설을 목표로 신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신도시는 행정구역이 이원화 되어 있는 관계로 도시건설에서부터 운영에 이르기 까지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행정구역개편 추진위원회에서 발표한 지방행정체제 개편 기본계획 중 2012년 중점 과제로 선정된 시 군 구 통합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도청신도시가 건설되고 있는 안동시와 예천군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이론적 모델, 지방행정체계개편 기본계획, 안동시와 예천군의 행정구역 개편의 필요성과 방향을 분석하여 도청신도시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속가능한 경북의 신 성장 거점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 행정 구역 통합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조동욱, 자립형 지방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85, 2010.
  2. 최창호, 지방행정구역론, 서울:법문사, p.97, 1981.
  3. 최창호, 강형기, 지방자치학, 서울:삼영사, pp.130-131, 2011.
  4. 최창호, 강형기, 지방자치학, 서울:삼영사, p.134, 2011,
  5. Lawrence L. Martin and Jeannie Hock Schiff, "City-County Consolidations :Promise Versus Performance, State and Local Government Review," SAGE, pp.1-11, 2011,
  6. Sally Coleman Selden and Richard W. Campbell, "The Expenditure Impacts of Unification in a small Georgia County: A Contingency Perspective of city-County Consolidation," PAQ Summer, pp.169-201. 2000,
  7. 목영만, 지방행정구역 통합의 영향요인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9, 2015.
  8. 최진혁,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내용과 전망 ; 대안검토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0권, 제3호, pp.234-235, 2009.
  9. http://clad.go.kr/section/board/bbs_view.html
  10. Rosenbaum & Kammerer, Against Long Odds : The Theory and Practice of Successful Governmental Consolidation, Beverly Hills, CA : SAGE, 1974.
  11. 지방행정체제 개편 기본계획, 지장행정체제 개편 추진위원회, pp.6-11, 2012.
  12.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2010.09.16.제정, 2010.10.01.시행
  13. 제3차 경상북도 종합계획(2000-2020년), 경상북도, pp.109-112, 2001
  14. http://www.index.go.kr/potal/main/
  15. http://stat.gb.go.kr/
  16. 남치호, 문태현, 권기창, 성공적인 도청신도시 조성을 위한 홍보 콘텐츠 개발 용역, 경상북도, p.39, 2010.
  17. 영남일보, 2015년 08월 06일
  18. 남치호, 문태현, 권기창, 성공적인 도청신도시 조성을 위한 홍보 콘텐츠 개발 용역, 경상북도, pp.53-54, 2010.
  19. 영주시민신문, 2015년 06월 26일
  20. 제3차 경상북도 종합계획, 경상북도, p.10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