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bor Transi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and the Effects of Perceived Job Stability on Poverty Exit

중·고령층 고용변화 추이와 고용안정성이 탈빈곤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12.18
  • Accepted : 2015.12.29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labor transi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Korea utiliz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Then it estimates the effects of perceived job stability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on poverty exit based on the age group simulation. The outcomes suggest that mid-50s and over are highly vulnerable to early retirement and they suffer from unstable employment and low possibility of re-employment. The logit analysis that simulates the effects of perceived job stability on poverty exit shows that mid-50s are more likely to get off the poverty than 65 and over when they have stable jobs. These implies that labor market policies should be designed in a tailor-made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age group and i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progressive labor policy measures that extends retirement age, that provides with job opportunities to middle-age and elderly, and that links employment and welfare under the umbrella of income security plan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를 활용하여 중 고령층의 연령대에 따른 고용변화 특성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고용안정성의 탈빈곤 효과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의 중 고령층은 조기퇴직 등으로 인해 50대 중반 이후 급격한 고용불안을 경험하며, 이후 재취업이 어려워 향후 노후소득보장 측면에서 위험이 큰 집단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중 고령층의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으며, 고령일수록 고용상 지위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짓분석을 활용하여 중 고령층이 인지하는 고용안정성이 탈빈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65세 이상의 고령자보다 조기퇴직이 시작되는 55세 전후에서 경험하는 고용안정성이 가져오는 탈빈곤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퇴직 전에 충분한 노후준비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단계적인 정년 연장, 중 고령층에 대한 일자리 대책, 부처간 사업의 통합 및 일관성 확보, 연령 및 특성에 맞춘 맞춤형 고용-복지 연계제도의 도입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혜자, 중고령자의 취업구조와 고용서비스 정책과제, 한국고용정보원, 2011.
  2. 금재호, "중장년층의 고용불안과 정년연장," 노동리뷰, 제80권, pp.61-75, 2011.
  3. 김원섭, 우해봉, "국민연금이 중고령 남성의 은퇴에 미치는 효과와 정책적 함의," 사회복지정책, 제35권, pp.111-139, 2008.
  4. 남상호, 가구균등화척도가 상대빈곤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5. 방하남, 어수봉, 이상민, 우규창, 하갑래, 기업의 정년실태와 퇴직 관리에 관한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2.
  6. 석상훈, 김헌수, "노인빈곤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생애 근로이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재정학연구, 제5권, 제3호, pp.99-124, 2012.
  7. 성지미, 안주엽,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제6권, 제1호, pp.39-74, 2006.
  8. 송일호, 박명호, "고령자와 준고령자의 취업결정 요인 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2호, pp.7-26, 2012.
  9. 신현구,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생애 주요 일자리 특성," 노동리뷰, 제45권, pp.62-77, 2008.
  10. 안주엽, "합리적 정년연장과 정책과제," 산업관계연구, 제24권, 제1호, pp.87-108, 2014.
  11. 원시연, "노인사회활동지원(노인일자리)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 과제," 이슈와 논점: 국회입법조사처, 제1040호, 2015.
  12. 유인순, 최수일,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45-26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45
  13. 유태균, 강성민, 정찬미, "중고령자의 자산빈곤 특성 및 자산빈곤이행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5권, 제4호, pp.37-54, 2014.
  14. 이규용, 고령화 및 고학력화와 노동시장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12.
  15. 이기주, 석재은, "국민연금제도가 중고령 남성 임금근로자의 은퇴결정에 미치는 영향,"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1호, pp.55-88, 2011.
  16. 이성균, "중장년층의 취업과'괜찮은 일자리'," 한국사회정책, 제15권, 제2호, pp.181-216, 2009.
  17. 이순아, "노인가구의 소득수준과 공적 노후소득 보장의 국가간 비교," 연금포럼, pp.38-47, 2015.
  18. 이승렬, 최강식, "국민연금이 중고령자의 은퇴 행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보장연구, 제23권, 제4호, pp.83-103, 2007.
  19. 이시균, 이주현, "고용안정성에 관한 특성 분석," 고용이슈, 제2권, pp.112-127, 2008.
  20.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53-26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53
  21. 이채식, 김명식, "중고령 장애인의 취업자와 미취업자간의 제반 특성비교를 통한 취업 결정요인,"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3호, pp.5-34, 2014.
  22. 이태열, 강성호, 김유미, 공.사 사회안전망의 효율적인 역할 제고 방안, 보험연구원, 2014.
  23. 장인성, 고령화가 근속 및 연공인금체계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국회예산처, 2012.
  24. 전병유, 경제위기 전후 고용안정의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2002.
  25. 전용일, 임병인, 박소은, 정년연장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용노동부.한국비용편익분석연구원, 2013.
  26. 정경희, 국제비교를 통해 살펴본 한국노인의 소득 및 빈곤실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27. 정진호, 노동력 고령화와 임금체계 혁신, 노동연구원, 2011.
  28. 지은정, "OECD 15개국 청년고용과 중고령자 고용의 대체관계,"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4호, pp.233-259, 2012.
  29. 최숙희, 강우란, 중고령자의 근로관에 관한 국제비교,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008.
  30. 최옥금,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1호, pp.5-25, 2007.
  31. 통계청 보도자료, 201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및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 2015.
  32. 홍석태, 양해술,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287-299, 2008.
  33. M. Baker, J. Gruber, and K. Milligan, "Income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in Canada," In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Micro-estim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99-152, 2004.
  34. B. Berkel and A. Borsch-Supan, "Pension reform in Germany: The impact on retirement decisions," Public Finance Analysis, Vol.60, No.3, pp.393-421, 2004. https://doi.org/10.1628/0015221042396096
  35. World Health Organization,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WHO, 2002.
  36. http://pmoblog.tistory.com/791
  37.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0/19/0200000000AKR20151019173100017.HTML
  38. http://kosis.kr
  39.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231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