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analyzed the distribution tendencies and statuses of development projects for EIA projec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e annual analysis, a number of consultations and areas have shown increasing trend across the board. In the project type analysis, there are development project types; urban development, industrial complex, sport facility installation, resort complex development, road construction, which have a lot of developments. In the cities analysis, a number of consultations were about 53% on the top 5 cities, the areas were focused on 75%, and the development projects were concentrated in the southern distribution of Gyeong-gi province. The development axis, from 2004 to 2006, was C-type, but it was extended to O-type until 2010. Therefore, the development will expand into nature conservation zones and forest areas to the east. The development restriction area will be disappeared gradually because the development density of the surrounding Seoul city is more advanced, and we could predict that may be accelerated conurbation between the neighboring cities. Thus, when the development project is located, it would be reviewed difference in existing development project type, project size, and concentration in each city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 capacity.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 사업을 대상으로 개발사업의 분포 추이와 실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도별 분석에서는 협의 건수와 면적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유형별 분석에서는 도시의 개발사업,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 조성사업, 체육시설의 설치사업, 관광단지 조성사업, 도로의 개발 등이 전반적으로 많이 개발되었다. 도시별 분석에서 협의 건수는 상위 5개 도시에 약 53%, 협의 면적은 75%가 집중되었고, 경기도 남부지역의 도시에 집중 분포하였다. 개발축은 2004~2006년 C형에서 2010년까지 O형으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동부의 자연보전권역, 산림지역으로 개발은 확장되고, 서울시의 주변의 개발밀도가 더욱 고도화되어 외곽의 개발제한구역은 점차 사라지고, 인접 도시간의 연담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개발 사업이 입지할 때에는 도시별 기존 개발 사업의 유형, 규모, 집중 정도의 차이를 환경용량을 토대로 검토하여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