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와 불평등의 변증법

The Dialectical Inquiry Media and Inequality

  • Kim, Seung Soo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7.31
  • 심사 : 2016.11.23
  • 발행 : 2016.12.15

초록

자본주의 생산방식은 상품경제, 이윤 극대화, 독점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재벌과 같은 괴물을 낳고 그 반대편에는 중소자본, 영세사업자가 대립하는 양극화 사회를 만든다. 이 때문에 불평등은 통제 불능상태에 빠진다. 그런데도 정부나 국회는 불평등 문제를 그다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누군가 불평등을 정당화함으로써 시민들의 비판과 저항을 차단하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필자는 불평등과 미디어의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필자는 경제적 국가적 이념적 불평등이 사회 성격을 좌우하며, 이것들이 미디어 불평등의 근원임을 설명하였다. 미디어 정치경제학을 분석 도구로 삼아 자본주의 불평등은 미디어와 정보의 불평등을 초래하며, 미디어는 불평등을 재생산함으로써 자본주의를 정당화한다.

This essay deals with the bulk of problems of media raised by social inequality. I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and media/information. In adopting the method of political economy based on dialectical viewpoint, I argue that collaboration among Chaebol, media, power result in the media capitalism. This mode of production has brought about the decline of public service and democracy. It led the Korean industrial capitalism to media capitalism. This mechanism is a dominant but unfair system with grasping of wealth, power, information. The media capitalism, based on profit, privatizations, power monopoly, remains democracy and public service in retreat. Chaebol-media-power complex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menting the establishment. We are reminded how much the dominant system has deteriorated the public interests of the media market and inform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현 (2015). <커뮤니케이션과 사회변동>. 컬처룩.
  2. 강인규 (2016). <대한민국 몰락사>. 서울: 오마이북.
  3. 강준만 (2013). <대중문화의 겉과 속>. 개마고원.
  4. 강준만 (2015). 지방의 내부 식민지화를 고착시키는 일상적 기제. <사회과학연구>, 54집 2호. 113-147.
  5. 강천석 (2015, 5, 9). [강천석 칼럼] 기적을 이룬 나라, 기적을 잊은 나라. <조선일보>, A26쪽.
  6. 구둘레 (2015, 12, 20). 게임의 법칙...광고하는 자가 강하다. <한겨레>.
  7. 권태호 (2016, 9, 30). [현장] "가까운 미래 편집국은 '영상' 다루는 기관 될 것". <한겨레>.
  8. 김상조.이승희 (2015). <4대 재벌의 언론사 광고 지배력 분석>. 경제개혁연구소.
  9. 김승수 (2004). <언론 산업의 정치경제학>. 서울: 개마고원.
  10. 김승수 (2007). <정보자본주의와 대중문화산업>. 파주: 한울.
  11. 김승수 (2008). 문화제국주의 변동에 대한 고찰. <한국방송학보>, 22권 3호, 51-85.
  12. 김승수 (2011). 광고자본주의 정치경제학, <방송통신연구>, 가을호, 9-36.
  13. 김승수 (2012). 정보 권력의 소멸을 위한 이론적 실천. <커뮤니케이션이론>, 8권 3호, 145-178.
  14. 김승수 (2014). <저널리즘의 몰락과 정보공유혁명>. 파주: 한울.
  15. 남경태 (2015). <개념어 사전>. 서울: 휴머니스트.
  16. 노현웅 (2016, 9, 27). 김영란법 코앞인데...지난해 기업들 접대비 수조원 썼다. <한겨레>.
  17. 문병호 (2011). 언론기관의 독립성과 표현의 자유. <헌법학연구>, 17권 4호, 228-266.
  18. 문화부 (2015). <2014 콘텐츠산업백서>.
  19. 박노자 (2016). <주식회사 대한민국>. 서울: 한겨레출판.
  20. 박대한 (2016, 9, 4). 한국 상위 10% 소득집중도 미국 다음...증가폭은 최고. <연합뉴스>.
  21. 박상기 (2016, 3, 19). 후퇴하는 민주주의. <시사인>.
  22. 박영균 (2009). <노동가치>. 책세상.
  23. 박태견 (2011, 1, 22). 굶주린 언론이 가장 무섭다. <뷰스앤뉴스>.
  24. 박홍원 (2014). 인간 소외와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이론>, 겨울호, 101-150.
  25. 백철 (2016, 7, 26). 부동산 불로소득 '1년에 400조원'. <경향신문>.
  26. 비판사회학회 엮음 (2012). <사회학>. 파주: 한울.
  27. 성현석 (2011, 4, 11). "MB 정부 3년, 삼성 자산은 1.5배, 현대차는 1.7배 늘어". <프레시안>.
  28. 손제민 (2016, 7, 4). [2016 미국의 선택] 민주당 정책 '왼쪽으로'...샌더스의 힘. <경향신문>, 14면.
  29. 송진석 (2016, 8, 21). 10대 기업 사내유보금 550조 돌파 '사상 최대'. <경향신문>. URL: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code=920100&artid=201608212229025
  30. 송진식 (2014, 7, 11). 유튜브 점유율 79%...국내 동영상 시장 통째 넘어가나. <경향신문>.
  31. 신동흔 (2016, 8, 2). 인천상륙작전과 '국뽕'. <조선일보>.
  32.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2015). <여론집중도조사 보고서>.
  33. 연합뉴스 (2016, 6, 15). 10대 그룹 총수들 5년간 받은 배당금 1조 4,600억 원.
  34. 오세성 (2010). <광고 산업 주요 통계조사 및 DB와 연구>. 서울: 한국방송광고공사
  35. 이대순 (2013, 5, 29). 중정'에서 재벌로 넘어간 절대권력. <미디어오늘>.
  36. 이동걸 (2012, 6, 4). 대한미국은 '재벌사회주의'국가다. <한겨레>.
  37. 이재유 (2008). <계급>. 참세상.
  38. 이정희 (2016). <진보를 복기하다>. 파주: 들녘.
  39. 이주영.조형국 (2015, 6, 30). 10대 그룹 지배하는 총수들, 보유 주식은 1%도 안돼. <경향신문>.
  40. 이호영.장미혜.박현주 (2006). <문화자본이 정보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1. 임동욱 (2012). <세계화와 문화제국주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2. 정용인 (2016, 7, 23). 성주 '불순세력' 개입 엄단하겠다는 정부...불신 자초하고 '외부세력 탓'. <경향신문>.
  43. 정철운 (2016, 9, 5). 정부광고 역대 최고치, 지난해 5779억 '펑펑'. <미디어오늘>.
  44. 정혁 (2014).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remium Report 14-11.
  45. 조윤민 (2016). <두 얼굴의 조선사>. 파주: 글항아리.
  46. 조일준 (2016, 9, 29). 구글.MS...세계 IT 빅5 '인공지능 개발' 손 맞잡아. <한겨레>.
  47. 채지은 (2012, 9, 8). 부산에선 지금... '골목 인문학'. <한국일보>.
  48. 최경운 (2016, 6, 21). "새누리도 이제 분배 고민할 때".<조선일보>, A6면.
  49. 최은경 (2015).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자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50. 최진봉 (2013). <미디어정치경제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51. 한국고전번역원 승정원일기 번역팀 (편) (2014). <후설>.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52. 한만수 (2012). <잠시 검열이 있겠습니다>. 서울: 개마고원.
  53. EBS (2014, 10, 2). <역사채널e: 조선의 신문>[TV다큐멘터리]. 서울: EBS.
  54. 甘惜分 (1988). <新聞論爭 30年>, 北京: 新華出版社.
  55. 韩旭 (2016.2.29.). 2016网络媒体怎样坚守马克思主义新闻观. <随笔吧> URL: http://www.suibi8.com/baogao/123276-makesaizhuyi-jianshou.html
  56. 陳力丹 (2008). <精神交往論>. 北京: 人民大學出版社.
  57. Dwyer, P. (2015). Theorizing media production. Media, Culture & Society, 37(7), 988-1004. https://doi.org/10.1177/0163443715591667
  58. Faulkner, N. (2013). A Marxist history of the world: From Neanderthals to Neoliberals. 이윤정 (역) (2016). <좌파세계사>. 김천: 엑스오북스.
  59. Fuchs, C. (2014). Social media. Routledge.
  60. Garnham, N. (1979). Contribution to a political economy of mass communication. Media, Culture & Society, 1(2), 123-146. https://doi.org/10.1177/016344377900100202
  61. Greenburg, Z. O. (2016, 7, 26). Bigbang theory: How K-pop's top act earned $44 million in Year. Forbes.
  62. Harvey, D.(2014). Seventeen contradictions and the end of capitalism. 황성원 (역). <자본의 17가지 모순>. 파주: 동녘.
  63. Hesmondhalgh, D. (2006). Media production. 김영한 (역) (2010). <미디어생산>.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64. Hesmondhalgh, D. (2013). The Cultural Industries. SAGE
  65. Kangal, K. (2016). The Karl Marx problem in contemporary new media economy. Television & New Media, 17(5), 416-428. https://doi.org/10.1177/1527476415622266
  66. Lanier J. (2014). Who owns the future?. 노승영 (역) (2016). <미래는 누구의 것인가>. 파주: 열린책들.
  67. Lebowitz, M.A. (1986). Too many blindspots on the media. Studies in Political Economy, 21(Autumn), 165-172. https://doi.org/10.1080/19187033.1986.11675585
  68. Lordon. F. (2014). 기업은 고용을 창출하지 않는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엮음, <르몽드 인문학>. 파주: 휴먼큐브.
  69. Marinko, G. I. (1989). What is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홍종도 (역) (1990)<과학기술혁명이란 무엇인가>. 서울: 백산서당.
  70. Marx, K. (1867). 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Oeconomie. 김수행 (역) (2015). <자본론> I권 상. 비봉출판사.
  71. Marx, K., & Engels, F. (1932). Die Deutsche Ideologie. 김대웅 (역) (2015). <독일이데올로기>. 파주: 한울.
  72. McChesney, R. (2014). Digital disconnect. 전규찬 (역)(2014). <디지털 디스커넥트>. 서울: 삼천리.
  73. McQuail, D. (2010). McQuail's mass communication theory, SAGE.
  74. Mosco, V. (2009).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cation. SAGE.
  75. Perelman, M. (2005). Manufacturing discontent. 오종석 (역)(2009). <기업권력의 시대>. 서울: 난장이.
  76. Royce, E. (2009). Poverty and power. 배충효 (역) (2015). <가난이 조정되고 있다>. 서울: 명태.
  77. Sanders, B. (2015). The speech. 이영 (역) (2015). <버니 샌더스의 모든 것>. 서울: 북로그 컴퍼니.
  78. Schiller, D. (2007). How to think about information. Univ. of Illinois Press.
  79. Schiller, H. (1976). Communication and cultural domination. M.E. Sharpe.
  80. Schiller, H. (1996). Information inequality. NY & London: Routledge.
  81. Sparks, C. (2006). Contradictions in capitalist media practices. In L. Artz et al (eds.), Marx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NY: PETER LANG.
  82. Stigliz, J. (2012). The Price of Inequality: How Today's Divided Society Endangers Our Future. 이순희 (역) (2013). <불평등의 대가>. 파주: 열린책들.
  83. The Economist (2016, 7, 16). The dividing of America. Retrieved from http://www.economist.com/news/leaders/21702188-donald-trumps-nomination-cleveland-will-put-thriving-country-risk-great
  84. The Economist (2016, 9, 17). Why giants thrive. Retrieved from http://www.economist.com/news/special-report/21707049-power-technology-globalisation-and-regulation-why-giants-thrive
  85. Wayne, M. (2003). Marxism and media studies: Key concepts and contemporary trends.
  86. 류웅재.김수철.이희은 (역) (2013). <마르크스, TV를 켜다>. 파주: 한울.
  87. Webster, F. (2014). 조동기 (역) (2016). <현대정보사회이론>. 파주: 나남.
  88. Wikipedia, 'Injustice'.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Injustice
  89. Wikipedia, 'Social inequality'.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ocial_inequality
  90. Wikipedia, 'Social justice'.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ocial_justice
  91. Williams, R. (1980). Problems in materialism and culture. London, UK: Ver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