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ies Self-Management Questionnaire of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자기관리 검사지 개발

  • Received : 2015.07.10
  • Accepted : 2015.08.27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lf-management of th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elementary and develop self-management. To do this, from the average student is selected to receive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 gifted students, and to cover up the children who are acting as an athlete in the current schools participated in a variety of students. Professional meetings, inductive categorization,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the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between different groups discriminant validity for verification. As a result, physical activity self-management factor is the support of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ercise management, life management, interest, self-confidence, support of parents, personal management were six factors determined to be a total of 24 questions. In addition, Gifted children was higher than in all the sub-factors of physical activity self-management in the general child population. As a result, we ensure the validity of the test to diagnose physical activity as a self-managed by first responders schools.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관리의 특성을 분석하고 신체활동 자기관리의 검사지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학생에서부터 체육영재로 선발되어 훈련받고 있는 학생, 그리고 현재 각급 학교에서 운동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어린이들까지 망라하여 총 1005명의 다양한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단계별로 전문가 회의, 귀납적 범주화,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자기관리 요인은 운동관리, 생활관리, 재미, 자신감, 부모의 지지, 대인관계 6요인 총 24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또한,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 어린이와 체육 영재 어린이의 집단 간 신체활동 자기관리를 검증한 결과 운동관리, 대인관리, 재미, 자신감, 부모의 지지, 대인관계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육영재 어린이가 일반 어린이 집단에서 보다 신체활동 자기관리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신체활동 자기관리를 진단하는 검사지로서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허정훈, 김병준, 유진, "대학 운동 선수들의 자기관리 전략: 평소연습과 시합상황의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제40권, 제1호, pp.187-198, 2001.
  2. 허정훈, "운동선수 자기관리 검사지(ASMQ)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2호, pp.95-109, 2003.
  3. 김병준,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의 측정," 체육과학연구, 제14권, 제4호, pp.125-140, 2003.
  4. S. P. Draper, J. Salmela, and N. Durand-Bush, The Ottawa mental skills assessment too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R. Vanfraechem-Raway & Y. Vanden(Eds.), Proceedings of the 4th European Congress of Sport Psychology, Lisbon, Portugal, 1995.
  5. P. R. Thomas, S. M. Murphy, and L. Hardy,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 comprehensive measure of athletes' psychological skill," Journal of Sport Sciences, Vol.17, pp.697-711, 1999. https://doi.org/10.1080/026404199365560
  6. 김종화, 우동한, "유소년 축구선수 부모 운동지원 행동에 따른 자기관리 행동 및 사회성숙도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1권, 제3호, pp.593-607, 2008.
  7. 송용관, 천승현, 이철, "초등학교 클럽축구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 수준에 따른 재미와 자기관리유형," 한국체육학회지, 제50권, 제4호, pp.77-90, 2011.
  8. 원성연, 초등학교 축구선수들의 목표성향에 따른 자기관리와 스포츠 재미요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1.
  9. 이경님, "개인변인과 부모변인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5호, pp.161-174, 2006.
  10. 권보라, 장영은,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애착이 초등학생 자녀의 자기조절을 통해 자기관리기술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50권, 제7호, pp.49-58, 2012. https://doi.org/10.6115/khea.2012.50.7.049
  11. A. S. Morris, J. S. Silk, L. Steinberg, F. M. Sessa, S. Avennevoli, and M. J. Essex, "Temperamental vulnerability and negative parenting as interacting predictors of child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4, No.2, pp.411-461, 2002.
  12. M. B. Hofsta, J. Van der Ende, and F. C. Verhulst, "Continuity and change of psychopathology from childhood into adulthood: A 14-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Psychiatry, Vol.39, pp.850-858, 2000. https://doi.org/10.1097/00004583-200007000-00013
  13. L. Crockner and J. Algina,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6.
  14. B. Auyeung, S. Wheelwright, C. Allison, M. Atkinson, N. Samarawickrema, and S. Baron-Cohen, "The Children's Empathy Quotient and Systemizing Quotient: Sex differences in Typical Development and in Autism Spectrum Condition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Vol.39, No.11, pp.1509-1521, 2009. https://doi.org/10.1007/s10803-009-0772-x
  15. 오현진, 정지윤, "초등학생의 시간관리 능력에 따른 자기효능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 19권, 제3호, pp.101-112, 2006.
  16.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pp.238-246, 19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17. L. R. Tucker and C. Lewis,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38, pp.1-10, 1973. https://doi.org/10.1007/BF02291170
  18. L. Z. Hu and P. M. Bentler,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pp.1-55, 1999.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19. 박영신, "부모 자녀 관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제38권, 제2호, pp.109-147, 2002.
  20. W. M. Leonard, A sociological perspective of sport, Mn: Burgess Publishing company, 1980.
  21. 장덕선, 우수선수 최고수행의 심리적 경험: 심층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 1995.
  22. 유진,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기술 검사지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제35권, 제3호, pp.107-124,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