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Humanistic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Motif of Poverty in the Picture Books of Korean Fairy Tales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가난 모티프의 인성 교육적 함의

  • 이란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이현정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5.07.08
  • Accepted : 2015.09.01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of humanistic education through text analysis of the picture books of Korean fairy tales dealing with poverty and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is, the two researchers drew the literal roles of poverty and property in the common narrative structure of seven subject books and discussed the humanistic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overty of a main character was related to good personalities rather than negative personalities such as indolent disposition and formed affirmative values. Secondly, divine existence or animal helpers offered property to the good man in a unrealistic manner so that it emphasized the meaning of reward on their good nature. Thirdly, the bad character of wicked men following the good men was focussed on and their greed for property was the evidence of their wickedness. Most of them were punished because of the wicked motive so that it apparently highlighted the lesson of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by the binary opposition structure. Fourthly, all the fairy tales made the characters treated based on the each personality: punishment or reward. However, the reward was usually property so that the property itself was depicted as a kind of blessings. Based on those findings, some humanistic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가난을 모티프로 다루고 있는 전래동화 그림책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현 시대의 인성 교육적 가능성을 찾고 그 교육적 함축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 3인은 가난을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는 전래동화 그림책 7권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그 공통된 서사구조 속에서 가난과 재물의 문학적 역할을 도출한 후 그 인성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인공의 가난이 개인적인 게으름 같은 부정적인 성품보다는 주로 선한 성품과 관련되어지면서 긍정적인 가치를 형성했다. 둘째로, 신적인 조력자나 동물 조력자들이 비현실적 방식으로 선인에게 재물을 제공함으로 성품에 대한 보상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셋째, 선인에 뒤이어 악인들의 악한 성품이 부각되는데 주로 재물에 대한 탐욕이 증거로 나타났다. 악인 대부분은 그 악한 동기가 드러나 처벌을 받게 되며 선인과의 이항대립 구조 때문에 권선징악의 교훈을 뚜렷이 드러나게 한다. 넷째, 대부분의 가난 모티프를 가진 전래동화는 각 인물이 가진 성품에 기초하여 처벌을 받거나 보상을 받았다. 그러한 보상이 재물로 주어짐으로써 재물 소유 자체는 축복임을 드러냈다.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인성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허원기, "흥부전의 인성론적 의미," 한민족문화연구, Vol.19, pp.163-189, 2006.
  2. 양옥승, "새 천년을 위한 한국 유아교육의 방향," 영유아교육학회, 제23회 한국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수연구회 및 학술대회 자료집, 2000.
  3. 한선아,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4. 김선희, 지은주, 조희숙,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미래지향적인 아이상 탐색,"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1, pp.259-281, 2010.
  5. 정대련, "전래동화에 나타난 삶의 교육적 의미," 교육학연구, Vol.30, No.4, pp.273-283, 1992.
  6. J. A. Smith and D. M. Park, Word Music and Word Magic, Boston: Allyn and Bacon, Inc. 1977
  7. 오영은, 남북한 전래동화의 내용분석: 생태학적 체계와 사회적 가치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8. 마쯔이 다다시, 어린이와 그림책, 이상금(역), 서울: 샘터, 1996.
  9. 김주희,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0. 김영주,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비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1. 김창현, "흥부전의 주제와 현대적 의미: 근대 극복을 위한 문학연구 방법론 모색 시고," 비교문학, Vol.41, pp.279-308, 2007.
  12. J. K. Galbraith, The Affluent Society, Boston:Houghton Mifflin, 1958.
  13. S. Shiver, Poverty, The Encyclopedia Americana, 1965.
  14. 정지웅, "가난의 문제와 교육에의 도전," 교육학연구, Vol.7, No.2, pp.29-43, 1969.
  15. 김경중, "전래동화의 현대적 수용방안," 한국아동문학연구, Vol.4, No.1, pp.35-50, 1995.
  16. 김미환, "전래동화의 인간학적 진술과 교육학적 의미 고찰 - 전래동화의 교육인간학," 교육철학, Vol.17, pp.129-146, 1997.
  17. 정대련, 한국 전래동화의 윤리학적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18. 윤금아, 유아교육용 전래동화의 가치관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9. 정대련, "전래동화에 나타난 인간상의 교육적 의미," 교육철학, Vol.20, pp.37-63, 1998.
  20. 한대규, 아이 주인공 전래동화 연구: 한국 전래동화에 나오는 아이상과 교육적 활용 방안,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1. 김경철, 채미영,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아동관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Vol.6, No.3, pp.208-218, 2001.
  22. 김승룡, "고려후기 한시의 가난에 대한 시선들," 고전과 해석, Vol.9, pp.62-88, 2010.
  23. 도승이,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사고개발, Vol.9, No.2, pp.143-159, 2013.
  24. 교육과학기술부, 인성교육비전보고서(안), 2012.
  25. T. Lickona, Education for Character, New York: Bantam Books, 1991.
  26.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손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 Vol.30, pp.1-38, 2008.
  27. 조연순, 김아영, 임현식, 신동주, 조아미, 김인정,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 1," 교육과학연구, Vol.28, No.1, pp.131-152, 1998.
  28. 조난심, 문용린, 이명준, 김현수, 김현지, 이우용,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4-4-14, 2004.
  29.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창의 인성교육 기본방안, 2010.
  30. J. A. Hatch,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al Settings, (진영은 역)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서울: 학지사, 2008.
  31. 장정호, "한국 전래동화의 교육학적 이해: 옛이야기의 교육적 기능과 의의를 중심으로," 교육사학연구, Vol.23-2, pp.133-156, 2013.
  32. 김병건, 전래동화의 윤리미학적 내용분석과 유아들의 윤리미학적 요소에 관한 미적 경험, 경북대학교, 이학박사학위논문, 2015.
  33. 유동관, "어린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형식에 대한 어린이의 선호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0, 2011.
  34. 강은진, "모 윌렘스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pp.374-38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374
  35. 이란 현은자, "EBS 라디오 어른을 위한 동화 프로그램의 그림책 콘텐츠 및 청취자를 위한 전략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pp.315-32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