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육아 예능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부성성 연구 - MBC <아빠 어디 가>에 대한 기호학 분석

Fatherhood Representations of Childcare 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 A Semiotic Study on a Reality Program, "Where Are We Going, Dad?" of MBC

  • 투고 : 2015.07.06
  • 심사 : 2015.09.30
  • 발행 : 2016.01.28

초록

본 연구는 기호학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육아 예능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재현된 부성성의 표상들을 분석하였다. MBC <아빠 어디 가>의 방영분 2편의 영상과 기호 체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출연한 부성들은 그동안 모성의 전유 영역으로 이해되던 육아에 공동으로 헌신하는 페미니스트적 남성상을 표출하고 프렌디로서의 친근한 부성의 재현을 통해 현대의 이상적 부성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부성상의 변화는 감성적이면서 양성적인 남성으로의 변화를 함의하는 포스트모던적 남성 이데올로기를 내재화한다. <아빠 어디 가>의 부성들은 육아 실천을 지향하는 프로그램 속에서 육아를 전면적으로 수행하는 가운데, 육아 미숙의 상황을 간헐적으로 노출하면서 역설적이게도 육아에 대한 모성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이들이 재현한 육아 실천의 남성상은 현대의 이상적인 남성상을 시도하는 것이었지만, 자녀를 지도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여전히 기존의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과 차별적 인식을 지니고 있고, 나아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이들의 포스트모던적 프렌디 부성으로의 변화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위계 구조를 전적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presentations of fatherhood of childcare 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For this purpose, two episodes of of MBC were analyzed by semiotic analytic methods, especially, signs, images, combined level of significations, etc. The results indicated that fathers of the programs reflected modern ideal images of feminist fatherhood in which fathers cooperated to care children with mothers, and played the role of intimate friend-daddies, daddies as friends. A post-modern male ideology was inherent in those fatherhood changes. Those fathers in this program intermittently exposed narratives of inexperienced fathers while dedicating themselves to cooperative childcare adequate to the purpose of the program, suggesting that it would reproduce the mother-childcare ideology as a result. Furthermore, although such reflected changes towards fatherhood enthusiastically involving in childcare represented the modern ideal fatherhood, it is still identified that gender stereotypes, gender-based discrimination and patriarchal male ideologies were inherent in the ways of their guiding children. In short, such trend of friend-daddies did not imply an revolutional change from male-centere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s to male-female cooperated family struct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G. H. Brody, Z. Stoneman, and A. Sanders, "Effects of Television Viewing on Family Interactions: An Observational Study," Family Relations, Vol.29, pp.216-220, 1980. https://doi.org/10.2307/584075
  2. M. Orleans and M. C. Laney, "Early Adolescent Social Networks and Computer Use,"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18, pp.56-72, 2000. https://doi.org/10.1177/089443930001800104
  3. D. G. Singer and J. L. Singer, Handbook of Children and the Media, London: Sage, 2011.
  4. 김미라, "리얼리티 데이트 프로그램 시청이 데이트와 이성 관계에 대한 시청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52, No.2, pp.353-450, 2008.
  5. http://stat.seoul.go.kr/jsp2/WWS2/WWSDS2111.jsp?cd=005&srl=141&page=7
  6. 김혜영, "2012년 여성.가족정책 수요 조사," KWDI Brief, Vol.21, pp.1-8, 2012.
  7. 손소영, "아버지 역할이 나타난 TV 광고 분석연구,"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pp.217-227, 2013.
  8. 백선기, 미디어,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9. 백선기, 김남일, "방송을 통해 표출된 김건모 노래가사의 신화와 이데올로기: '남성성' 유형의 변화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Vol.18, pp.69-110, 2006.
  10. M. A. Messner, "Changing Men and Feminist Politics in the United States," (Eds.) The Politics of Manhood: Profeminist Men Respond to the Mythopoetic Men's Movement,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pp.97-111, 1996.
  11. A. Bandur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Notes References, 1977.
  12. S. Freud,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UK: VINTAGE, 2014.
  13. 조선화, "아버지 역할에 관한 우리나라 연구의 동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4, pp.179-203, 1997.
  14. N. Chodorow, Femininities, Masculinities, Sexualities: Freud and beyond, Lexington: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994.
  15. M. E. Lamb,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5th ed.), NJ: Wiley, 2010.
  16. 홍길희, "아버지의 언어형태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Vol.25, No.1, pp.49-64, 2007.
  17. 도금혜, "아동의 자아존중감, 섭식태도 및 학교생활적응이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Vol.21, No.3, pp.111-125, 2008.
  18. 문정희,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형태와 아동의 자기효능감, 우울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9.
  19. 고선옥, 이영환, "아버지의 창의적 성격 특성, 양육신념, 유아의 창의성간의 인과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Vol.47, pp.1-19, 2006.
  20. J. K. Gardiner, "여성주의와 아버지상의 미래," In T. Digby(Ed.), Men doing Feminism, 김고연주, 이상원 역, 남성 페미니스트, pp.329-359, 또하나의 문화, 2004.
  21. L. A. Beaty, "Effects of Paternal Absence on Male Adolescents' Peer Relations and Self-image," Adolescence, Vol.30, No.120, pp.873-880, 1995.
  22. I. D. Balbus, Marxism and Domination: A Neo-hegelian, Feminist, Psychoanalytic Theory of Sexual, Political, and Technological Liber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2.
  23. J. P. Sterba, "여성주의는 남성에게 유익한가, 남성은 여성주의에 유익한가," In T. Digby(Ed.), Men doing Feminism, 김고연주, 이상원 역, 남성 페미니스트, pp.360-380, 또 하나의 문화, 2004.
  24. A. Giddens, Sociology (6th edition), Cambridge: Polity Press Ltd, 2009.
  25. D. Hobson, Soap Opera, Cambridge: Polity, 2002.
  26. 이윤석, 김슬기, "한국 영화에 나타난 아버지 캐릭터의 부성성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pp.215-22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215
  27. 한희정, "부성회복 리얼리티 프로그램 <아빠 어디 가> 수용 연구," 사회과학연구, Vol.29, No.3, pp.161-186, 2013.
  28. 김미라, "TV매체에 재현된 새로운 남성성과 그한계 - 주말 예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 pp.88-9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088
  29. 최은경, 김승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데올로기적 현실 구성과 비판적 성찰의 이중성: 연예인구혼 리얼리티 프로그램 <골드미스가 간다>의 텍스트 및 수용 분석," 한국방송학보, Vol.24, No.3, pp.175-219, 2010.
  30. B. Nichols, Blurred Boundaries: Questions of Meaning in Contemporary Culture,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31. 박주연,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 한국언론재단, 2005.
  32.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형성에 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Vol.16, No.1, pp.257-280, 2004.
  33. www.imbc.com/broad/tv/ent/sundaynight
  34.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35. J. Fiske, Television Culture, New York: Methuen, 1987.
  36. 서영채, 인문학 개념 정원, 문학동네, 2013.
  37. 전우성, 김인형, "기호학적 방법을 통한 영화<코리아>에 내재된 스포츠 이데올로기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7, No.2, pp.19-35,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