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ased Introduction of the New Transportation System under the Step-by-step Land Development Project

단계적 택지개발사업에 따른 신교통시스템 적정 도입방안 분석

  • Received : 2016.05.09
  • Accepted : 2016.08.03
  • Published : 2016.08.05

Abstract

Recently, the paradigm of land development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joint development to the step-by-step development due to changes in socio-economic conditions. Nevertheless, the introduction of large-scale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new transportation system tends to employ the joint development. Although new transportation system is eco-friendly, it occasionally fails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because of high installation cost. Such phenomenon is caused by not only the system did not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but also did not respond to the step-by-step development. Accordingly, in order to introduce transportation system rationally, introducing new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step-by-step development should be sought.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large-scaled land development site be achieved step-by-step development. and suggested the need for a phased introduction through benefit-cost analysis.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phased introduction shows economic efficiency with 30% increase of B/C compared to the bulk introduction. It also demonstrates that the bulk introduction under step-by-step development is more efficient than the bulk introduction under joint development.

최근 들어 택지개발의 방식은 사회 경제적 여건변화로 인해 과거의 일괄개발에서 단계적 개발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교통시스템과 같은 대규모 교통시설의 도입은 과거의 일괄개발에 의한 도입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그 결과 신교통시스템은 친환경적인 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도입비용으로 계획단계에서 무산되거나 완공된다 하더라도 적자경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시스템 도입시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이유도 있으나, 단계적 개발방식에 대응하지 못한 이유도 크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신교통시스템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의 일괄도입 방식이 아닌 택지개발의 단계적 개발방식에 상응하는 도입방식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택지개발사업지구가 단계적 개발로 이뤄질 것을 가정하여 일괄 도입과 단계적 도입에 따른 편익 및 경제성 분석을 통해 단계적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단계적 도입이 일괄 도입에 비해 30% 이상의 B/C 상승효과를 보여 경제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행의 일괄 개발방식에서의 일괄 도입과 비교하더라도 B/C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균.장인석.이영훈(2010), 사업지구내 신교통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 김필수(2010), "기성시가지 신교통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선지원.박종원(2009), 신교통수단 도입에 따른 교통법제 정비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4. 신종현.김시곤.한국철도학회(2005), 신도시건설에 따른 신교통수단 시스템 선정방안.
  5. 안태훈(2008), 국내 신교통시스템 도입절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대한민국국회.
  6. 오종우.오승훈(2007), "모노레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동굴학회, 81:55-74.
  7. 이준.김경태.문대섭.이진선.한국철도학회(2006), 소형궤도열차시스템의 국내 적용방안 연구.
  8. 이진선.한국철도학회(2011), PRT시스템 도입시 편익산정 연구 : 난곡노선을 중심으로, 370-375.
  9. 정락교, 조홍식, 김연수, 정상기, 이안호.한국철도학회(2003), 소형궤도열차의 현황 및 가능성
  10. 조은혜(2012), "신교통수단 선정 가이드라인 마련의 의미와 주요 내용", 국토연구, 113-117
  11. 한국토지공사(2004), 성남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 신교통수단 타당성 조사.
  12. 한국토지주택공사(2014), 위례신도시 택지개발사업 광역교통개선 대책 신교통수단 타당성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