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ow Media Constitutes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o Disparate Subject

감각적 사유와 이질적 주체 구성-종편의 탈북여성 재현의 정치

  • 김은준 (대전보건대학교 인문교양학부)
  • Received : 2016.10.13
  • Accepted : 2016.11.29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about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In that channel's programs, the women are established as soften private people who got a lift in capitalism aggressively and as disparate subject that have value to be consumed by mass audience. They are caricatured with the testimony and internal competition, be emphasized that heterogeneous object.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use the women as easy and cheap substitutes for foreigners, also objectifies them to complies with the patriarchal authority.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are continuously producing a story to deal with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disparate subject. In this way, they owns the time and qualification to talk to the women as objects to be displayed, to ensure the media power. Ultimately, the female defectors is only a consumption subject that being sensuously staring, so they remain 'other' instead of 'us'.

본 연구는 종편채널의 탈북여성 재현의 정치를 논의한다. 종편채널에서 등장하는 탈북여성출연자들은 자본주의 논리에 적극적으로 편승한 연성화된 사적 존재로 구축되며 대중적 시선에 맞추어 소비되는 이질적 주체가 된다. 그녀들은 내부의 경쟁구도와 증언을 통해 희화화되며 이질적 대상으로 강조된다. 또한 그녀들은 그동안 미디어 내에서 이방인들이 존재하던 공간을 보다 저렴한 비용과 쉬운 방식으로 대체하는 B급 출연자로 활용되면서 가부장적 체제에 순응하는 존재로 대상화된다. 종편채널들은 탈북여성출연자들을 지속적으로 이질적 대상으로 규정하여 이야깃거리를 생산해냄으로써, 보여지는 대상으로서의 그들에 대해 말하는 자격과 시간을 소유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권력을 확보한다. 결국 탈북여성출연자들은 감각적으로 응시되는 소비의 대상일 뿐 '우리'로 병합될 수 없는 '그들'로 남는다.

Keywords

References

  1. 연합뉴스, 2016년 8월 1일자.
  2. JTBC 뉴스, 2016년 8월 19일자.
  3. 연합뉴스, 2015년 9월 26일자.
  4. G. C. Spivak,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그린비, 2013.
  5. M. Foucault, 정신의학의 권력, 난장, 2014.
  6. 성정현, "탈북여성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차별 경험과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117-13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117
  7. S. Hall, The Spectacle of the Other, in S. Hall, (Ed). Representation: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Signifying Practices, Sage, pp.225-290, 1997.
  8. 이용철, 탈북자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2006.
  9. 이명자, "신자유주의 시대 남한영화에 재현된 탈북이주민과 그 문화적 함의," 통일문제연구, 제25권, 제2호, pp.95-128, 2013.
  10. 오원환, "방송 뉴스의 탈북자 재현과 그 정체성 구성: 지상파 3사의 간판 뉴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통일과방송, 창간호, pp.71-108, 2013.
  11. 이선민, "탈북여성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A)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젠더&문화, 제29권, 제2호, pp.75-115, 2014.
  12. 태지호, 황인성,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A)의 탈북여성들의 사적 기억 재구성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하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0호, pp.104-124, 2012.
  13. 최진봉, "텔레비전 뉴스 콘텐츠에 나타난 탈북민의 이미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403-414, 2015.
  14. 한건수, "타자만들기: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의 재현," 비교문화연구, 제9권, 제2호, pp.157-193, 2003.
  15. 정근식, "차별 또는 배제의 정치와 '소수자'의 사회사 재구성," 경제와사회, 제100호, pp.183-208, 2013.
  16. 권금상, "대중매체가 생산하는 '이주여성' 재현의 사회적 의미: 결혼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 TV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제6권, 제2호, pp.39-81, 2013.
  17. 박지훈, 이진, "성소수자에 대한 미디어의 시선: 텔레비전에 나타난 홍석천과 하리수의 이미지 유형을 중심으로," 미디어젠더&문화, 제28권, pp.5-42, 2013.
  18. http://www.unikotra.go.kr/
  19. E. W. Said,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15.
  20. 선우현, "한국인 속의 한국인 이방인: 국내 탈북자 집단의 인권문제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제64권, pp.5-2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