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What Causes Influence on the Inclination to Participation in Design-Talent Donation' : A Comparison between Prospective Designers and Professional Designers

디자이너의 사회적 위치에 따른 디자인 재능기부 참여의향과 영향요인 연구

  • 김경원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6.08.08
  • Accepted : 2016.10.07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Design-talent donation is a new form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using designers' professional skill and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which causes affect the inclination to participate in design-talent donation,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research compared prospective designers and professional designers. When it comes to research method, this study classified the capabilities of designers with professional designers and prospective designer as potential talent donation provider. The research executed questionnaires of each factors and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using t-test analysis. Through the survey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each group validated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 factors between professional designers and prospective designers who involve in design-talent donation. The type of compensation could be expected to kn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value addition criteria for the design output that provided from design talent donation should be clarified and ultimately is expected to specify the design talents donations range to meet the needs of designers as potential talent donation provider.

디자인 재능기부는 새롭게 진화된 사회공헌활동의 한 형태로 디자인이라는 전문적 기술 및 경험을 사회와 나누는 활동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이너의 사회적 위치에 따라 어떠한 요인이 디자인 재능기부에 대한 참여의향에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는 데 있다. 연구 조사 방법으로 디자인 재능기부에 참여 가능한 잠재적 자원인 디자이너의 역량을 전문 디자이너와 예비 디자이너로 분류하고 각각의 집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t-test를 활용한 결과 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통계적 차이를 검증했다. 분석 결과 전문 디자이너와 예비 디자이너 집단 간 디자인 재능기부 참여에 대한 영향요인 중 개인적 이익에 대한 기대욕구와 사회적 이익을 위한 참여 욕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디자인 재능기부를 통한 기대보상의 유형은 사회적 위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디자인 재능기부 참여의향에 따른 영향요인을 통해 사회적 위치에 따른 디자이너의 디자인 재능기부 인식수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잠재적 재능기부 제공자인 디자이너의 경력에 따라 디자인 나눔 사업의 방향을 세분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진, 재능기부를 통한 문화예술 창작 및 향유 활성화 방안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김영하, 문화예술인의 재능기부 사례 및 활성화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3. 김현진, 이민창, 자원봉사 지속의지 영향 요인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4. 박근혜, 디자인 재능기부로서의 헌혈캠페인 디자인 개발 연구: 한마음혈액원 청계광장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박소현,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6. 박찬주, 박인혜, 이향은, "디자인 재능기부 유형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ol.13, No.2, pp.63-76, 2014.
  7. 박한출 외, 2014 산업디자인 통계조사, 한국디자인진흥원, 2014.
  8. 이은노, 재능기부 참여의향 영향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9. 송정애, 임원선, "지역사회 재능기부 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2권, 제4호, 2012.
  10. 양유진, 오창섭, "디자인 재능기부의 문제점과 위험요소,"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29, No.3, pp.115-124, 2016. https://doi.org/10.15187/adr.2016.08.29.3.115
  11. 조휘일, 현대사회와 자원봉사, 홍익재, 2002.
  12. 천정임, 김인,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디자인 재능기부 방향," 디자인지식저널, 제20호, pp.101-110, 2011.
  13. 최영훈 외, 재능나눔 고도화 전략에 관한 연구보고서,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14. 한국디자인진흥원, 2014 산업디자인 통계조사, 2014.
  15. http://www.pointsoflight.org/our-work/reserch/sbv (accessed on December 10, 2015)
  16. https://ko.wikipedia.org/wiki/재능기부 (accessed on January 14, 2016)
  17. http://davidreport.com/the-report/a-checklistfor-sustainability/ (accessed on March 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