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chniques and Traditional Knowledge of the Korean Onggi Potter

옹기장인의 옹기제작기술과 전통지식

  • Kim, Jae-Ho (BK21plus Team in Department of Folklor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김재호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BK21플러스사업팀)
  • Received : 2015.03.31
  • Accepted : 2015.04.2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traditional knowledge functions in the specific techniques to make pottery in terms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on the pottery techniques of Onggi potters. It focuses on how traditional pottery manufacturing skills are categorized and what aspects are observed with regard to the techniques. The pottery manufacturing process is divided into the preparation step of raw material, the molding step of pottery, and the final plasticity step. Each step involves unique traditional knowledge. The preparation step mainly comprises the knowledge on different kinds of mud. The knowledge is about the colors and properties of mud, the information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quality mud, and the techniques to optimize mud for pottery manufacturing. The molding step mainly involves the structure and shape of spinning wheels, the techniques to accumulate mud, ways to use different kinds of tools, the techniques to dry processed pottery. The plasticity step involves the knowledge on kilns and the scheme to build kilns, the skills to stack pottery inside of the kilns, the knowledge on firewood and efficient ways of wood burning, the discrimination of different kinds of fire and the techniques to stoke the kilns. These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may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the preparation of raw material, molding, and plasticity.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which is because it becomes difficult to manufacture quality pottery even with only one incorrect factor. The contents of knowledge involv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ottery focused are mainly about raw material, color, shape, distribution aspect, fusion point, durability, physical property, etc, which are all about science. They are rather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al learning process of apprenticeship, not through the official education. It is not easy to categorize the knowledge involved. Most of the knowledge can be understood in the category of ethnoscience. In terms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knowledge is mainly about 'the knowledge on nature and universe'. Unique knowledge and skills are, however, identified in the molding step. They can be referred to 'body techniques', which unify the physical stance of potters, tools they employ, and the conceived pottery. Potters themselves find it difficult to articulate the knowledge. In case stated, it cannot be easily understood without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n the field. From the preparation of raw material to the complete products, the techniques and traditional knowledge involv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pottery are closely connected, employing numerous categories and levels. Such an aspect can be referred to as a 'techniques chain'. Here the techniques mean not only the scientific techniques but also, in addition to the skills, the knowledge of various techniques and levels including habitual, unconscious behaviors of potters.

이 연구는 옹기장인들의 옹기제작기술을 전통지식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것으로 구체적인 옹기제작기술 속에 전통지식들이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특히 옹기제작 관련 전통지식들이 어떤 범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작기술과의 관계에서 어떤 양상을 띠는가 하는 점들에 주목한다. 옹기제작 과정은 크게 재료의 준비, 기물의 성형, 소성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매 단계마다 고유한 전통지식들이 존재한다. 먼저 재료준비 단계에서는 각종 흙에 대한 지식들이 주를 이룬다. 흙의 색깔과 성질, 좋은 옹기흙의 지역 분포에 대한 정보, 옹기 제작에 적합한 것으로 흙을 재조정하는 기술 등이다. 그리고 두 번째의 기물 성형단계에서는 물레의 구조와 형태, 흙을 쌓아올리는 데 필요한 기술, 각종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완성된 형태의 옹기를 건조하는 기술 등이 주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소성 단계에서는 가마에 대한 지식과 가마 제작 기술, 가마 내 옹기를 쟁이는 기술, 화목에 대한 지식과 불 때는 기술, 불의 종류 등이 주를 이룬다. 이들 지식들은 각각 별개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는 어느 한 과정이 잘못되어도 완전한 옹기의 생산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지식의 내용을 중심으로 볼 때 이들은 재질 색상 형태 분포양상 용융점 강도 물리적 성질 등과 같은 과학적 범주에 속하는 것들이 많다. 하지만 이들 지식들은 공식적 제도교육과정을 통해 얻은 것들이라기보다는 비공식적인 도제교육을 통한 오랜 경험속에서 터득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지식의 체계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데, 주로 민속과학(ethnoscience)적 분류와 범주 속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들 지식들은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의 개념으로 보면 '자연 및 우주에 관한 지식'범주에 속한다. 이와는 달리 신체와 사용 도구, 그리고 제작하고자 하는 기물을 일체화시켜 내는 것으로 '신체기술(body techniques)'이라 부를 수 있는 것들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옹기장인들 스스로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며, 그들이 굳이 설명을 하더라도 해당분야에 대한 경험과 식견이 없는 한 이해가 쉽지 않다. 이러한 지식들은 습득 및 전승방식에 따라 구분해보면,'옹기 장인의 일반적 지식'과 '특정 옹기 장인만이 갖춘 고유한 지식'들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식이 갖는 축적된 시간의 깊이에 따라 '역사가 긴 지식'과 '최근에 만들어진 지식'등이 있을 수 있다. 옹기제작과정에서 드러난 옹기 장인들의 기술과 전통지식은 재료의 준비과정에서부터 최종 완성품이 만들어지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수많은 범주와 층위의 기술들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은 '기술의 사슬(techniques chain)'이라고 할 만하다. 이때의 기술은 반드시 자연과학적 범주의 기술(techniques)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솜씨(skill)를 비롯하여 장인들 스스로도 의식하기 어려운 습관적 행위들까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층위의 기술과 지식들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