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World Heritage conservation policies through the case of the Dresden Elbe Valley

드레스덴 엘베계곡의 사례로 본 세계유산 보존 정책

  • Received : 2015.03.30
  • Accepted : 2015.05.04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Dresden Elbe Valley of Germany was delisted from the World Heritage List after a long dispute amongst the city of Dresden, UNESCO and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upon a plan to build a four-lane bridge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property. The plan was claimed to threaten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f the heritage embedded in the view of the river landscape. However looking back on the necessity of the bridge in order to maintain the city dynamics and the needs of the local population,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at plans for the bridge had a rather different nature from the usual urban 'development' plans appearing in the vicinity of other World Heritage properti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that led to the delisting of the Elbe Valley from the World Heritage List and assesses the problems arising between the entities which determine the value of the heritage and the entities that implement conservation measure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involving the local residents, this article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ommunities in heritage conserv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set up dependabl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conservation policie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hanging dynamics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sound methods for assessing the impact of future projects on the heritage.

2004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독일의 드레스덴 엘베계곡(Dresden Elbe Valley)은 드레스덴 시가 유산 지역 내에 다리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이 계획이 세계유산 가치를 훼손한다고 해서 유네스코 및 세계유산위원회와 직접적으로 대립하여 2009년 세계유산목록에서 삭제됐다. 표면상으로 이 경우는 '보존'과 '개발'이 충돌하여 빚어진 결과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드레스덴의 역사적 경관과 별도로 도시 기능 유지에 필요한 다리의 필요성과 이에 대한 주민들의 생각을 살펴보면 이 건은 우리에게 익숙한 유산 지역의 '개발'과는 조금 다른 모습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드레스덴 엘베계곡의 세계유산목록에서의 삭제에 이르는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 유산 가치를 결정하는 주체와 보존관리의 주체 간의 충돌에서 온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특히 유산 보존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이 적극적으로 고려되는 유산 공동체의 역할이 어떻게 핵심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우리의 현실에 맞는 도심지역 유산의 보존을 위한 원칙과 문화재영향평가 지침 수립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