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ocial Network Measures on Individual Learning Performances

친구관계 네트워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S대학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들을 중심으로-

  • 문주영 (숭의여자대학교 비서행정과)
  • Received : 2015.09.08
  • Accepted : 2015.10.02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ructure the friendship network b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centrality and learners' performances in college students. Both the in-degree centrality of 1st grade class study-network(t=2.722, P<.005) and the in-degree centrality of and $2^{nd}$ grade class study-network(t=2.708, P<.005)are predicted the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s. Bu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in-degree centrality of $1^{st}$ and $2^{nd}$ grade class entertainment-network and the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s.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network analysis measures on learners' performance in the friendship network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to the teaching strateg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분석을 통하여 전문대학생들의 학급 내 친구관계 네트워크를 구조화하고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가 개인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 네트워크와 오락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를 구조화하고 중심성 지수를 추출하였다. 이를 독립변수로, 학습성과 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친구관계 네트워크 중심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1,2학년 모두 학습 네트워크의 개인별 중심성과 학습성과와의 관계는 유의미하였으며 오락 네트워크의 중심성과의 학습성과와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학습 네트워크의 개인별 중심성과 학습성과와의 회귀분석 결과 1,2학년 모두 학습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수는 개인의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분석, 도서출판청람, 2014.
  2. 장덕진, "학급내 연결망과 학습성과," 사회과교육학연구, 제4권, pp.161-185, 2000.
  3. 강민형, "지식이전행위 어떻게 측정해야 하나?-제공자와 수용자의 관점 비교," 지식경영연구, 제12권, 제1호, pp.1-16, 2011.
  4. 김창식, 곽기영, 김학준, "리조트 고객서비스센터 조직구성원의 소셜네트워크 위치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5호, pp.113-127, 2015.
  5.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개정판, 박영사, 2007.
  6. D. Knoke and S. Yang, Social network analysis (2nd ed), SAGE Publications, 2008.
  7. 김창식, 곽기영, "개인의 네트워크 전략 성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3호, 2015.
  8. M. K. Ahuja, D. F. Galletta, and K. M. Carley, "Individual Centrality and Performance in Virtual R&D Groups: An Empirical Study," Management Science, Vol.49, No.1, pp.21-39, 2003. https://doi.org/10.1287/mnsc.49.1.21.12756
  9. 박준형, 곽기영, "특허 인용 관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셜네트워크분석관점," 지능정보연구, 제19권, 제3호, pp.127-213. https://doi.org/10.13088/jiis.2013.19.3.127
  10. K. Y. Kwahk, "The Impacts of Social Networks on Individual Adaptation to Technochanges,"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1, No.1, pp.29-47, 2011.
  11. R. Sparrowe, R. Liden, S. Wayne, and M. Kraimer, "Social Networks and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and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No.2, pp.316-325, 2001. https://doi.org/10.2307/3069458
  12. G. Conti, A. Galeotti, G. Mueller, and S. Pudney, "Popularity," Institute for Social & Economic Research, Vol.3, 2009.
  13. 조일현, "협동학습 상황에서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사회연결망 중심도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40권, 제2호, pp.77-98, 2009.
  14. 조일현, "협동학습팀 내 사회연결망 지수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24권, 제4호, pp.295-317, 2008.
  15. 정혜온, "SNS에 의한 교우관계 분석과 지도 방안," 교육문화연구, 제13권, 제2호, pp.137-158, 2007.
  16. T. Palonen and K. Hakkarainen, "Patterns of Interaction in Computer-Supported Learning:A Social Network Analysis," Fourth International Confernce of Learning Sciences, pp.334-339, 2000.
  17. M. Al. Duijin and J. K. Vernunt, "What is special about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Vol.2, No.1, pp.2-6, 2006. https://doi.org/10.1027/1614-2241.2.1.2
  18. 옥경영, 홍재영, "청소년의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지위(social standing)가 온라인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370-37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