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창용. (2004). 농기계사고의 경제.사회적 비용 추계. 농촌경제, 27(2), 1-20.
- 고용노동부. (2014). 2013년 산업재해 현황분석. 서울: 고용노동부.
- 권순찬, 류현철, 인희교, 이경숙, & 이수진. (2008). 일부 농업인에서의 근골격계 질환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지, 33(1), 1-10.
- 권영준, & 정윤경. (2012). 농업인 재해보장제도 도입 방안. 대한의사협회지, 55(11), 1078-1082. https://doi.org/10.5124/jkma.2012.55.11.1078
- 김도수 (1994). 평생교육. 서울: 양서원.
- 김진모, 이경숙, 황영훈, 송민철, 김민지, & 김효철. (2013). 학습영역에 따른 농작업 안전관리자 교육프로그램 교수계획안 프레임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5(3), 125-146.
- 김진모, 이택선, 이경숙, 김경란, 길대환, & 김효철 외. (2007). ISD 모델에 기초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69-95.
- 김진석, 우극현, 민영선, 김보균, 최경숙, & 박기수. (2010).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한국형 참여형 개선 활동 교육(PAOT)의 개발과 실제 적용 사례. 농촌의학.지역보건, 35(4), 417-427.
- 김진호, 최철용, 박혜경, & 강병재. (2001). 교육방법의 기초. 서울: 문음사.
- 김진화. (2001).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론. 경기: 교육과학사.
- 나승일, 이용환, 정철영, 이해선, & 김준영. (2001). ISD를 적용한 전문대학의 모듈식 교재개발 모형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3(3), 83-115.
- 나승일, 정철영, 김진모, 안강현, & 김강호. (2006).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1-22.
- 농림부. (2004). 2004 농림통계연보. 경기: 농림부.
- 농촌진흥청. (2003). 농업인의 직업성질환 관련 위해 요인 영향평가 및 종합적 관리시스템 개발. 수원: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2011). 고령농업인의 작업안전 관리. 수원: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n.d.a). 농업용어사전.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menuId=PS00064&searchWord=%EB%86%8D%EC%9E%91%EC%97%85&totalSearchYn=Y에서 인출.
- 농촌진흥청(n.d.b). 농업기계 농작업사고 실태 조사.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Main.ps?menuId=PS00246&tabSeq=0&tempMenuId=PS00455에서 인출.
- 마상진, & 김영생. (2006). 농업인의 교육: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1-26.
-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 최정임. (2011).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4판). 경기: 교육과학사.
- 박소연, & 김진경. (2014). 과수재배 농업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8), 266-276.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66
- 신국범. (2009. 7). 농업인 10명 중 4명이 농기계 사고 경험. 소비자시대, 2009년 7월호, 42-43.
- 신영선, 강영은, 오동엽, 지달님, & 임승빈. (2008). 마을회관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4(3), 75-87.
- 여태철. (1998). 성인교육의 전생애발달이론적 정당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오인경, & 최정임. (2005).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서울: 학지사.
- 이경숙, 김경란, 김효철, & 김경수. (2005). 한국의 농작업 재해실태 및 연구동향. 2005년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농작업재해 예방전략 개발 국제 심포지엄, 61-108.
- 이관석. (2009, 9). ILO 농업산업보건협약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농업인 건강연구회 2009년 6차 세미나 발표자료, 수원.
- 이병훈, 김동원, 박혜진, & 윤영석. (2012). 농촌지역 마을회관 이용 활용도와 만족도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농촌계획, 18(3), 27-34.
- 이수진. (2012. 7). 한국 농업인의 농작업 관련 안전보건 실태. 농업인 건강연구회 2012년 6차 세미나 발표 자료, 수원.
- 임금옥, & 조영채. (2012). 도시근교지역 농작업자들의 농부증과 피로자각증상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5), 2156-2169. https://doi.org/10.5762/KAIS.2012.13.5.2156
- 임철일. (2012).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서울: 교육과학사.
- 정민예, 양노열, 유인규, 고상백, 이경숙, & 김경란외. (2008). 일 지역 농업인의 근력강화운동이 정신사회 및 신체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20(4), 343-350.
- 정상택, & 나승일. (2005). 최고농업경영자과정 학습자의 교육참여 동기.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3), 77-98.
- 한국소비자원. (2009. 5). 안전취약 계층 보호를 위한 농업기계 안전실태 조사. http://www.ciss.go.kr/www/downloadBbsFile.do?atchmnflNo=2379에서 인출.
- 한준상. (1999). 포스트모던 지식생산을 위한 성인교육학의 방법론. 서울: 학지사.
- Batino, J. (1997, 10). Work improvement in small enterprises(WISE) project in the Philippines. Proceedings of the 5th Southeast Asian Ergonomic Society Conference on Human Factors Vision-Care for the Future, 536-541.
- Bhasin, K. (1991). Participatory development demands participatory training. Convergence, 24(4), 5-15.
- Brooks, J.G., & Brooks, M.G. (1993). In search of understanding: The case for constructivist classrooms. Arlington,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Brooks, M. G., & Brookds, J. G. (1999). The courage to be constructivist. Educational Leadership, 57(3), 18-24.
- Brophy, J., & Good, T. L. (1986).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achievement. In M. C.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3th ed.) (pp. 328-375). New York, NY: Macmillan.
- Caffarella, R. S., & Daffron, S. R. (2013). Plann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Cornwall, A., & Jewkes, R. (1995). What is participatory research? Social Science & Medicine, 41(12), 1667-1676. https://doi.org/10.1016/0277-9536(95)00127-S
- De Jager, B. (2002).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The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 and cognitive apprenticeship on comprehension skills and metacognition. Groningen, NED: Proefschrift GION.
- Dick, W. O., Carey, L., & Carey, J. O. (2009).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 Friere, P. (1989). Pedagogy of the oppressed. New York, NY: The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 ILO. (2015). Agriculture: a hazardous work. Retrieved from http://www.ilo.org/safework/areasofwork/hazardouswork/WCMS_356550/lang--en/index.htm
- Kawakami, T., Kogi, K., Toyama, N., & Yoshikawa, T. (2004). Participatory approaches to improving safety and health under trade union initiative: Experiences of POSITIVE training program in Asia. Industrial Health, 42(2), 196-206. https://doi.org/10.2486/indhealth.42.196
- Kemp, J. E., Morrison, C. R., & Ross, S. M. (1994). Designing effective instruction. New York, NY: Merrill.
- Khai, T. T., Kawakami, T., & Kogi, K. (2011).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Hanoi, VNM: ILO DWT for East and South-East Asia and the Pacific.
- Kogi, K. (2006). Participatory methods effective for ergonomic workplace improvement. Applied Ergonomics, 37(4), 547-554. https://doi.org/10.1016/j.apergo.2006.04.013
- Mager, R. F. (1988). Making instruction work. Belmont, CA: Lake.
- Mujis, D., & Reynolds, D. (2005). Effective teaching: Evidence and practice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Robertson, G., & Lang, H. (1991). Instructional approaches: A framework for professional practice.
- Rothwell, W. J., & Kazanas, H. C. (1992). Assessing relevant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L. Nadler & Z. Nadler (Eds.), Mastering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 systematic approach. College Park, MD: Jossey-Bass.
- Seels, B., & Glasgow, Z. (1990). Exercises in instructional design. Columbus, OH: Merrill Publishers.
- Smith, P. L., & Ragan, T. J. (1999). Instructional desig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피인용 문헌
- Effectiveness Evaluation of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Farmer Leaders vol.49, pp.4, 2015, https://doi.org/10.23840/agehrd.2017.49.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