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작업 안전보건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7초

농업인 건강 및 안전을 배려한 인간공학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A Review of Studies on the Farmer's Safety and Health in Korea on the ergonomic perspective)

  • 곽효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165-4176
    • /
    • 2014
  • 농업의 유구한 역사와 달리 농작업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이 다소 뒤쳐진 현실에서 농작업에서 인간공학 적용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였고 향후 농작업자들의 안전보건과 작업능률 향상을 위하여 진전된 연구가 필요한 항목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과 관련 학회로부터 2000년부터 2014년 현재까지 발표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토 결과, 농작업장비설계분야 26.4%, 안전관리분야12.1%, 보건건강분야55.0% 그리고 제품설계분야 6.4%로 분류되었다. 4개 범주 중에서 보건건강분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제품설계분야가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농작업장비설계분야는 편이장비의 보급, 보건 건강관리분야는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예방에 관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향후, PL가능성. 작목, 작업형태별 적정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의 산정과 같은 직무설계, 방한작업복 및 작업보호구 설계에 관한 연구가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작업 손상에 대한 주관적 부담의 종류 및 특성 (Type and Characters of Agricultural Injury Subjective Burden)

  • 윤간우;임상혁;박진우;이경숙;채혜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1권1호
    • /
    • pp.1-12
    • /
    • 2016
  • 농업인의 안전보건 정책 수립에 있어 농작업 재해 규모 및 특성 파악뿐만 아니라 손상 부담 평가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작업 재해자를 대상으로 주관적인 손상 부담 종류 및 그 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2013년 농업인 업무상 손상 조사에서 파악된 재해자를 대상으로 손상 이후 발생되는 부담을 의료비등 직접 비용과 관련된 1개 항목과 생산성 감소, 인건비 증가 등 간접 비용과 관련된 5개 항목으로 파악하였다. 항목별 분포를 비교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농업인의 특성 및 농작업 손상 특성에 따라 부담 항목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457명의 농작업 재해자에서 주관적 손상 부담중 '치료기간 중 일을 쉼(휴업)으로 인해 농업에 차질'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가족에 농업 활동 과중 부담 초래', '치료비로 인한 가계 압박', '작업이 지체되어 생산물의 품질 저하', '고용 인건비 증가', '농업 규모 축소'순이었다. 주관적 손상 부담 항목별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치료기간 중 일을 쉼(휴업)으로 인해 농업에 차질'은 연령, 재해 발생시기, 휴업 치료 기간, 농기계 사용여부이며, '가족에 농업 활동 과중 부담 초래'는 가족수, 농작업 기간, 휴업 치료기간이었다. '치료비로 인한 가계 압박'은 입원 치료 여부와 년간총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기존에 신체 제한이 있었던 경우에는 모든 항목의 주관적 손상 부담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농작업 재해자의 경우, 의료비와 같은 직접 비용에 대한 부담보다는 간접 비용에 대한 부담이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농업인의 특성 및 농작업 재해 특성 따라 부담 항목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농작업 재해가 발생한 농업인에 대한 지원에 있어 간접 비용 부담을 줄이려는 목표와 함께 구체적인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례보고>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한국형 참여형 개선활동 교육(PAOT)의 개발과 실제 적용 사례 (<Field action repor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PAOT)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 김진석;우극현;민영선;김보균;최경숙;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4호
    • /
    • pp.417-427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형 농업인 참여형 개선활동 기법(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PAOT)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더 많은 지역으로 이 프로그램이 확산되는 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진은 농작업 환경 체크리스트를 노지, 과수, 시설, 축산, 복합농 등의 5개 범주로 구분하여 실제 우리나라 농작업 현장에 적합한 것으로 개발하였다. 체크리스트는 농작물 운반과 보관, 작업대와 연장 도구, 안전한 농기계 사용, 농작업 환경관리, 휴식과 일의 분담, 기초안전관리 등 6개의 대분류에 3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대분류별로 4-7개의 문항으로 구성이 된다. 또한 체크리스트와 교육에 포함할 모범사례들은 연구진이 직접 촬영한 사진과 외국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삽화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제작한 삽화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재를 바탕으로 한국형 PAOT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상북도의 4개 농촌 마을의 농업인 94명을 대상으로 2007년 7월에서 2008년 10월까지 4회의 참여형 농작업환경 개선교육을 수행하였다. 교육이 종료 3개월 후 연구진들이 직접 참여 농업인들의 농가를 방문하여 농업인들의 개선계획 실천여부를 확인하였고,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는 "개선성과 중간 평가회"를 개최하여 개별 마을민들의 개선 성과를 전체 참가자들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체 대상자 307명(남자 142명, 여자 165명)중 남자 59(41.5%)명, 여자 35(21.2%)명 등 총 94(30.6%)명이 PAOT 교육에 참가하였다. 전체 교육의 진행시간에 대한 적절성에서는 94.8%가 '만족한다' 이상으로 응답하였고, 교육의 전반적인 내용에는 98.9%가 '만족한다' 이상으로 응답하였고, 농작업 체크리스트 실습에는 100.0%가 '만족한다'고 응답하는 등 만족도 조사 문항 모두 90% 이상에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농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PAOT 기법은 자발적이면서 지속적으로 농업인의 안전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향후 보다 객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더 많은 실제적인 적용 경험을 축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농작업 안전보건관리 전문가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Agricultural Work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pecialist Training Course)

  • 이현경;채혜선;박수인;김인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3호
    • /
    • pp.131-142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nurturing experts who perform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task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First, job definitions and job models of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managers were derived through job analysis using the DACUM technique. Second, job demand analysis was conducted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difficulty, importance, and frequency of each task. Third, IPA analysis was performed as the first priority tasks of job demand analysis to present the courses and subjects of the training course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in agricultural work. The job of the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manager was defined as "to conduct guidance and advice 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risk factors, and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harmful factors to protect farmers' professional health and safety." The job model consisted of 4 tasks, 31 core tasks, and 67 detailed tasks. As a result of job demand analysis, there were 39 tasks in the 1st priority, 22 in the 2nd priority, and 6 in the 3rd priority.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there were 13 'capacity development focused areas', 4 'capacity development effort areas', 11 'low priority areas', and 3 'continuous maintenance areas'.

핀란드의 농업보건서비스 사례와 시사점 (Research on Farmers'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in Finland)

  • 이경숙;;김효철;채혜선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4호
    • /
    • pp.1007-1028
    • /
    • 2014
  • 핀란드는 한국과 유사하게, 자영농 및 소규모 기업농 위주로 농업구조가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 산업과는 별도의 농업안전보건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핀란드의 농업보건서비스(Farmers'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FOHS) 제도를 검토하여 한국 농업 안전보건 체계의 발전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핀란드 농업안전보건체계는 자영농을 대상으로 국립 농업보건센터의 조율 하에 각 지자체의 산업보건 및 농업 전문기관이 농업인에게 농업보건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용에 대해서는 사회보장제도에서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른 시사점은 첫째, 예방방안에 대한 국가 표준을 제시하고 재해통계, 원인연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국립농업보건센터가 필요하다. 둘째, 저비용, 저난이도의 농작업 환경 평가 및 개선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보험할인 및 사회보장제도를 활용한 서비스를 통해 농업인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넷째, 안전보건 기관 및 전문가의 육성, 지역 및 작목별 맞춤 서비스 등 지역특성에 맞는 안전보건 서비스의 제공이 확보되어야 한다.

농업인들의 업무상질환 예방에 대한 인식도 - 질적연구방법을 토대로 (Awareness of the Prevention of Work-Related Diseases among Farmers -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서애림;김지연;김보경;이경예;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4호
    • /
    • pp.211-219
    • /
    • 2022
  • 이 연구는 농업인들의 업무상 재해 예방 인식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고 이를 위해 대상자는 일개 광역시도의 농업인 단체 중 연구에 동의한 회원이다. 인터뷰 참여자는 5개 단체의 18명이 었다. 연구 결과 농업인들이 제공받은 업무상 질병 예방 관리 서비스는 현재 주로 기존의 다른 교육시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 많았으며 그마저도 본인이 하고있는 농작업과 관련성이 적어 실효성이 낮았다. 안전교육에 대한 참여에 강제성이 있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있었고, 참여시 인센티브 나아가서 인증제를 도입하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관리를 위한 것 중, 예방, 진단, 치료, 보상 분야 등으로 구분하였을 때, 먼저 필요한 것은 진단, 치료를 위한 병원 지정(농업인 업무상 재해를 진료할 수 있는 병원)과 농업인 안전 보험의 보상 내용의 실질화를 요구하였다. 즉 예방에 대해서는 실천의 어려움 그리고 단기 효과의 부재 등을 이유로 중요성에 비해 요구도는 오히려 낮았다. 가장 우선하여 예방을 시행해야 하는 업무상 질병의 종류는 근골격계질환, 농약 중독 관련 질환(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 질환, 알레르기 질환 등 다양하게 응답하였을 하였다. 그런데 이는 농작업 시 본인들이 느끼는 유해인자에 따른 결과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업무상 질병을 진단받은 농업인 환자를 위해서는 농업인 안전 보험 강화라고 하였다. 농업을 안전하고도 건강하게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농업인의 업무상 재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농업인들의 문화, 경제적 장벽 해소 그리고 우리나라 농작업 특성을 고려한 사업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형 농작업 안전보건 농가 인증제도 수립을 위한 프레임워크 및 평가항목 설계 (A Framework and Evaluation Index Design for Establishing Agricultural Work Safety and Health Farm Certification Systems in Korea)

  • 김인수;채혜선;이경숙;김경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49-760
    • /
    • 2015
  • This study establishes a safe and healthy farm certification system for Korean farmers and presents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assessment items.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s for safety and health were compared through a review of local and international studies as well as an examination of advanced examples. Then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assessment items were objectively verified through an expert evaluation process. As a result, four domains of certification participation, implement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and post management were identified as component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assessment measures, 6 categories, 21 factors, and 96 items were derive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appropriate fo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농업인을 위한 학습자 참여형 안전보건 교육 프로그램 설계 (A Study on Developing the Participatory Educational Program of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for Farmers)

  • 김진모;황영훈;손규태;채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2호
    • /
    • pp.205-21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 of farmer's safety and health. After investigating the concept and status of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o identify the problem of farmer's safety and health, we made the model in 3 steps, consist of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 design and the participatory instructional method. We also applied the participatory instructional method to the program to facilitate a change in practice by making farmers understand the cont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s: 1) we developed the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farmers as learners; 2) th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model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and the specific procedures that we made up; 3) we designed the program in modules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4) we rais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learning contents in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targeting farmers; 5) manuals and supplementaries for teachers were developed from learner's textbooks.

농작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안전보건 기술지침 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Guidelines for Safety and Health in Agricultural Workplaces)

  • 정원건;김경수;서민태;김효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5-395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select items for technical guidelines through the guidelines of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for agricultural workplaces. Methods: All 1,308 guidelines provided by KOSHA were reviewed and categorized using a Delphi technique questionnaire on their compatibility and urgency. Results: Among all the KOSHA guidelines, 100 items related to agricultural workplaces were selected. After that, two Delphi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46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he average compatibility was calculated as 4.26, and urgency was 2.39.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tent validity of 46 items, six items were identified that were not relevant to agriculture. The final selected item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Health examination and management, machinery standards, safety and health standard guides, and workplace environment management. Conclusions: The various risk factors at agricultural workplaces should be prevented and managed. It was shown that related technical guidelines or work standard manuals should be prepared. The technical guidelines of KOSHA will be provided as basic categor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농작업에서 안전보건정보 표시의 농업인 이해도 조사 연구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by Agricultural Workers)

  • 임창욱;임경채;황해영;최상준;송영웅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3
    • /
    • 2010
  • This study surveyed the reading discomforts and the reasons for discomfortable reading of the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texts and icons) presented on the agricultural vehicles/machines, pesticides, fertilizers, and feeds. Eighty seven people residing in rural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terview.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most discomfortable product in reading the texts was pesticides. Forty three (49%) among participants had very-discomfortable or discomfortable in reading the texts used in the label of pesticides, and the main reason for the discomfort was small text size. The reading discomforts in reading the texts (varied from 4 point to 19 point and presented in 50 cm reading distance) showed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age groups. Three age groups (50s, 60s and older than 70s) showed a similar discomfort pattern, but different from the group of 30s and 40s. Forty four people (51%) had a problem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icons and the main reasons were the small size and the difficulty in inferring the meaning of the icons. Thus, the more detailed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presentation format, particularly about the text heights and the size of icons, are required. Also,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readability and legibility of texts and ic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