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Variables on Expectation of Reality Shock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Focus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erfectionism

예비보육교사의 현실 충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인구학적 배경,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성향을 중심으로

  • 하지영 (우송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양은 (우송대학교 사회복지.아동학부)
  • Received : 2015.09.02
  • Accepted : 2015.10.18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individual variables, ego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erfectionism of pre-service daycare teachers can predict anxiety about reality shock after being daycare teachers. Subjects were 176 college students in their 1st~4th year who wanted to become daycare teachers. The data were verified by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year of school they were in, the higher the anxiety about reality shock wa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go resilience, self-efficacy, perfectionism, and anxiety about reality shock. Specifically, as ego resilience and self-efficacy are lower and perfectionism is stronger, anxiety about reality shock was found to be higher. Finally, the year of school, self-efficacy, and perfectionism of pre-service teacher turned to be variables predicting anxiety about reality shoc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earched for a solution to reduce anxiety about reality shock of pre-service daycare teacher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do properly prepare futur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들의 개인적 변인,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성향이 보육교사가 된 이후 맞이하게 될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보육교사를 희망하는 1~4학년 대학생 176명이었으며, t-검증, ANOVA,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학년이 높아질수록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정도가 더 높아졌다. 둘째,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성향,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자아탄력성이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완벽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의 학년,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성향은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보육교사가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고, 미래의 교사로서 적절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숙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65-83.
  2. 김신영 (2003). 유아교육 현장에서 예비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교사들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3(2), 27-44.
  3. 김신영 (2005). 교육 실습 전후 그리고 초임교사로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변화. 유아교육연구, 25(4), 211-234.
  4. 김아영 (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19.
  5. 김아영, 차정은 (1996).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1-64.
  6. 김현진 (2012).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현실충격(reality shock)과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151-173.
  7. 문태형 (2013).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지능과 조직몰입간의 관계. 아동교육, 22(1), 5-19.
  8. 문태형 (2015).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착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아동교육, 24(1), 5-21.
  9. 민동일 (2007).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유진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오숙자, 박은주 (2015).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선택동기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3(2), 79-97.
  12. 오옥선 (2014). 유아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이 교사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91-310.
  13. 유지연, 황혜정 (2014).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131-146.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131
  14. 윤갑정, 차정주 (2012).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가 교육실습 불안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1(3), 77-94.
  15. 윤혜미, 노필순(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157-184.
  16. 이세나 (2008). 예비보육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2), 181-190. https://doi.org/10.5934/KJHE.2008.17.2.181
  17. 이주연, 김유진 (2014).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2(3), 107-125.
  18. 이지연 (2011). 완벽주의 성향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초등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1), 45-59.
  19. 이지희, 김혜연 (2014).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주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1), 5-21.
  20. 이현경 (2000). 유치원 초임교사가 교직 수행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수도권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5(2), 185-204.
  21. 정혜욱, 이옥형 (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22. 조성연, 이정희 (2014).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교사이미지의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1), 63-73. https://doi.org/10.6115/fer.2014.52.1.63
  23. 조용성 (2014). 초등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삶의 만족, 심리적 소진의 관계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조준오, 송주연, 김윤희 (2011). 예비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55-75.
  25.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 부적응.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허수윤, 서현아 (2014).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34(4), 423-440.
  27. 현정환 (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6), 117-131.
  28. 황은희, 이현 (2010).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3), 31-41. https://doi.org/10.6115/khea.2010.48.3.031
  29. 황해익, 김은정 (2015). 유아교사의 완벽주의와 정서경험이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1), 195-218.
  30. 황해익, 박성미, 탁정화 (2015).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193-218
  31. Atsushi, O., Hitoshi, N., Shinji, N., & Motoyuki, K.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Japanese Journal of Counseling Science, 35(1), 57-65.
  32. Atsushi, O., Hitoshi, N., Shinji, N., & Motoyuki, K. (2003). Construct validity of the adolescent resilience scale. Psychological Report, 93(3), 1217-1222. https://doi.org/10.2466/PR0.93.8.1217-1222
  3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4.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2_3
  35. Bieling, P. J., Israeli, A. L., & Antony, M. M. (2004). Is perfectionism good, bad, or both? Examining models of the perfectionism construct.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s, 36(6), 1373-1385. https://doi.org/10.1016/S0191-8869(03)00235-6
  36. Chang-Kredl, S., & Kingsley, S. (2014). Identity expecta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memories of prior experiences and reasons for entry into the profess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3(1), 27-36. https://doi.org/10.1016/j.tate.2014.05.005
  37. Cornu, R. L. (2009). Building resilienc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5), 717-723. https://doi.org/10.1016/j.tate.2008.11.016
  38. Flett, G. L., & Hewitt, P. L. (2002). Perfectionism and maladjustment: An overview of theoretical, definitional, and treatment issues. In P. L. Hewitt, & G. L. Fle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 5-31).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9. Frost, R. O.,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https://doi.org/10.1007/BF01172967
  40. Fuller, F. F. (1969).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2), 207-226. https://doi.org/10.3102/00028312006002207
  41. Greer, J., & Greer, B. (1992). Stopping burnout before it starts: Prevention measures at preservice levels.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15(3), 168-174. https://doi.org/10.1177/088840649201500303
  42. Gu, Q., & Day, C. (2007).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8), 1302-1316. https://doi.org/10.1016/j.tate.2006.06.006
  43. Hewitt, P. L., & Flett, G. L. (1991). Dimensions of perfectionism in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1), 98-101. https://doi.org/10.1037/0021-843X.100.1.98
  44. Kim, H., & Cho, Y. J. (2014).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 sense of teaching efficacy, and expectation of reality shock.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2(1), 67-81. https://doi.org/10.1080/1359866X.2013.855999
  45. Klassen, R. R., & Chiu, M. M. (2011). The occup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quit of practicing and pre-service teachers: Influence of self-efficacy, job stress, and teaching contex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6(2), 114-129. https://doi.org/10.1016/j.cedpsych.2011.01.002
  46. Kontas, H., & Demir, M. (2015). The effect of pedagogical formation courses upon the professional self-efficacy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74(1), 1643-1649. https://doi.org/10.1016/j.sbspro.2015.01.816
  47. Lopez, S. J., & Snyder, C. R. (2008).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8. Masten, A. S., Best, K., & Garmezy, N. (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a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4), 425-444.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812
  49. O'Neill, S., & Stephenson, J. (2011). The measurement of classroom management self-efficacy:A review of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ment and influences. Educational Psychology, 31(3), 261-299. https://doi.org/10.1080/01443410.2010.545344
  50. O'Neill, S., & Stephenson, J. (2012). Exploring Australian pre-servi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ts sources, and some possible influenc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8(4), 535-545. https://doi.org/10.1016/j.tate.2012.01.008
  51. Stoeber, J., & Rennert, D. (2008). Perfectionism in school teachers: Relations with stress appraisals, coping styles, and burnout. Anxiety, Stress, & Coping, 21(1), 37-53. https://doi.org/10.1080/10615800701742461
  52. Tuchman, E., & Isaacs, J. (2011). The influence of formal and informal formative pre-service experiences on teacher self-efficacy. Educational Psychology, 31(4), 413-433. https://doi.org/10.1080/01443410.2011.560656
  53. Veenman, S. (1984).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8. https://doi.org/10.3102/00346543054002143
  54. Weinstein, C. S. (1988). Preservice teachers' expectations about the first year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1), 31-40. https://doi.org/10.1016/0742-051X(88)90022-4
  55. Woolfolk, A. E., & Hoy, W. K. (1990). Prospecti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s about contro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81-91. https://doi.org/10.1037/0022-0663.82.1.81

Cited by

  1.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자아탄력성이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 vol.20, pp.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20.20.04.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