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and fallacy for linear equations and functions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오류

  • Received : 2015.05.08
  • Accepted : 2015.09.21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In this paper, we study the recognition and fall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 concepts of liner equations and liner functions. We chose 163 8th grade students and 103 9th grade students in M city and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and fallacy about the concepts of liner equations and liner functions. We found following fact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 an equation with respect to x as an equation, but do not recognize an equation with respect to y as an equation.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tend to recognize a linear function as a constant function y=p.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tend to distinguish an equation and a function according to the form of an algebraic expression. Finally, middle school students discern the difference between an equation and a function using their concepts in textbooks.

본 연구에서는 방정식과 함수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오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M시 관내에 있는 중학교 2학년 163명과 3학년 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인식과 오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x에 대한 일차방정식은 방정식으로 인식하는 반면 x가 아닌 다른 문자를 사용한 일차방정식은 방정식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학생들은 상수함수 y=p 를 일차함수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학생들은 식을 표현하는 형태에 의존하여 방정식과 함수를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학생들은 방정식과 함수의 가장 큰 차이점에 대해 교과서의 개념정의에 의해 판단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호경 외 11인 (2013). 중학교 수학 1. (주)교학사.
  2. 김남희 (2009). 변수 개념의 분석 및 교수-학습. 경문사.
  3. 김남희.나귀수.박경미.이경화.정용옥.홍진곤 (2011).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경문사.
  4. 류희찬 외 9인 (2013). 중학교 수학 1. 천재교과서.
  5. 박선화 (1998). 수학적 극한개념의 이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
  6. 박정미.이중권 (2013). 동일한 수학적 상황에서 문제해결 능력 분석 연구-방정식.부등식과 함수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883-898.
  7. 변희현.주미경 (2012). 우리나라 중학생의 함수 개념화 특성,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2(3), 353-370.
  8. 서종진 (2009). 일차방정식에서 변수의 위치에 따른 반응 유형에 관한 연구-중학교 1학년과 3학년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3), 267-289.
  9. 서종진 (2010). 문제 유형에 따른 풀이과정에서의 변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차방정식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2), 445-474.
  10. 오윤희 (2006).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함수 학습에서 겪는 인지적 장애에 대한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우미령 (2005). 중학생의 함수 개념 이해에 관한 연구: 함수의 표현방법에 따른 문제해결의 차이 비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우정호 (200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3. 우정호 외 16인 (2013a). 중학교 수학 1 교사용지도서. 두산동아.
  14. 우정호 외 16인 (2013b). 중학교 수학 1. 두산동아.
  15. 이강섭 외 10인 (2014). 중학교 수학 2. 미래앤.
  16. 이나현 (2009).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일차함수 그래프 과제 해결능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7. 이종희.김부미 (2003). 교수학적 처방에 따른 중학생들의 일차함수 오개념의 변화와 그 효과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5(1), 115-133.
  18. 이준열 외 7인 (2013). 중학교 수학 1. 천재교육.
  19. 전영배.노은환.김대의.정찬식.김창수.강정기.정상태 (2010).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 부등식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3), 543-562.
  20. 최은형 (2004).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Freudenthal, H. (1982). Variables and Functions,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n Functions, Enschede, Holland.
  22. Freudenthal, H. (1983). The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Reidel Dordrecht.
  23. Sajka, M. (2003). A Second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unction-A Case Stud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3, 229-254. https://doi.org/10.1023/A:1026033415747
  24. Sierpinska. A. (1992). On understanding the notion of function. In E. Duvinsky, & G. Harel(Eds.), The concept of function :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MAA Notes No. 25, pp. 25-58).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5. Usiskin, Z. (1988). Conceptions of School Algebra and Uses of variables, In The Ideas of Algebra K-12, NCTM 1988 yearbook, 8-19.
  26. Vinner, S. (1983). Concept definition, concept image and the notion of function, Int. J. Maths, 14(3), 293-305.
  27. Vinner, S. (1992). The function concept as a prototype for problems in mathematics thing. In E. Dubinsky, & G. Harel (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MAA Notes No. 25, pp. 195-214).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