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ew of the Yun, Baek-nam's Articles 「Theater and Society」(1920)

윤백남의 논설 「연극과 사회」(1920) 고찰

  • 성명현 (뮌헨 루트비히-막시밀리안 대학교 연극학 전공)
  • Received : 2015.06.24
  • Accepted : 2015.08.18
  • Published : 2015.10.28

Abstract

This study is to re-read Yun, Baek-nam(1888-1954)'s editorial "Theatre an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 criticism. He was a man of the theatre who pursued practical interests in compliance with the colonial reality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advocacy of theatre development work was based on the Japan-directional reformism and on Japan-friendly in following after Japan's improvement policy. His general discussion on Western theatre history had considerable errors as a result of focus on the social role and utility of the theatre. But his vindication of theatre-actor opened an era of interaction between theatre and intelligence in Korea. In addition, his enlightening view of a theatre became such as one of the cornerstones for the Shinkug Movement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에 활약한 연극영화인 윤백남(1888-1954)의 논설 "연극과 사회"를 포스트콜로니얼 비평의 시각에서 고찰하고 그의 흥극사업 주창의 핵심논점들과 연극관 및 현실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윤백남은 일제치하의 식민지 현실에 순응하고 타협하며 실리를 찾은 인물로, 그의 흥극사업론은 제국 일본 지향적 개조주의를 기조로 하며 일제의 민풍개선정책에 추수하는 주장이란 점에서 문화적 민족주의자들의 문화운동과는 대척점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의 서양연극사 개관은 연극의 사회적 역할과 공리적 기능에 치중한 결과 적잖은 오류를 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연극-배우 옹호론은 연극과 지식인이 본격적으로 교우하는 시대의 개막이자 연극문화의 주요 담당계층이 지식층으로 교대되는 지형적 변화의 단초로써 의미가 있으며, 그의 계몽주의적 연극관은 장차의 신극운동을 위한 하나의 초석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1-10)", 동아일보, 1920.5.4-16.
  2. 윤백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현철, "故友 尹白南에 얽힌 回想", 현대문학, 제87호, p.251, 1963(1).
  4. 김수남, "한국 신문화운동의 선구자: 윤백남의 영화인생 탐구", 청예논집, 제9호, 1995(2).
  5. 유민영, "신문화 초창기의 선구적 대중문예운동가", 연극평론, 통권33호, 2004(여름).
  6. 이민영, "윤백남의 연극개량론 연구", 어문학, 제116호, p.354, 2012(6).
  7. 곽근, "윤백남의 삶과 소설", 한국어문학연구, 제32집, pp.403-427, 1997(12).
  8. 이민영, "윤백남의 연극개량론 연구", 어문학, 제116호, pp.354-355. 2012(6).
  9. 정혜영, "식민지 역사소설의 운명-식민지시기 발표된 윤백남의 역사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론총, 제61호, pp.333-355, 2014(9).
  10. 고모리 요이치 저, 송태욱 역, 포스트콜로니얼: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 삼인, pp. 10-11, 2002.
  11. 민경숙, "호미 바바와 포스트콜로니얼 비평", 인문사회과학연구, 제3호, pp.41-56, 1999(7).
  12.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5), 동아일보, 1920.5.9.
  13.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1), 동아일보, 1920.5.4.
  14.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1-2), 동아일보, 1920.5.4-5.
  15.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10), 동아일보, 1920.5.16.
  16.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2-3), 동아일보, 1920.5.5-6.
  17.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3-4), 동아일보, 1920.5.6-8.
  18. 이민영, "윤백남의 연극개량론 연구", 어문학, 제116호, p.362. 2012(6).
  19. 김승태, 日本神道의 침투와 1910-1920年代의 神社問題, 서울대학교, p.38, 1986.
  20. 정채철, 일본 식민지주의 교육에 관한 사회사상사적 고찰, 건국대학교, p.163, 1982.
  21. 윤백남, "3.1운동 발발 당일의 인상: 내가 겪은 3.1", 신천지, 제1권, 제2호, p.117, 1946(3).
  22. 정혜영, "식민지 역사소설의 운명-식민지시기 발표된 윤백남의 역사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론총, 제61호, p.348, p.353. 2014(9).
  23. D. K. Fieldhouse, The Colonial Empire: A Comparative Survey from the Eighteenth Century, Houndmills, Macmilian, p.103, 1991.
  24. 에드워드 사이드 저, 김성곤, 정정호 역, 문화와 제국주의, 도서출판 창, p.59, 1995.
  25. Elman R. Service, Cultural Evolutionism: Theory in Practice, Rinehart and Winston, INC., p.6, 1971.
  26. 이민영, "윤백남의 연극개량론 연구", 어문학, 제116호, p.366. 2012(6)
  27.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3), 동아일보, 1920.5.6.
  28. 河竹繁俊, 日本の演劇, 東京堂, p.168, 1942.
  29. 三宅周太郞, 演劇五十年事, 鱒書房, p.90, 1942.
  30. 윤백남, "3.1운동 발발 당일의 인상: 내가 겪은 3.1", 신천지, 제1권, 제2호, p.20. 1946(3).
  31.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7), 동아일보, 1920.5.12.
  32.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6), 동아일보, 1920.5.9-11
  33.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9), 동아일보, 1920.5.15.
  34.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8), 동아일보, 1920.5.13.
  35. 문수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6. 서연호, 이상우, 우리연극 100년, 현암사, p.57, 2000.
  37. 김재석, 근대 전환기 한국의 극, 연극과 인간, p.339, 2010.
  38. 이두현, 한국신극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p.62, 1986.
  39. Benito Ortolani, The Japanese Theatre: From Shamanistic Ritual to Contemporary Plur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243-244, 1990.
  40. 허은, "日本의 新劇 形成過程: 文藝協會와 自由劇場을 중심으로", 梁光南 敎授 名譽退任 記念論文集, p.321, 1997.
  41. Andrea Gronemeyer, Schnellkurs Theater, DuMont Buchverlag, p.135, 2000.
  42. 윤백남, "演劇과 社會, 竝하여 朝鮮現代劇壇을 論함 (4), 동아일보, 1920.5.8.
  43. Andrea Gronemeyer, Schnellkurs Theater, DuMont Buchverlag, pp.70-75., 2000.
  44. 현철, "故友 尹白南에 얽힌 回想", 현대문학, 제87호, p.253. 19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