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Visual Contents on Mandala's Twining Rite

만다라 결연 의식의 시각 콘텐츠 구현

  • 김경덕 (위덕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
  • 김영덕 (위덕대학교 불교문화학과)
  • Received : 2015.06.10
  • Accepted : 2015.07.31
  • Published : 2015.10.28

Abstract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steadily growing owing to the Korean wave etc. and Buddhist cultural contents is a part of the cultural contents. However,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many ways has left much to be desired. That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public, who is not Buddhist scholar, to understand and take interest in conventional contents on Buddhist books themselves which are digitalized. Also, most contents researches are discussed on the necessity of contents development and just stay in these subjects, but it is insufficient to study a semantic analysis and visualizing contents on Buddhist books. So, in this paper, we analyse mandala's twinning rite in the Buddhist books and implement visual contents on the rite. The mandala is using toohadeokbul in a special way as the abhisinca rite. We analyse concept of the toohadeokbul and implement its visual contents which visualize ideological logic of Buddhism. The implemented contents are able to provide the public with Buddhist cultural experience of the yard. Additional, by trying to visualize descriptive expressions of Buddhist books, this paper could be a precedent for developing visual contents of unlimited data comprised in Buddhist books.

한류 붐 등에 기인하여 문화 콘텐츠 산업의 중요성이 높아가고 있으나 문화 콘텐츠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불교문화 콘텐츠에 대한 개발은 여러모로 미흡한 편이다. 그 이유로 기존 콘텐츠는 불교경전의 원형자체가 디지털화된 것에 불과하여 전문적인 불교학자 외에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기는 어려운 편이다. 또한 대부분의 콘텐츠 연구가 개발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지만, 원론 차원에 머물 뿐 경전의 의미 분석과 관련된 콘텐츠 시각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불교 경전의 내용 중 만다라 결연 의식의 의미를 분석하고 시각 콘텐츠로 구현하고자 한다. 만다라에서는 관정이라는 의식에 포함된 결연 의식에서 투화득불(投花得佛)이라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내포된 개념과 의미를 분석하고 시각 콘텐츠로 구현하여 이념적 논리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할 때에 어렵게만 느끼는 만다라 결연 의식을 시각적 콘텐츠로 제공하여 일반인들에게도 불교문화 체험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경전의 서술적 표현을 시각화하는 시도를 통하여 불교 경전에 담겨있는 무한한 자료를 콘텐츠화 하는 선례로 남길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노병석, 김아영, 이준우, "콘텐츠 산업의 융합 및 콜라보레이션 동향", 정보처리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2-18, 2014.
  2. 박정기, "빅데이터 시대의 문화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0권, 제1호, pp.323-334, 2014.
  3. 이기현, 윤호진, 김숙 외 11인, 2015년 콘텐츠산업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4. 조은정, "우리나라 불교문화 관련 디지털 콘텐츠구축과 지적재산권 보호 현황 및 실태", 아태무형 유산센터 무형문화재산 보호를 위한 전문가회의 발표집, pp.145-161, 2010.
  5. 이영숙, 신승윤, "디지털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통 문화원형의 캐릭터 분류 : 관음보살(觀音菩薩) 및 동자(童子)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27호, pp.153-176, 2012.
  6. 유동환, "불교의 대중화와 뉴미디어: 한국불교문화유산의 세계 문화 콘텐츠화 전략 연구", 불교학보, 제50권, pp.151-177, 2008.
  7. 김영덕 역주, 대비로자나성불경소 1, 소명출판, 2008.
  8. 최연주, "고려대장경과 문화콘텐츠 활용",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문물연구, 제25권, pp.107-129, 2014.
  9. 이영숙, 성민규, "유비쿼터스를 활용한 불교문화 콘텐츠의 새로운 연구방향 : 불교문화를 통한 종교캐릭터분류의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29권, pp.421-430, 2010.
  10. 이현석, "3D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불교 상징성의 초현실주의적 표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93-10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093
  11. 이기옥, 박성은, 이용규,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이용한 탑 다라니 콘텐츠 제작 및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1호, pp.298-308,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11.298
  12. 김경덕, 김영덕, "금강계만다라 애니메이션을 위한 상징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586-59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586
  13. 김경덕, 김영덕, "금강계5불의 시각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제2호, pp.216-218, 2014.
  14. http://kb.sutra.re.kr/ritk/index.do
  15. http://abc.dongguk.edu/ebti/index.jsp
  16. http://ebti.dongguk.ac.kr/ebti/main.html
  17. 立川武藏, マンダラ宇宙論, 東京法藏館, 1996.
  18. 松長有慶, 密敎.コスモスとマンダラ, 日本放送出版協會, pp.68-70, 1985.
  19. 김영덕 역, 금강정경, 동국역경원, 2007.
  20. 石田尙豊, 兩界曼茶羅の智慧, 東京美術, 1981.
  21. https://www.processing.org
  22. http://appinventor.mit.edu
  23. 金剛秀友, "密敎における戒律の特色", 佛敎における戒の問題, 日本佛敎學會, pp.105-105, 1967.
  24. 요리토미모토히로, 김무생 역, 밀교의 역사와 문화, 민족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