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와 식, 함수 영역에서 보이는 중학생의 수학적 오류 분석: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바탕으로

Analysis of Errors by Response Assessment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2013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 투고 : 2015.06.25
  • 심사 : 2015.08.05
  • 발행 : 2015.08.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서답형 문항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살펴보기 위하여 236개 학교 8007명의 답안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문항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 서답형 문항으로 내용 영역은 '문자와 식', '함수'이고 행동 영역은 '문제해결'과 '계산'이다. 두 문항 모두 주어진 문제 상황에 알맞은 식을 세우고 조건에 맞는 결과를 산출하는 문제이다. 분석 결과 각 문항에 따라 문제 상황을 파악하여 식을 세우고, 풀며, 결과를 기술하는 세가지 과정에서 다양한 오류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원인을 추론하여 교수학적 시사점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In the current study, answer sheets from 8007 students in 236 Korean schoo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examine errors that emerge in the process of solving descriptive questions of the National Educ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in mathematics. Questions used in the analysis were response assessment covering middle school mathematics topics: "mathematical symbols and equations" and "functions." The behavioral domain of the questions was that of "problem solving and computation," which requires establishing an equation for a word problem and allows the calculation of an answer that meets a certain condit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various errors in each stage of each question, from understanding to solving; the study attempts to conjecture causes for these errors and draw pedagogical implic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상숙(2012). 교육소외 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을 위한 수학학습에서 나타난 수학적 오류: 탈북학생과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2(2), 203-227.
  2. 권영인.정종규(2002). 수학문제 해결에 있어서의 오류 분류 및 그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중등교육연구, 14, 5-51.
  3. 권효진.김성훈 (2010). 수학과 성취도 검사 결과의 자기평가를 통한 오답원인 유형화. 교육평가연구, 23(4), 843-868.
  4. 김경희.김성숙.시기자.노은희.김수진.이인호.신진아.박인용.구남욱.김도남.김완수.구슬기.김부미.우석진(2014). 국가수준의 기초학력 점검을 위한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14-2.
  5. 김래영.이민희(2013). 중학교 2학년 서술형 평가문항 반응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3(3), 389-406.
  6. 김부미(2005). 경험적 구조주의에 의한 수학적 오류의 분류가능성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5(4), 461-488.
  7. 김부미(2009). 수학적 오류를 활용한 개념 성장학습 활동의 실제 적용가능성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3(2), 393-415.
  8. 김성훈(2001). 학업성취 평가결과 정보의 유형과 교육적 의의. 교육평가연구, 14(2), 1-15.
  9. 김수미(2003). 수학과 오류의 진단과 처방에 관한 교사용 자료 개발 연구. 학교수학, 5(2), 209-221.
  10. 김윤영(2003). 일차방정식 풀이 과정에서 보이는 오류의 유형 분석 및 교정 지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도순(2007). 교육평가-기해와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12. 박장희.유시구.이중권(2012). 실생활 문장제의 해결과정에 나타나는 오류유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699-718.
  13. 박효진(2008). 문자와 식 단원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오류분석; 중학교 1학년 수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14(1), 105-133.
  14. 서울시교육청(2011). 수학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중학교용-.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정보연구원.
  15. 성태제.송미영.전현정(2010).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점수화를 위한 문항반응이론의 적용. 교육과학연구, 41(3), 29-52.
  16. 송순희.오정현(1997). 중학교 함수영역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36(1), 11-22.
  17. 송영무.양두레(1997). 산술에서 대수로의 이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프로시딩, 5, 423-442.
  18. 시기자.신진아.박인용.구남욱.김완수.구슬기.김준엽.박찬호(2014).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변화 추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4-8.
  19. 신인숙(1996). 중학생의 함수에 대한 오개념 및 오류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심상길.최재용(2008). 함수 학습에 나타난 수학 학습부진아의 오류에 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2(3), 275-288.
  21. 안가영.권오남(2002). 함수 그래프 과제에서의 오류 분석 및 처치-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학적 환경에서-. 수학교육 논문집, 13(2), 337-360.
  22. 오정윤.노영순(2007). 남녀학생들의 도형 문장제 해결 오류 및 해결력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353-367.
  23. 오정윤.노영순(2007). 남녀학생들의 도형 문장제 해결 오류 및 해결력에 대한 비교 분석-중학교 3학년 대상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353-367.
  24. 우현철 (2000). 이차방정식과 부등식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원인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기석.이두호(2010). 무리함수의 가역성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학교수학논문집, 24(3), 709-730.
  26. 이대현.박배훈(2001). 수학교육에서 직관과 그 오류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 40(1), 15-25.
  27. 이용하.박지현(2011). 학습자의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수학 교사들의 PCK. 교과교육학연구, 15(1), 223-242.
  28. 이인호.조윤동.이광상(2014).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수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14-30-3.
  29. 이정은.김원경(1999). 중학생들의 일차 방정식에 관한 문장제 해결 전략 및 오류 분석. 수학교육, 38(1), 77-85.
  30. 이종희.김부미(2006). 일차방정식에서 오류 탐지-교정 학습법의 교수학적 효과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0(2), 461-483.
  31. 장수연.안병곤(2010). 수와 연산영역의 오류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지도 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55-376.
  32. 전영배.노은환.김대의.정찬식.김창수.강정기.정상태(2010).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부등식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4(3), 543-562.
  33. 정영옥(1997). Freudent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조완영.양재식(2003). 중학교 1,2학년 학생들의 함수 개념 이미지와 함수 정의 능력. 수학교육논문집, 15, 147-152.
  35. 조윤동.강은주.고호경(2011). 2011년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의 학교급별 성취 특성 분석. 학교수학, 13(2), 325-345.
  36. 천유영.임대근.류현아(2013). 수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함수적 표현의 번역 능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141-155.
  37. 최영기.홍갑주.도종훈.김민정(2002). 선다형 평가문항을 통한 오류분석. 수학교육논문집, 14(3), 151-162.
  38. 최지선(2003). 중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한경민.고상숙(2014). 원의 방정식의 서술형 평가에서 오류유형 분석. 학교수학, 53(4), 509-524.
  40. 허혜자.최정임(2009).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나타난 오개념에 대한 연구: 분수의 나눗셈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1(4), 643-644.
  41. 황혜정.김명수(2014).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오답원인 자기평가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8(2). 255-279.
  42. Akkoc, H. & Tall, D. (2003). The Function Concept: Comprehention and Complication. Proceedings of the British Society for Research into Learning Mathematics, 23(1), 1-6.
  43. Ashlock, R. B. (2002). Error patterns in computation: using patterns to Improve instruction, 8th edition. Upper SaddleRiver, NJ: Prentice Hall.
  44. Bray, W. S. (2013). How to Leverage the Potential of Mathematical Error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9(7), 424-431. https://doi.org/10.5951/teacchilmath.19.7.0424
  45. Clayton, G. A, Wilson, B, Scott, K. B., & Dorough, L. (1990). Successful Mathematics Teaching for Middle-school. Washington, D.C. :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ED 316-432.
  46. Cortes, A.(1993). Analysis of Errors and a Cognitive Model in the Solving of Equations. Proceedings of the 17th PME Conference. Vol. I, 146-153.
  47. Cortes, A & Kavafian(2004). Two Important Invariant Tasks in Solving Equations: Analyzing The Equation and Checking The Validity of Transformations. Proceedings of the 28th PME Conference, Vol 2, 247-254.
  48. Demetriou, A., & Efklides, A. (1994). Structure, development, and dynamics of mind: a meta-piagetian theory. In A. Demetriou & A. Efklides (Eds.), Intelligence, mind, and reasoning: structure and development (pp. 75-109). Amsterdam: orth-Holland.
  49. Glaser, R. (1991). Expertise and Assessment in M.C. NJ: Prentice Hall.
  50. Harder, N. M., Zaslavsky, O., & Inbar, S. (1987). An empirical classification model for errors in high school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1), 3-14. https://doi.org/10.2307/749532
  51. Horacek, H., & Wolska, M., (2006) Handling Errors in Mathematical formulas. In Ikeda, M., Ashley, K. D., Chan, T. W. (Eds.),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vol. 4053 (pp. 339-348). Heidelberg: Springer.
  52. Radatz, H. (1979). Error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0, 163-172. https://doi.org/10.2307/748804
  53. Ravizza, S. M., Anderson, J. R., & Carter, C. S. (2008). Errors of mathematical processing: The relationship of accuracy to neural regions associated with retrieval or representation of the problem state. Brain Research, 1238, 118-126. https://doi.org/10.1016/j.brainres.2008.08.030
  54. Sfard, A. (1991). On the dual nature of mathematical conceptions: reflections on processes and objects as 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 1-36.
  55. Sfard, A. (1992). Operational origins of mathematical objects and the quandary of reification- The case of function. In Harel & Ed. Dubinsky (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pp. 59-85). United States of America: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56. Tatto, M. T., Schwille, J., Senk, S., Ingvarson, L., Peck, R. & Rowley, G. (2008).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udy in Mathematics(TEDS-M) : Policy, Practice, and readiness to teach prim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Conceptual framework. Amsterdam: IEA.
  57. Vinner, S. (1983). Concept definition, concept image, and the notion of fun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14(3), 293-305. https://doi.org/10.1080/002073983014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