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고상숙(2012). 교육소외 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을 위한 수학학습에서 나타난 수학적 오류: 탈북학생과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2(2), 203-227.
- 권영인.정종규(2002). 수학문제 해결에 있어서의 오류 분류 및 그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중등교육연구, 14, 5-51.
- 권효진.김성훈 (2010). 수학과 성취도 검사 결과의 자기평가를 통한 오답원인 유형화. 교육평가연구, 23(4), 843-868.
- 김경희.김성숙.시기자.노은희.김수진.이인호.신진아.박인용.구남욱.김도남.김완수.구슬기.김부미.우석진(2014). 국가수준의 기초학력 점검을 위한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14-2.
- 김래영.이민희(2013). 중학교 2학년 서술형 평가문항 반응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3(3), 389-406.
- 김부미(2005). 경험적 구조주의에 의한 수학적 오류의 분류가능성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5(4), 461-488.
- 김부미(2009). 수학적 오류를 활용한 개념 성장학습 활동의 실제 적용가능성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3(2), 393-415.
- 김성훈(2001). 학업성취 평가결과 정보의 유형과 교육적 의의. 교육평가연구, 14(2), 1-15.
- 김수미(2003). 수학과 오류의 진단과 처방에 관한 교사용 자료 개발 연구. 학교수학, 5(2), 209-221.
- 김윤영(2003). 일차방정식 풀이 과정에서 보이는 오류의 유형 분석 및 교정 지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도순(2007). 교육평가-기해와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 박장희.유시구.이중권(2012). 실생활 문장제의 해결과정에 나타나는 오류유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699-718.
- 박효진(2008). 문자와 식 단원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오류분석; 중학교 1학년 수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14(1), 105-133.
- 서울시교육청(2011). 수학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중학교용-.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정보연구원.
- 성태제.송미영.전현정(2010).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점수화를 위한 문항반응이론의 적용. 교육과학연구, 41(3), 29-52.
- 송순희.오정현(1997). 중학교 함수영역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36(1), 11-22.
- 송영무.양두레(1997). 산술에서 대수로의 이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프로시딩, 5, 423-442.
- 시기자.신진아.박인용.구남욱.김완수.구슬기.김준엽.박찬호(2014).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변화 추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4-8.
- 신인숙(1996). 중학생의 함수에 대한 오개념 및 오류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심상길.최재용(2008). 함수 학습에 나타난 수학 학습부진아의 오류에 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2(3), 275-288.
- 안가영.권오남(2002). 함수 그래프 과제에서의 오류 분석 및 처치-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학적 환경에서-. 수학교육 논문집, 13(2), 337-360.
- 오정윤.노영순(2007). 남녀학생들의 도형 문장제 해결 오류 및 해결력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353-367.
- 오정윤.노영순(2007). 남녀학생들의 도형 문장제 해결 오류 및 해결력에 대한 비교 분석-중학교 3학년 대상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353-367.
- 우현철 (2000). 이차방정식과 부등식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원인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기석.이두호(2010). 무리함수의 가역성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학교수학논문집, 24(3), 709-730.
- 이대현.박배훈(2001). 수학교육에서 직관과 그 오류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 40(1), 15-25.
- 이용하.박지현(2011). 학습자의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수학 교사들의 PCK. 교과교육학연구, 15(1), 223-242.
- 이인호.조윤동.이광상(2014).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수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14-30-3.
- 이정은.김원경(1999). 중학생들의 일차 방정식에 관한 문장제 해결 전략 및 오류 분석. 수학교육, 38(1), 77-85.
- 이종희.김부미(2006). 일차방정식에서 오류 탐지-교정 학습법의 교수학적 효과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0(2), 461-483.
- 장수연.안병곤(2010). 수와 연산영역의 오류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지도 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55-376.
- 전영배.노은환.김대의.정찬식.김창수.강정기.정상태(2010).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부등식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4(3), 543-562.
- 정영옥(1997). Freudent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완영.양재식(2003). 중학교 1,2학년 학생들의 함수 개념 이미지와 함수 정의 능력. 수학교육논문집, 15, 147-152.
- 조윤동.강은주.고호경(2011). 2011년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의 학교급별 성취 특성 분석. 학교수학, 13(2), 325-345.
- 천유영.임대근.류현아(2013). 수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함수적 표현의 번역 능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141-155.
- 최영기.홍갑주.도종훈.김민정(2002). 선다형 평가문항을 통한 오류분석. 수학교육논문집, 14(3), 151-162.
- 최지선(2003). 중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경민.고상숙(2014). 원의 방정식의 서술형 평가에서 오류유형 분석. 학교수학, 53(4), 509-524.
- 허혜자.최정임(2009).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나타난 오개념에 대한 연구: 분수의 나눗셈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1(4), 643-644.
- 황혜정.김명수(2014).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오답원인 자기평가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8(2). 255-279.
- Akkoc, H. & Tall, D. (2003). The Function Concept: Comprehention and Complication. Proceedings of the British Society for Research into Learning Mathematics, 23(1), 1-6.
- Ashlock, R. B. (2002). Error patterns in computation: using patterns to Improve instruction, 8th edition. Upper SaddleRiver, NJ: Prentice Hall.
- Bray, W. S. (2013). How to Leverage the Potential of Mathematical Error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9(7), 424-431. https://doi.org/10.5951/teacchilmath.19.7.0424
- Clayton, G. A, Wilson, B, Scott, K. B., & Dorough, L. (1990). Successful Mathematics Teaching for Middle-school. Washington, D.C. :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ED 316-432.
- Cortes, A.(1993). Analysis of Errors and a Cognitive Model in the Solving of Equations. Proceedings of the 17th PME Conference. Vol. I, 146-153.
- Cortes, A & Kavafian(2004). Two Important Invariant Tasks in Solving Equations: Analyzing The Equation and Checking The Validity of Transformations. Proceedings of the 28th PME Conference, Vol 2, 247-254.
- Demetriou, A., & Efklides, A. (1994). Structure, development, and dynamics of mind: a meta-piagetian theory. In A. Demetriou & A. Efklides (Eds.), Intelligence, mind, and reasoning: structure and development (pp. 75-109). Amsterdam: orth-Holland.
- Glaser, R. (1991). Expertise and Assessment in M.C. NJ: Prentice Hall.
- Harder, N. M., Zaslavsky, O., & Inbar, S. (1987). An empirical classification model for errors in high school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1), 3-14. https://doi.org/10.2307/749532
- Horacek, H., & Wolska, M., (2006) Handling Errors in Mathematical formulas. In Ikeda, M., Ashley, K. D., Chan, T. W. (Eds.),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vol. 4053 (pp. 339-348). Heidelberg: Springer.
- Radatz, H. (1979). Error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0, 163-172. https://doi.org/10.2307/748804
- Ravizza, S. M., Anderson, J. R., & Carter, C. S. (2008). Errors of mathematical processing: The relationship of accuracy to neural regions associated with retrieval or representation of the problem state. Brain Research, 1238, 118-126. https://doi.org/10.1016/j.brainres.2008.08.030
- Sfard, A. (1991). On the dual nature of mathematical conceptions: reflections on processes and objects as 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 1-36.
- Sfard, A. (1992). Operational origins of mathematical objects and the quandary of reification- The case of function. In Harel & Ed. Dubinsky (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pp. 59-85). United States of America: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 Tatto, M. T., Schwille, J., Senk, S., Ingvarson, L., Peck, R. & Rowley, G. (2008).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udy in Mathematics(TEDS-M) : Policy, Practice, and readiness to teach prim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Conceptual framework. Amsterdam: IEA.
- Vinner, S. (1983). Concept definition, concept image, and the notion of fun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14(3), 293-305. https://doi.org/10.1080/002073983014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