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성주, 박희경(2011).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가설-연역적 탐구 실험 글쓰기 유형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309-335.
- 강순민(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교육과학기술부(200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구슬기, 박일우(2010). 초등 과학 글쓰기 지도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4), 427-440.
- 권순희(2011). 생물교육에서의 논리 논술. 2011학년도 한국생물교육학회 동계 학술대회자료집.
- 김동렬(2010). 토론 및 글쓰기 중심의 과학 탐구학습이 고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사회적 상호 작용, 과학 글쓰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1), 111-122.
- 김정현, 심규철 (2012). 고등학생의 생명과학 이슈에 대한 학습요구도 조사 연구. 과학교육저널, 42(2), 144-153.
- 김주연(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형자, 변정호, 권용주(2012).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6(2), 198-215.
- 김혜경(2010). 학생 포토폴리오 구성을 위한 글쓰기 지도 연구. 한국언어문학, 75, 401-425.
- 김흥집, 송신철, 심규철(2011). 생물 수업에서 비평기법의 활용이 학업 성취와 수업 인식에 미치는 효과.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4), 597-607.
- 남경식(2008). 과학용어로 인한 중학생의 어려움과 과학용어 활용 글쓰기를 통한 해결 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은희, 홍훈기(2011). 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견해의 주장형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163-174.
- 박지영, 신영준(2007). 초등학교 실험관찰에 나타난 과학적 사고력을 토대로 한 과학 글쓰기유형 분석. 과학교육논총, 20(1), 99-112.
- 박지영, 신영준(2008).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선호 유형 조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600-609.
- 배희숙(2008).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2007). 논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중등교사 연수. 서울: 가람문화사.
- 손정우(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 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33-355.
- 손정우(2009). 과학 글쓰기를 통한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연구. 과학영재교육, 1, 21-32.
- 손정우(2010). 영재 선발을 위한 초인지 사고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경향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0(1), 131-150.
- 송신철(2013). 생명복제에 관한 과학 글쓰기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1(1), 75-85.
- 송신철, 김흥집, 이치하, 김정민, 심규철(2007) 고등학생들의 생물 교과에 대한 흥미 조사 연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384-393.
- 신영준, 정완호(1995) 고등학교 문과 학생들의 생명공학과 유전공학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3(2), 201-212.
- 신영준, 황현옥, 박헌우(2009).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한 과학 글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1), 151-161.
- 신현숙(2008). 분석적 평가에 의한 논증글 쓰기 수행의 발달적 차이. 교육학연구, 46(1), 1-29.
- 심규철(2013). 생명 과학 기사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 영재들의 생명 과학에 대한 관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1(1), 86-96.
- 심규철, 송신철(2011). 생명 윤리 쟁점에 관한 과학 글쓰기에 나타난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조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2), 288-296.
- 여희숙(2007). 토론하는 교실. 서울: 노브16.
- 원진숙(1995). 논술 교육론. 서울: 박이정.
- 이남은, 차희영, 천재순(2009). 과학 글쓰기를 통한 세균 개념 변화 과정 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4), 594-606.
- 이성영(2001). 글쓰기 능력의 지표화 방안 연구 - 내용 생성 범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 연구, 14, 321-349.
- 이수형(2010). 쓸 말을 찾아내는 글쓰기. 가르침과 배움, 21, 38-41.
- 이종기, 박경화(2007)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과학의 생명 공학 관련 기술 및 탐구활동 비교 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302-319.
- 이혜정, 심규철(2012). 과학 영재의 세포 설명에 나타난 글쓰기 특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41-155.
- 이호진, 최경희(2004).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교과교육학연구, 8(3), 421-435.
- 정희선, 한인식, 여성희(2010). 중학생의 과학 글쓰기 활동이 과학 성취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3), 407-422.
- 천재훈(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활동.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천재훈, 손정우(2004). 과학글쓰기에 나타난 창의적 사고기능의 유형 분석 - 중학교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7(2), 285-304.
- 최미숙(2008). 토론학습이 중학생의 과학본성 및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Dori, Y. J., Tal, R. T., & Tsaushu. M. (2003) Teaching biotechnology through case studies - Can we improve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of nonscience majors?. Science Education, 87(6), 767-793. https://doi.org/10.1002/sce.10081
- Driver, R., Asoko, H., Mortimer, E., &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 Engelhard, G., Walker, E. V. S., Gordon, B., & Gabrielson, S. (1994). Writing tasks and gender: Influences on writing quality of black and whit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7(4), 197-209. https://doi.org/10.1080/00220671.1994.9941244
- Furtak, E. M., & Ruiz-Primo, M. A. (2008). Making students’ thinking explicit in writing and discussion: An analysis of formative assessment prompt. Science Education, 92(5), 799-824. https://doi.org/10.1002/sce.20270
- Hand, B., & Prain, V. (2002). Teachers implementing writing-to-learn strategies in junior secondary science: A case study. Science Education, 86(6), 737-755. https://doi.org/10.1002/sce.10016
- Hand, B., Hohenshell, L., & Prain, V. (2004). Exploring students' responses to conceptual questions when engaged with planned writing experiences: A study with year 10 scienc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2), 186-210. https://doi.org/10.1002/tea.10128
- Hong, J. L., Shim, K. C., & Chang, N. K. (1998). A study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s in biology and their implications for biolog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8), 989-999.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806
-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 115-13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15::AID-SCE2>3.0.CO;2-Q
- Kim, J. H., Shim, K. C., Kim, K., Song, S. C., So, K. H., Bae, J., & Kim, N. I. (2012).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Biological Issues in South Korea.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66, 466-468.
- Lawson, A. E. (1994).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California :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Martin, R. M. (1997). Scientific Thinking. Ontario. Broad-view Press.
- Potter, E. F., & Rosser, S. (1992). Facters in life science textbooks that may deter girls’ interest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7), 669-686. https://doi.org/10.1002/tea.3660290705
-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79-201.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643
- Sadler, T. D., & Zeidler, D. L. (2004) The morality of socioscientific issues : Construal and resolution of genetic engineering dilemmas. Science Education, 88(1), 4-27. https://doi.org/10.1002/sce.1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