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Frequency and Type Relating to Question in Science Class Context

과학 수업 상황에 따른 질문의 유형과 빈도에 대한 초·중학생의 인식 분석

  • Received : 2015.02.03
  • Accepted : 2015.04.02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2289 students questionnaires from 3rd to 9th grade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students' perceptions change aspect by their grade about the frequency and type of students' question during various science class context. After the class contexts proposed in the questionnaire subcategorize into 19 subitems about 4 areas of class content, class pattern, class material and class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and type of students' question during a science class by each i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students' question was that the most frequent was understanding question and the second was memory question and these both types were half frequency. There was no special tendency related the change of students' question type by school year. Second, the frequency of 4th grade students' question was the highest among other school year students and the frequency of students' question was lowered by the higher school year. The change of students' question by school year was the biggest between 3rd and 4th grade. The class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class effect reflect that the various and active students' question by class context and school year stimulates students' thinking and also builds up the active class environment.

이 연구는 다양한 과학 수업 상황에서 학생의 질문 빈도와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학년별로 어떻게 변화하는가 분석하기 위하여 3~9학년까지 총 2,28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분석한 것이다. 설문에 제시된 수업 상황은 수업 내용, 수업 형태, 수업 자료, 수업 진행 방식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하여 19가지 하위 항목으로 세분화한 후 각 항목별로 과학 수업 1차시 동안 학생이 제시한 질문의 유형과 빈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질문의 유형은 이해 질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기억 질문으로 두 유형이 5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학년별 질문 유형의 변화도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특히 잘 아는 내용의 수업, 강의 수업,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 교사가 교과서를 읽으면서 설명하는 수업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질문 빈도는 4학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학년별 질문 빈도의 변화는 3~4학년 사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수업 상황별, 학년별로 다양한 질문이 오갈 수 있도록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시키고 활발한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여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업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희(2005).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 피드백 양상과 개선 방안. 국어교육, 118, 65-98.
  2. 길양숙(1999). 중등학교 교사들이 사용하는 수업방법 및 교수행동의 분석. 교육과정연구, 17(1), 301-331.
  3. 김미경, 김희백(2007). 학생들이 제시한 질문의 유형 분석을 통한 개방적 참탐구 활동의 인지적 추론 측면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30-943.
  4.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1999a).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I)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77-388.
  5.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1999b).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II) -학생 질문의 유형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60-569.
  6. 김혜숙(2007). 질문생성 및 질문해결 전략이 지리수업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과교육연구, 46(3), 161-187.
  7. 김효남, 김운배, 김영순, 류재인(2003). 초등과학교수 학습 활동과 자료 유형에 따른 학생 참여도 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3(1), 94-114.
  8. 류완영, 배미은(2007). 웹 기반 탐구학습에서 탐구질문 유형이 지식 공유 과정과 공유 정신 모형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1), 249-278.
  9. 배진호, 김정아(2008). 고차적 질문 생성 전략이 초등 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555-565.
  10. 신동훈(2007). 과학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의문 유형과 초등교사들의 설명 유형과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26(2), 149-160.
  11. 양미경(2002). 학생의 질문 행동 및 내용의 특성과 그에 따른 교육의 시사점 분석. 교육학연구, 40(1), 99-128.
  12. 이명숙(2003).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질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질문의 유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명숙, 조광희, 송진웅(2004). 소집단 실험활동에 서 나타난 중학생 질문-응답의 유형과 빈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77-286.
  14. 이애숙(2008). 7학년 생물 영역에서 학생들이 제시한 질문의 유형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선화(2010). 질문 유형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어문연구, 38(1), 489-512.
  16. 정영란, 배재희(2002). 질문 강화 수업이 중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72-881.
  17. 정은정, 여성희(2010). 중학생의 학생 상호 질문생성 수업이 학업 성취도 및 수업 인식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3학년 생물 [세포분열]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2), 270-284.
  18. 조미영, 장지영, 유정숙, 김성원, 이현주(2010). 교수 학습 목적 및 과정에 따른 발문 유형 분석: 과학교사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2), 407-428.
  19.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09).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 채상수(2005). 중학생의 질문의 답을 찾는 경향에 따른 과학 학업성취도와 학생질문의 과학수업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최선미, 여상인(2011),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질문 유형 분석. 과학교육논총, 24, 137-146.
  22. 최용남(1997).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허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19-33.
  24. 홍경선, 김동익(2011). 공학교육에서 학생 생성 질문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업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4(6), 24-30.
  25. BouJaoude, S. (2000). Conceptions of Science Teaching Revealed by Metaphors and by Answers to Open-Ended Question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2), 173-186. https://doi.org/10.1023/A:1009477010693
  26. Chiappetta, E. L., & Koballa, T. R. (2010).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7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rill.
  27. Chin, C., Brown, D. E., & Bruce, B. C. (2002). Student-generated questions: a meaningful aspect of learn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521-549.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5249
  28. Dillon, J. T. (1988). Questioning and Teaching: A Manual of Practi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9. Eggen, P. K., & Dauchak, D. P, (2006). Strategies and models for teachers: teaching content and thinking skills, 4th ed. Boston: Pearson.
  30. Flanders, N. A. (1960). Interaction Analysis in the Classroom: Manual for Observers, Minnesota College of Education.
  31. Graesser, A. C., & Wisher, R. A. (2001). Question generation as a learning multiplier in distributed learning environments. Alezandria, VA: U.S. Army Research Institute for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32. Marbach-AD, G., & Sokolove, P. G. (2000). Can undergraduate biology student learn to ask higher level ques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8), 854-870.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10)37:8<854::AID-TEA6>3.0.CO;2-5
  33. Morgan, N., & Saxton, J. (1991). Teaching, Questioning and Learning. New York: Routledge.
  34. Simpson, R. D., & Troost, K. M. (1982). Influences on commitment to and learning of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Science Education, 66(5), 763-781. https://doi.org/10.1002/sce.3730660511
  35. Simpson, R. D.. & Anderson, N. D. (1981). Science student and school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6. Skidmore, D. (2006). Pedagogy and Dialogue.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6(4), 503-514. https://doi.org/10.1080/03057640601048407
  37. Tizard, B., Hughes, M., Carmichael, H., & Pinkerton, G. (1983). Children's questions and adults' answ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4, 269-281.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3.tb00575.x
  38. Trowbridge, L. W., Bybee, R. W., & Powell, J. C. (2000).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Strategies for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New Jersey, Prentice-Hall, Inc.
  39. Watts, M., Gould, G., & Alsop, S. (1997). Questions of understanding: categorizing pupils' questions in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9, 57-63.
  40. Wilen, W. W. (1991). Questioning skill for teacher(4th ed.) Washington, D. 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