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paper is about the utilization of public interaction design in terms of design convergence study. As there are different perspectives about public character in various academic fields, it is not simple to define the concept of it. In Korea, since 1960's, the public art which considered only about places has received more and more people's attention. But, there still remain disputes over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problems. It is more important to debate mainly on the value judgments of the public design considering artistic experience, ease, functionality, and utility in the interaction rather than a focus on user's experience. On the basis of this, it is suggested bench design which includes flower motif to access and utilize freely to necessary information and the bench design will be helpful to provoke interaction and design convergence in the era of new media technology.
공공 디자인에서 공공성의 실현 여부를 판단하는 데는 해당 디자인의 수행 과정과 방향성 등 다양한 측면이 고려 돼야한다. 공공 디자인이란 공공성을 갖춘 디자인이다. 그럼에도 무엇보다도 사용자에게 미적관심을 유발시키는 것이 우선이다. 한편, 디자인의 편의성은 심미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기도 한다. 연구자가 시도한 융복합적인 인터랙션을 적용한 공공디자인은 공공장소에서 사적 영역의 보호와 같은 공공성을 체험토록 기획하였다. 꽃술을 모티브로 하여 심미성에 바탕을 두면서 기능적으로는 뉴미디어의 인터랙션을 활용한 이 공용 벤치 디자인 제안은 사용자의 미적 반응에서 시작하여 편의성과 쾌적함 나아가 사용자가 체험하는 공공성의 경험이 공공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임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