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for Nursing Students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5.06.08
  • Accepted : 2015.07.18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among nursing student. Methods: A one-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with 95 nursing students as subject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consisted of four domains((1) Career exploration, (2) Self understanding, (3) Establishment of career planning (4) Practice of career planning) and included counselling, special lectures, simulated job interview, and feedback of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s, ANCOVA(SPSS 20.0). Results: The scores on the factors of career self-efficacy(t=4.48, p<.011) and career adaptability(t=3.02, p=.003)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ducation intervention. The score of career stress(t=-2.45, p=.015) decreased significantly. Career education program is useful in improving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study suggest that there needs mor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실험 전 후 차이를 비교하는 단일군 전후 실험 설계로 95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4개 영역들(1) 진로 탐색, (2) 자기 이해, (3) 진로 계획 수립 (4) 진로 계획 실천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담, 전문가 특강, 모의면접 및 면접결과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진로교육 중재 후 간호학생들의 진로 자기효능감 점수(t=4.48, p<.011)와 진로응성 점수(t=3.02, p=.003)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진로스트레스 점수(t=-2.45, p=.015)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 증가시키고 진로스트레스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과 진로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방경숙, 조진경, "일개 간호대학생과 졸업생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 14권, 제1호, pp.88-97, 2008.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88
  2. 조혜정, 백지숙, "대학생을 위한 단계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제5권, 제2호, pp.87-97, 2007.
  3. 통계청, 고등 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통계청, 2014. http://www.index.go.kr/potal/enaraIdx/idxField/userPageCh.do
  4. 김동조, 신학대학생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학교생활, 진로와 취업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 대한간호협회, 간호사 합격률 추이, 대한간호협회, 2014. http://www.koreanurse.or.kr/resources/be_nurse.php
  6. 이은진,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7. N. L. Jimmieson, "Employee reactions to behavioral control under conditions of stress: the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Work & Stress: Int J Work, Health & Organisations, Vol.14, No.3, pp.262-280, 2000. https://doi.org/10.1080/02678370010015343
  8. 조형래, 진로교육 운영방법이 대학생 진로태도 및 진로능력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 장계영,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0. 서유진, 진로장애와 낙관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1. 유선미, 대학생의 성패구인 유형과 비합리적 신념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2.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6호, pp.1091-1100, 2005.
  13. 김명아, 임지영, 김숙영, 김은정,이종은, 고유경, "간호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83-391, 2004.
  14. 박순주, "진로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59-267,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59
  15. 이형국, "진로상담 : 인지적 정보처리접근 중심 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701-720, 2010.
  16. 김지영,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7. 정연주,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및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8. 김헌수, 장기명, 이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261-278, 2004.
  19. 이상열, 진로집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태도와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0. 이상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 로지지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1461-1479, 2012.
  21.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2. 이영대, 임언, 이지영, 최동선, 김나라, "생애단계별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 수립",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책연구, 2004.
  23. 서일대학교, 온라인 진로탐색검사, 2013. http://su.seoil.ac.kr/Career/TestListJTU.aspx
  24. N. E. Betz and K. K. Voyten, "Efficacy and outcom expectation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n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3, pp.179-189, 1997.
  25. 황성원,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26. 김영희,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817-828.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817
  27. 허정철,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27-236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227
  28. 차희정, 대학생의 진로대리학습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9. 정보애, H-CIP 진로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 정체감, 진로결정수준 및 취업불안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0. 짱야린, 진로 행복훈련이 재한 중국학생들의 취업불안과 취업스트레스,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1. 조성연, 홍지영 "성인 학습자의 인구학적 변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의 관계 연구", 상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1099-1115, 2010.
  32. 김수정, 문화적 자기, 성격유형, 직업가치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 분석,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3. 서지윤, 대학 졸업예정자의 취업불안과 취업처 선정 기준 간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