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ess Resistance of Zacco koreanus due to Exposure of Cement Powder

시멘트 분말 노출에 따른 참갈겨니의 스트레스 저항성

  • Shin, Myung Ja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 Eu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Seo, Eul W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신명자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이종은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서을원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Received : 2015.03.11
  • Accepted : 2015.05.30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ssolved cement powder on Zacco koreanus by analyzing morphophysiological changes. The gills exposed to dissolved cement powder developed abnormal shapes in their secondary lamellae and increased numbers of mucous cells after long-term exposure. Additionally, clubbing, edema, and exfoliation of the epithelial cells were observed in the secondary lamellae. In the kidney tissue, the space in Bowman’s capsule was widened, and in the integument tissue the arrangement of the dermis was irregular due to the thinned epiderm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term exposure to cement powder can significantly affect morphological change, resulting death.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and LDH tended to increase commensurately with the duration of cement exposure. It was concluded that up-regulated proteins were the stress proteins involved in myofibrillar-protein production and down-regulated proteins were involved in glycolysis and energy metabolism after the integument’s exposure to cement. According to these results dissolved cement powder is a serious threat to the survival of fish because it causes morphological changes and weakens physiological activity in Z. koreanus tissues.

본 연구는 시멘트 노출에 따른 참갈겨니 조직의 형태 생리적 변화를 분석하여 용해된 시멘트 분말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용해된 시멘트 분말에 노출된 아가미는 노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차새변의 간격이 불규칙해지고, 점액세포의 활성도 증가하고 있으며, 곤봉화, 부종, 상피세포의 박리가 이차새변에서 관찰되었다. 신장 조직에서는 보우만주머니 공간이 넓게 관찰되었고, 표피 조직은 표피층의 두께가 감소하고 진피층의 배열이 불규칙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항산화효소와 LDH의 활성은 조직 및 노출기간에 따라 활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피조직에서 용해된 시멘트 분말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단백질은 근단백질 생성과 관련된 스트레스 단백질로 확인되었고 발현이 저하된 단백질들은 해당과정과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시멘트 노출에 따른 스트레스는 참갈겨니 조직의 형태적 변형과 생리적 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여 어류의 생존에 커다란 위협이 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서 론

일반적으로 어류는 서식처 주변의 내성한계 이하의 이화학적 환경 변화에 대해서는 체내 적응과정을 거쳐 변화된 환경에 순화하기 때문에 외부의 환경자극에 대한 생리, 생태적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4, 18, 19]. 그러나 어류는 수 환경의 급격한 물리화학적 변화에 대해서는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게되며 결국 다양한 수준에서 복합적인 생리적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10]. 일단 어류가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노출되면 3차의 반응으로 분류되는 생화학 및 생리학적 변화를 연속적으로 겪게 된다[30]. 스트레스에 대한 1, 2차 반응은 변화된 상황을 인지하는 반응으로써 1차적으로 교감신경의 활성 및 카테콜아민과 코티졸 분비가 이루어지며, 2차적으로 물-미네랄의 불균형을 인지하며 글루코스와 같은 에너지원이 동원되는 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3차 반응은 스트레스 유발요인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경우와 항상성을 회복하지 못할 때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면역시스템, 번식기능,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3]. 그러므로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따른 어류의 행동, 생리적 반응은 실질적으로 어종과 스트레스 유발요인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보고 된바 있다[13]. 결국 이러한 스트레스성 생리적 변화는 어류의 성장을 저해하고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 및 면역력의 감소를 초래하게 되어 생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수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유해 환경 요인 중 시멘트는 아주 오래된 건설재료이면서 현대사회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재료이지만 알칼리도가 높고 독성으로 인해 어독성 등 환경 문제의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시멘트 독성에 대한 연구는 어도 블록이나 수중보, 호안블럭, 테트라콘, 방파제, 어초 등과 같은 수질분야에서의 독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바 있다[29]. 또한 환경적 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로는 시멘트 성분의 환경적 유해성과 관련하여 환경독성에 대한 보고가 없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어렵고, 어독성 시험 등을 통해 환경적 영향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pH에 의한 영향이 공시어의 치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된바 있다[6]. 이와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시멘트는 그 유해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어류의 형태 생리적 영향에 대한 평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 환경 변화에 민감한 어종인 참갈겨니를 통해 시멘트 노출에 따른 어류 조직의 형태 생리적 변화를 분석하여 용해된 시멘트 분말 노출로 인한 스트레스가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어 및 시멘트 노출

본 실험에 사용한 실험어는 경북 안동시 길안면에 소재한 갈라산 수계에 서식하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 체장 7.0±1.19 cm, 무게 4.0±1.15 g)를 채집하여 Kim과 Park [15]을 참고하여 동정하였고 실험실에서 7일간 순치과정을 거친 후 건강한 개체만을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우선 용해된 시멘트 분말의 반수치사 농도를 구하기 위하여 1종 보통 포틀랜트 가루시멘트를 50, 100, 200 및 300 mg/l로 표준액을 제조하였다. 이 표준액이 들어 있는 수조(30×60×45 cm)에 참갈겨니 10마리씩을 넣어 96시간 동안 측정된 APHA [2]의 probit 값으로 시멘트 분말의 반수치사 농도를 구하였다. 용해된 시멘트 분말에 대한 96hr-LC50은 72.31 mg/l로 측정되었으며(Fig. 1), 이에 따라 본 실험에서는 시멘트 농도를 반수치사 농도보다 낮은 70 mg/l로 설정하여 용해된 시멘트 분말이 참갈겨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시멘트에 노출시킨 기간은 각 실험군 당 20마리의 참갈겨니를 사용하여 2일, 4일 및 6일 간격으로 설정하였고 시멘트 노출 직전의 참갈겨니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모든 동물실험 과정은 안동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취한 후 실시하였다(2014-3-1107-12).

Fig. 1.The survival rates of Zacco koreanus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 of cement (●: 0 mg/l, ○: 50 mg/l, ▼: 100 mg/l, △: 200 mg/l, ■: 300 mg/l) for 96 hr. The 96 hr-LC50 was estimated to 72.31 mg/l.

조직 관찰

각 실험 종료시점에 용해된 시멘트 분말이 참갈겨니의 조직에 미치는 조직학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아가미, 신장 및 표피를 절취하여 FAA (formaline acetic acid)에 24시간 고정한 후 paraffin 포매하였다. Paraffin block은 두께 4~6 μm로 절편하였으며, hematoxylin과 eosin에 이중염색하여 관찰하였고 Olympus DP-71을 사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였다. 세포의 크기와 조직의 두께는 IMT I-Solution Lite 프로그램(IMT I-solution InC., Korea)을 이용하여 1/1,000 mm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평가는 각 실험군 당 각 5개체씩 샘플링하여, 개체 당 20회 이상 관찰한 후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아가미의 초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절취한 아가미를 2.5% glutaraldehyde에서 전고정한 후, 1% osmium tetra-oxide (OSO4)로 후고정 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탈수 과정을 거친 후 완전히 동결 건조시켰으며 시료 표면에 금 코팅을 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2500C, Hitachi) 하에서 아가미의 표면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아가미 표면의 미세구조 변화에 대한 평가는 각 실험군당 각 5개체씩 선별하여 개체 당 10회 이상 관찰한 후 비교 분석하였다.

항산화효소와 LDH 활성 분석

항산화효소 활성 측정을 위하여 노출기간에 따라 적출한 참갈겨니의 아가미, 눈, 표피 조직을 homogenation buffer (5 mM Tris, 38 mM glycine, pH 8.4)에서 완전히 균질화시킨 후, 1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지질층을 제외한 상등액만을 항산화효소 시료로 사용하였다.

SOD의 활성은 McCord와 Fridovich [22]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우선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8), 0.1 M cytochrome C, 50 mM xanthine, 0.1 mM EDTA 및 효소 시료를 25℃에서 예치한 다음 xanthine oxidase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으며 반응은 550 nm에서 10초 단위로 150초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Xanthine oxidase 첨가량은 효소액을 함유하지 않은 반응액의 흡광도 흡수가 분당 0.025가 되도록 조절하고 SOD 활성은 cytochrome C의 환원 속도를 50% 억제하는 양을 1 unit으로 책정하여 unit/mg protein/min으로 정의하였다. CAT 활성은 Aebi [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50 mM phosphate buffer (pH 7.0), 15 mM H2O2 용액에 1 mg protein 효소 시료를 첨가한 후 240 nm에서 3분간 변화되는 흡광도를 측정하여 직선으로 나타나는 최초 60초 동안의 H2O2 감소량을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CAT의 활성은 1 mg의 단백질이 1분 동안에 1 μM의 H2O2를 분해시키는 효소의 양을 1 unit로 하였다. GPX 활성은 Flohe 등[8]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 mM EDTA를 함유한 100 mM phosphate buffer (pH 7.0), 3 mM GSH, 0.45 mM NADPH, 20 mM glutathione reductase 0.72 U와 1 mg protein 효소 시료를 넣고 37℃에서 5분간 방치한 다음 4 mM cumene hydroperoxide를 첨가한 후 반응을 개시하여 340 nm에서 3분동안 변화되는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PX의 활성은 1분 동안에 1 μmol의 NADPH를 NADP로 산화하는 효소의 양을 1 unit로 하였다.

참갈겨니 세포기질 내 LDH 활성은 Schnaitman 등[26]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가미, 눈 및 표피에서 세포기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각 조직에 4℃, 0.25 M sucrose, 5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5)를 4배(v/w) 또는 8배 가하여 균질화하였다. 이 시료는 1,000× g에서 15분간씩 2회 원심분리 하였으며, 상등액을 다시 10,000× 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후 분리한 상등액은 추가로 20,000× 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LDH에 대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LDH 활성은 1.5 mM 피루브산과 0.14 mM NADH가 포함된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85) 3 ml에 50 μl의 시료를 넣은 후 NADH로부터 NAD+로 산화되는 정도를 340 nm에서 측정하였다. LDH의 활성은 1분간 기질 1 μmole을 생성물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을 1 unit으로 하였다.

단백질체 분석

추출된 표피 단백질은 1차적으로 Ettan IPGphor Ⅱ IEF System (GE Healthcare, Uppsala, Sweden)을 이용하여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IPG strip은 2차적으로 10% SDS-PAGE 상에서 분리하여 coomassie brilliant blue 염색을 통해 분리된 spot을 확인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정량 정성적 변화를 나타내는 spot을 확인하여 각각 번호를 부여한 후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spot은 MALDI-TOF (microflex LRF20, Bruker Daltonics)를 통해 분석한 후 지문감식법(PMF, peptide mass fingerprinting)을 실시하였다. PMF를 통해 분석된 spot은 Mascot (http://www.matrixscience.com) 사이트를 통해 단백질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각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2로 분석한 후 t-검정을 실시하여 분산과 평균의 동일성 여부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일원 분산분석(one way ANOVA)에 의한 Duncan 검정을 실시하여 p값이 0.05 미만일 때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 시멘트 노출에 따른 스트레스가 참갈겨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멘트에 노출하지 않은 대조군과 용해된 시멘트 분말에 노출시킨 실험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아가미, 신장 및 표피세포의 조직학적 변화

용해된 시멘트 분말 노출에 따른 스트레스가 참갈겨니에 미치는 조직학적 변화를 노출시간에 따라 관찰하였다. 전자 현미경을 통해 아가미 표면의 초미세구조를 살펴보면 시멘트에 노출 되지 않은 대조군의 아가미는 일차새변의 간격과 두께가 일정하였다. 이차새변은 새변과 새변 사이의 간격이 규칙적으로 빗살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피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다(Fig. 2A). 조직학적으로도 이차새변의 간격이 일정하였고, 이차새변에서는 염세포와 점액세포의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차새변 상피세포의 증식도 관찰되지 않았다(Fig. 3A). 그러나 용해된 시멘트 분말에 2일간 노출된 아가미 일차새변의 두께는 두꺼워지며 이차새변에서는 새변 사이의 간격이 불규칙해져 빗살모양의 구조가 관찰되지 않았다(Fig 2B). 장시간 시멘트에 노출된 아가미는 일차새변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새변의 표면도 매끄럽지 않았다. 이차새변은 두꺼운 다층의 상피세포로 비대해져 있는 부종이 관찰되며, 새엽 상피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새엽이 융합되어 있는 형태도 관찰되었다(Fig. 2C, D). 시멘트 노출 초기의 아가미 조직은 이차새변의 간격이 비교적 규칙이고 간헐적으로 새엽 상피세포의 증식과 박리가 나타났으며(Fig. 3B), 장시간 시멘트에 노출된 아가미는 염세포와 점액세포의 활성이 두드러지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차새변의 새엽에서는 심한 부종현상과 곤봉화 현상까지 관찰되었다(Fig. 3C, D).

Fig. 2.Ultrastructural changes of Z. koreanus gill. A: normal gill, B: gill exposed for 2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C: gill exposed for 4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D: gill exposed for 6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The gills exposed to dissolved cement powder showed thickened primary lamellae and irregular space between lamellae, and it was observed the epithelial cell fusion in secondary lamellae (arrows). Scale bars: A, B, C, D=75 um. PL: primary lamella, SL: secondary lamella.

Fig. 3.Histologiacal changes of Z. koreanus gill tissue. A: normal gill, B: gill exposed for 2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C: gill exposed for 4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D: gill exposed for 6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The activities of chloride cells and mucous cells were increased in the gills exposed to dissolved cement powder, and the edema, separation and clubbed gill filament were observed in lamellae of secondary lamellae (arrows). Scale bars: A, B, C, D =20 um. PL: primary lamella, SL: secondary lamella, BV: blood vessel, EC: epithelial cell, PC: pillar cell, CC: chloride cell.

어류의 아가미는 표면의 얇은 상피세포에서 물과 혈액간의 가스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차새변이 일정한 거리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수중에 독성 물질이 함유되거나 수환경의 급격한 변화 등의 스트레스가 나타날 경우 이차새변은 비대해져 곤봉화나 부종을 일으키게 되어 가스교환이 어려워지게 된다[12, 28]. 또한 각 새변 세포의 초기 변화로 상피세포 종창, 비대에서 시작하여 각 이차새변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고, 새변 표면의 점액세포에 의한 분비활동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병변이 지속되어 심해지면 새변 상피는 부종, 증생 또는 새변간 유합이 일어나게 된다[21]. 더불어 빙어의 경우 500 ppm의 시멘트 농도에서 4시간 이내에 전량 폐사되었으며, 시멘트 농도가 높아지면 수환경의 pH는 알칼리화되어 아가미를 통한 삼투압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폐사에 이르게 된다고 보고되어 있다[20]. 본 연구에서도 참갈겨니가 시멘트에 노출되기 시작하면 아가미 상피세포의 괴사와 박리가 관찰되었으며, 노출기간이 길어지면 새엽이 융합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차새변의 새엽에서는 부종현상과 곤봉화 현상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병변현상은 빗살모양의 아가미 구조와 상피세포 등의 정상적인 아가미 구조와 뚜렷이 구분되는 조직병변이다. 따라서 시멘트는 참갈겨니의 생존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의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으며, 결국 아가미의 구조적 변형을 초래하여 물과 혈액간의 가스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호흡장애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용해된 시멘트 분말 노출에 따른 스트레스가 신장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군에서는 보우만주머니에 사구체의 내피세포와 적혈구 등이 가득차 있으며, 조혈조직이 조밀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4A). 그러나 시멘트에 노출된 신장은 노출기간이 길어질수록 보우만주머니내 사구체의 내피세포와 적혈구 등이 감소하고 있으며, 사구체의 수축도 관찰되며 이로 인해 보우만주머니내 공간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관찰되었고 조혈조직은 대조군에 비해 엉성한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4B, C, D). 보우만주머니 공간의 지름은 대조군에서 2.19±0.42 μm를 보였으나 노출기간 2일에는 3.07±0.89 μm, 4일에는 4.91±0.68 μm, 6일에는 6.81±0.78 μm를 보여 노출기간이 길어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조사되었다.

Fig. 4.Histological changes of Z. koreanus kidney. A: normal kidney, B: kidney exposed for 2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C: kidney exposed for 4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D: kidney exposed for 6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In the kidney tissue, the number of glomerular endothelial cells and red blood cells in Bowman’s capsule reduced by longer exposure to dissolved cement powder, and Bowman’s spaces expanded widely due to the glomerular contraction (arrows). Scale bars: A, B, C, D=20 um. BS: Bowman’s space, GL: Glomerulus, DT: Distal tubule, PT: Proximal tubule.

어류의 신장은 다양한 수질오염으로 인한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세뇨관 괴사, 세뇨관 상피층의 퇴행성 병변, 사구체 위축 및 팽창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어류 폐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9, 27]. 또한 담수어는 신장의 사구체가 수축되어 표면적이 좁아지면 노폐물을 걸러주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사구체의 수축은 포유류의 만성 사구체신염과 유사하다[7]. 본 연구에서 참갈겨니의 신장은 시멘트의 노출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사구체가 수축되어 보우만주머니의 공간이 넓어지는 형태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멘트는 이러한 신장의 형태적 변화를 초래하여 신장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유발 요인이 되며 궁극적으로 어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용해된 시멘트 분말 노출이 표피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군의 표피는 표피층이 두껍고 진피층의 배열도 조밀하고 규칙적이며, 기저막은 뚜렷한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5A). 그러나 시멘트에 노출된 실험군의 표피는 노출기간이 길어질수록 표피층의 두께가 감소하였고, 진피층은 불규칙한 배열을 보이며, 조밀하지 않은 형태로 관찰되었다. 또한 기저막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았으며, 표피층은 배열이 조밀하지 않고 공포도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5B, C, D). 표피층의 두께는 대조군에서 36.81±3.14 μm로 관찰되었으나 노출기간 2일에는 32.62±1.42 μm, 4일에는 26.58±2.82 μm, 6일에는 28.32±1.21 μm로 노출기간이 길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Fig. 5.Histological changes of Z. koreanus integument. A: normal integument, B: integument exposed for 2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C: integument exposed for 4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D: integument exposed for 6 day in dissolved cement powder. The epidermis of integument thinned due to longer dissolved cement powder exposure, and arrangement of dermis was irregular and the boundary of basement membrane was unclear (arrows). Scale bars: A, B, C, D=50 um. EL: Epidermal layer, DL: Dermal layer, BM: Basement membrane, CP: Chromatophore.

일반적으로 어류의 피부는 측선계, 미뢰와 같은 특수 감각 기관을 수용할 뿐 아니라, 물리적, 생물학적 및 화학적 인자 등의 환경요인에 대한 최외측 방어벽으로서의 역할로도 중요한 조직이다. 또한 어류 피부 병변의 출현은 포유류보다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공기와 다른 수 환경 하에 있으며 이런 환경에 대하여 생리적으로 포유류에서 보다 미묘히 적응되어 있어 수 환경의 갑작스런 변화는 피부의 항상성을 쉽게 파괴할 수 있다[25]. 따라서 피부 항상성의 손상은 체내 삼투압조절 장애, 피부호흡 장애, 이차적인 세균 및 바이러스의 감염기회 제공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1]. 본 연구에서도 시멘트에 노출된 참갈겨니의 표피층은 두께가 감소하고 있으며, 진피층 세포는 조밀하지 않고 불규칙으로 배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참갈겨니는 시멘트 노출로 인한 수 환경의 변화로 인해 물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세포간 결합력의 약화를 초래하게 되고 피부 항상성의 손상으로 인하여 다양한 이물질들의 침입경로가 이루어져 결국 2차 감염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효소와 LDH의 활성

용해된 시멘트 분말 노출에 따른 참갈겨니 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아가미에서 SOD 활성은 시멘트에 노출되면서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눈과 표피에서는 시멘트 노출 4일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 노출 6일에는 증가 하였다(Fig. 6A). 아가미와 눈에서 CAT 활성은 시멘트 노출에 따라 지속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표피에서는 시멘트 노출 초기에는 활성이 감소되나 시멘트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하면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Fig. 6B). GPX 활성은 아가미에서 시멘트 노출에 따라 지속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눈과 표피에서는 노출초기에 활성이 증가되나 장기간 시멘트에 노출되면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Fig. 6C). LDH 활성은 아가미, 눈 및 표피에서 시멘트 노출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활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Fig. 6D).

Fig. 6.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A, SOD; B, CAT; C, GPX) and LDH (D) in Z. koreanus tissues exposed to dissolved cement powder. The values are mean ± SD (n=5). *p<0.05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trol group and exposure group.

활성산소의 발생으로 인한 산화성 스트레스는 호흡을 통해 세포 에너지를 확보하는 모든 생체에서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생물학적 스트레스이다. 그러나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유발되는 과도한 산화성 스트레스는 생체의 원활한 대사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조절 범위 이상의 활성 산소들은 세포내 주요 물질인 핵산 및 단백질의 구조 변성과 기능 손실 등을 야기시킴으로써 노화촉진, 질병저항성 감소, 생식능력 저하 등 많은 생리학적 장애를 유발시킨다[14, 24]. 따라서 생체는 이러한 산화성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다양한 항산화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중 활성산소를 직접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효소들을 발현시킴으로써 생체방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LDH는 에너지 대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온도, pH 및 DO가 변화되면 LDH 활성이 변화됨으로써 보상을 빠르게 수행하여 기준 활성의 수준으로 다시 회복하는데 영향을 주어 환경에 적응할 때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5, 16, 17]. 본 연구에서도 시멘트 노출에 따른 항산화효소와 LDH의 활성은 조직 및 노출기간에 따라 활성의 차이를 보이며, LDH의 활성의 경우에는 노출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지속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시멘트 노출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어류는 생체내 항산화효소와 대사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게 되나 시멘트의 노출기간이 장기간 지속되면 더 이상 방어 체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결국 어류의 병변을 초래할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단백질체 분석

시멘트 노출에 따라 반응하는 단백질의 종류를 단백질체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조직 중 변화가 가장 많이 나타난 표피 조직의 단백질을 통해 시멘트 노출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분석해 보면 1, 2, 5번 spot은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3, 4, 6번 spot은 발현이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정성 정령적 차이를 보이는 6개의 spot을 추출하였다(Fig. 7). 이를 MALDI-TOF과 지문감식법 과정을 거쳐 분석한 후 Mascot (http://www.matrixscience.com) 사이트를 통해 단백질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시멘트 노출에 따라 발현이 증가된 단백질은 heat shock cognate 70 kDa protein, glucose phosphate isomerase b,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like으로 확인되었고, 발현이 감소된 단백질은 brain creatine kinase b, fructose-bisphosphate aldolase A, L-lactate dehydrogenase B-A chain인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1).

Fig. 7.2-D gel images of the integument tissue. A: Control integument, B: Integument exposed to dissolved cement powder for 6 day.

Table 1.Up-regulated (spot 1, 2, 5) and down-regulated (spot 3, 4, 6) protein list identified by the reference map

시멘트 노출에 따른 스트레스는 생체에 심각한 스트레스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생물은 이에 저항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어 체계를 가동시키게 된다. 이때 유전자는 활성이 증가되거나 저하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단백질의 정성 정량적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환경적 변화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개체내 모든 종류에 단백질의 양적 질적 변화를 추정할 수 있게 해주며 유전정보만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단백질의 발현량 및 번역 후 수식 등을 분석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23]. 본 연구에서 표피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발현이 증가된 단백질은 근단백질 생성과 관련하여 chaperone 역할을 담당하는 스트레스 단백질인 heat shock cognate 70 kDa protein과 해당과정에 관여하는 glucose phosphate isomerase b,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like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발현이 저하된 단백질은 brain creatine kinase b, L-lactate dehydrogenase B-A chain으로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fructose-bisphosphate aldolase A로 해당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시멘트 노출은 근형질 내 에너지 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양적 질적 변화와 근단백질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용해된 시멘트 분말 노출에 따른 스트레스는 참갈겨니 조직의 형태적 변형과 생리적 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여 어류의 생존에 커다란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References

  1. Aebi, H. 1984. Catalase in vitro. pp. 121-126. In: Packer (eds.),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USA.
  2. APHA-AWWA-WPCF. 198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 of water and wastewater, pp. 715-742, 16th ed., Washington DC, USA.
  3. Barton, B. A. and Iwama, G. K. 1991. Physiological changes in fish from stress in aquaculture with emphasis on the responses and effects of corticosteroids. Ann. Rev. Fish Dis. 1, 3-26. https://doi.org/10.1016/0959-8030(91)90019-G
  4. Boyd, C. E. and Tucker, C. S. 1998. Pond aquaculture water quality management. Kluwer Academic Pulblishers: Boston, USA.
  5. Cho, S. K. and Yum, J. J. 2004.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of hypoxia tropical catfish (Pangasius polyuranodon, Hypostomus plecostomus). J. Life Sci. 14, 702-707. https://doi.org/10.5352/JLS.2004.14.4.702
  6. Chun, B. S., Lee, J. Y. and Ha, K. H. 2002.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effects for grouting materials. JKGES 3, 37-49.
  7. Fennel, R. H. and Pardo, V. M. 1967. Experimental glomerulonephritis in rats. Lab. Invest. 17, 483-488.
  8. Flohe, L., Wolfgang, A. and Gunzler, W. A. 1984. Assay of glutathione peroxidase. pp. 114-130. In: Packer L. (eds.), Methods in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9. Gill, T. S., Pant, J. C. and Tewari, H. 1989. Cadmium nephropathy in a freshwater fish, Puntius conchonius Hamilton. Ecotoxicol. Environ. Safe. 18, 165-172. https://doi.org/10.1016/0147-6513(89)90077-8
  10. Hosoya, S., Johnson, S. C., Iwama, G. K., Gamperl, A. K. and Afonso, L. O. B. 2007. Changes in free and total plasma cortisol levels in juvenile haddock (Melanogrammus aeglefinus) exposed to long-term handling stress. Comp. Biochem. Physiol. 146, 78-86. https://doi.org/10.1016/j.cbpa.2006.09.003
  11. Huh, M. D. 1992.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the pathologic lesions of teleost skin. J. Fish Pathol. 5, 159-164.
  12. Huh, M. D. and Jeong, H. D. 1993.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the pathological lesions of gill in teleostes. J. Fish Pathol. 6, 65-70.
  13. Iwama, G. K., Afonso, L. O. B. and Vijayan, M. M. 2006. Stress in fishes. pp. 319-342. In: Evans, D. H. and Claiborne, J. B. (eds.), The Physiology of Fishes. CRC Press InC: New York, USA.
  14. Johnson, P. 2002. Antioxidant enzyme expression in health and disease: effects of exercise and hypertension. Comp. Biochem. Physiol. 133, 493-505. https://doi.org/10.1016/S1096-4959(02)00095-7
  15. Kim, I. S. and Park, J. Y.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pp. 182-183. Kyohak Press: Seoul, Korea.
  16. Kim, J. B. and Yum, J. J. 1997. Acclima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in Silurus asotus to acute environmental variations. J. Ind. Sci. Cheongju Univ. 15, 381-388.
  17. Kim, J. B., Cho, S. K. and Yum, J. J. 2004. Changes of activities and isozymes of lactate dehydrogenase in Coreoperca herzi to acute increase of temperature for short-term period. J. Ind. Sci. Cheongju Univ. 22, 43-50.
  18. Kim, W. S., Yoon, S. J., Moon, H. T. and Lee, T. W. 2002.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changes on the endogenous and exogenous rhythms of oxygen consumption in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Mar. Ecol. Prog. Ser. 243, 209-216. https://doi.org/10.3354/meps243209
  19. Kim, W. S., Yoon, S. J., Kim, J. W., Lee, J. A. and Lee, T. W. 2006. Metabolic response under different salinity and temperature conditions for glass eel Anguilla japonica. Mar. Biol. 149, 1209-1215. https://doi.org/10.1007/s00227-006-0293-5
  20. Lee, J. Y. and Hur, J. W. 2005. Acute toxicity of cement on mortality of pond smelt (Hypomesus olidus). J. Environ. Biol. 23, 89-92.
  21. Mallatt, J. 1985. Fish gill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toxicants and other irritants: a statistical review. Can. J. Fish Aqu. Sci. 42, 630-648. https://doi.org/10.1139/f85-083
  22. McCord, J. M. and Fridovi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erythrocuprotein (Hemocuprotein). J. Biol. Chem. 244, 6649-6055.
  23. Naaby-Hansen, S., Waterfield, M. D. and Cramer, R. 2001. Proteomics-post-genomic cartography to understand gene function. Trends Pharmacol. Sci. 22, 376-384. https://doi.org/10.1016/S0165-6147(00)01663-1
  24. Pandey, S., Parvez, S., Sayeed, I., Haque, R., Bin-Hafeez, B. and Raisuddin, S. 2003.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a comparative study of river Yamuna fish Wallago attu. (Bl. & Schn.). Sci. Total Environ. 309, 105-115. https://doi.org/10.1016/S0048-9697(03)00006-8
  25. Paul, O. F. 1980. A review of some physiological and toxicological responses of freshwater fish to acid stress. Env. Biol. Fish 5, 79-93. https://doi.org/10.1007/BF00000954
  26. Schnaitman, C., Erwin, V. G. and Greenawalt, J. W. 1967. The submitochondrial localization of monoamine oxidase. An enzymatic marker for the outer membrane of rat liver mitochondria. J. Cell Biol. 32, 719-735. https://doi.org/10.1083/jcb.32.3.719
  27. Schwaiger, J., Spieser, O. H., Bauer, C., Ferling, H., Mallow, U., Kalbfus, W. and Negele, R. D. 2000. Chronic toxicity of nonylphenol and ethinylestradiol: haemat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effects in juvenile common carp, Cyprinuscarpio. Aquat. Toxicol. 51, 69-78. https://doi.org/10.1016/S0166-445X(00)00098-9
  28. Shin, M. Y., Choi, D. L., Chung, J. K. and Chun, S. K. 1993.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sh gills by potassium permanganate and influence of water quality. J. Fish Pathol. 6, 21-55.
  29. Sim, J. H. and Park, J. S. 2007. Effect of lignin addition on characteristics of cement pastes. J. Ind. Eng. Chem. 18, 178-182.
  30. Wendelaar Bonga, S. E. 1997. The stress response in fish. Physiol. Rev. 77, 591-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