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Ostericum Radix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Dongeuibogam

東醫寶鑑 中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活用에 대한 考察

  • Jung, Myu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Jinho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Jangcheon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im, Kyusang (School of Korean Medine, Wonkwang University)
  • 정명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이진호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이장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임규상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5.06.04
  • Accepted : 2015.06.24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report describes 90 prescriptions related to the use of Ostericum Radix(OR) blended as the main ingredient in the Dongeuibog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investigations on the prescriptions that use OR as a key component.

Prescriptions where OR was used as one of the monarch(drug) utilized for 27 therapeutic purposes in total.

It was searched that the frequency of prescriptions in the therapeutic purposes were as follows. The chapter of eyes is 22.2%, the wind is 13.4%, the child 11.1%, the cold is 8.9%, the head is 6.7%, the malaria disease 4.5% in the order.

Prescriptions that utilized OR as the main ingredient were most used for treating diplopia, facial nerve palsy, headache and a fever in the whole body. These were also used for treating 55 different types of diseases.

The dosage of OR in formulas was ranging from 2pun(about 0.75g) to 2don(about 7.5g). However, 1don(about 3.75g) was most used for clinical application.

We can find out that according to herbs or prescriptions blended with itself, OR made a variety of functions to eliminate cold with wind, humidity, pain, and convulsions from the body. And also, Bangpungtang was the most useful base prescription which used OR as the main component.

Keywords

I. 緖 論

羌活은 미나리과(繖形科 Umbelliferae)에 속하는 多年生 草本植物로 羌活 Ostericum koreanum Maximowicz의 뿌리 봄과 가을에 採取해서 건조하여 藥用으로 한다1~4).

羌活의 味는 辛 · 苦 · 無毒하고 性溫하며, 氣味가 猛烈하여 相乘發散 시키는 作用이 强하며, 歸經은 膀胱 · 肝 · 腎經에 작용하고, 效能은 解表散寒 · 祛風勝濕 · 止痛·止痙 等의 작용이 있어, 風寒感冒 · 太陽頭痛 · 瘡瘍初起 · 風寒濕痺 · 痙證 · 風水浮腫 · 風濕在表 · 風濕으로 인한 關節疼痛 頭身痛 等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26.27).

羌活에 含有된 성분은 주로 精油 有機質 alkaloid 等을 함유하고 있고3), 解熱 發汗 鎭痛 作用이 있으며, 抗菌시험에 結核菌 및 絲狀菌에 대하여 抑制作用이 있고 臨床報告에 의하면 이 약물의 煎劑 또는 알코올 浸劑는 顔面의 神經痲痺를 치료하는데 有效하고 板藍根과 配合하여 水煎服하면 急性感冒의 發熱치료에 좋은 效果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5).

한편 羌活은 配合되는 藥物에 따라 多樣한 效能을 나타내는데 羌活에 防風 · 黃芩 · 黃連 等 發汗 淸熱 鎭痛하는 藥物과 만나면 散熱飮子와 같이 눈이 갑자기 赤腫하고 疼痛 하는 症을 치료하고, 羌活 · 防風 · 川芎 · 白芷 · 黃芩 · 生地黃 · 細辛 等 祛風 解熱 鎭痛는 藥物들과 만나면 九味羌活湯 防風冲和湯으로서 外感傷寒病 等을 치료하며, 羌活 · 遠志 · 石菖蒲 · 白茯苓 等 利竅 安神하는 藥物과 配合하면 養榮湯 解語丸에서와 같이 中風을 치료하며, 羌活에 當歸 · 草龍膽 · 川芎 · 大黃 · 防風 等 淸熱 鎭靜하는 藥物들과 만나면 小兒의 急驚風 等을 치료 한다36,37).

이와 같이 羌活은 配合되는 약물에 따라 多樣한 效能을 발휘하고 있는 바, 저자는 『東醫寶鑑』 中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90개 處方에 대한 治療領域 및 病症 · 主治 · 使用量 · 處方構成內容과 構成基本方 等의 文獻的 資料分析을 통하여 羌活의 活用에 대한 知見을 얻었기에 報告하는 바이다.

 

II. 本 論

調査方法은 『東醫寶鑑』 中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90處方의 內容을 데이터베이스化하여 文獻的 資料를 分析 하였다. 處方名은 同一하나 構成內容이 다른 경우는 일련번호를 표기하여 구분하였다. 본 論文에서 主藥이라 함은 羌活의 役割이나 使用量이 君藥으로 作用하거나, 혹은 여러 가지 藥物과 等分으로 構成되어 있는 경우로 效能과 使用量으로 볼 때 主된 役割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한정하였다36).

1.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에 대한 調査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東醫寶鑑』중 病門을 중심으로 분류한 것을 治療領域으로 정하고, 이에 대하여 頻度數가 높은 순서대로 整理하였다36).

1)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 頻度數와 百分率

2.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調査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處方 使用 頻度數에 따라 疾患別 10개로 區分하고, 이에 대한 病證 및 主治를 調査하였다. 단 病症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東醫寶鑑』에서 분류한 病症 分類에 의거하였고, 主治가 없는 경우는 空欄으로 표기하였다36).

1) 眼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2) 風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3) 小兒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4) 寒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5) 頭痛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6) 痎瘧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7) 火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8) 腰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9) 鼻 · 牙齒 · 皮 · 癰疽 · 諸瘡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10) 神 · 夢 · 聲音 · 蟲 · 大便 · 面 · 頸項 · 胸 · 手 · 後陰 · 濕 · 咳嗽 · 諸傷 · 婦人病에 羌活이 主藥 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과 處方 및 主治

3. 羌活의 使用量에 대한 調査

羌活의 各 處方別 一回 使用量을 調査하여 整理하였는데, 『東醫寶鑑』에 湯劑, 散劑, 飮劑로서 一回 使用量이 記錄 되어있는 62개 處方만을 一貼으로 환산하였으며, 使用量이 분명하지 않은 等分, 散劑, 丸劑인 28개의 처방은 統計에서 除外하였다36).

1) 羌活의 一回 使用量이 0.2~0.5錢인 경우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고, 頻度數는 10回, 百分率은 16.1%를 차지했다.

2) 羌活의 一回 使用量이 0.6~0.8錢인 경우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고, 頻度數는 12回, 百分率은 19.4%를 차지했다.

3) 羌活의 一回 使用量이 1.0錢인 경우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고, 頻度數는 22回, 百分率은 35.5%를 차지했다.

4) 羌活의 一回 使用量이 1.2~1.6錢인 경우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고, 頻度數는 15回, 百分率은 24.2%를 차지했다.

5) 羌活의 一回 使用量이 2.0錢인 경우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고, 頻度數는 3回, 百分率은 4.8%를 차지했다.

4.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및 基本方 分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疾患別로 區分하고, 이에 대한 處方 構成內容과 基本方을 分析하고, 基本方이 使用된 處方과 같은 경우와 基本方이 없는 경우는 空欄으로 표기하였다. 단 基本方 分析 중 ‘類’라고 표기한 것은 완전한 基本方 構成은 아니지만, 藥物이 한 가지 정도 빠져있거나 다른 藥物로 代替되어 그 效能이 基本方의 作用을 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基本方에 관련된 構成藥物은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36,37).

1) 眼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2) 風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3) 小兒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4) 寒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5) 頭痛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6) 痎瘧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7) 火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8) 腰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9) 鼻·牙齒·皮·癰疽·諸瘡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10) 神 · 夢 · 聲音 · 蟲 · 大便 · 面 · 頸項 · 胸 · 手 · 後陰 · 濕 · 咳嗽 · 諸傷 · 婦人病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과 基本方 分析

5.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基本方 分析 要約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90개 處方에 대하여 기본방을 分析 要約하면 5.1), 5.2)와 같다. 단 使用된 處方이 基本方만 있는 경우에는 옆에 基本方이라고 표시하였고, 基本方이 없는 경우는 空欄으로 표기하였다36,37).

1)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疾患別 處方에 대한 基本方 分析 要約

2)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多用頻度別 基本方 調査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基本方을 調査한 후 63개 基本方 中 使用頻度가 많은 것 順으로 頻度數와 百分率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단 基本方이 없는 三化湯 · 天台散 · 回生散 · 選奇湯 · 麻黃羌活湯 · 地龍散 · 四聖散 · 當歸連翹飮 (8개)은 제외 시켰다.

 

III. 考 察

1.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에 대한 調査

東醫寶鑑 中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에 대한 調査 結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眼 · 風 · 小兒 · 寒 · 頭 · 痎瘧 · 火 · 腰 · 鼻 · 牙齒 · 皮 · 癰疽 · 諸瘡 · 神 · 夢 · 聲音 · 蟲 · 大便 · 面 · 頸項 · 胸 · 手 · 後陰 · 濕 · 咳嗽 · 諸傷 · 婦人 27개 領域에서 活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眼에 대한 使用頻度가 22.2%로 가장 많았고, 風 13.4%, 小兒 11.1%, 寒 8.9%, 頭 6.7%, 痎瘧 4.5% 等으로 眼科疾患과 風의 風寒濕邪에 관한 疾患, 그리고 小兒와 外感으로 인한 痛症疾患에 가장 많이 活用되고 있었으며 그 밖의 治療領域의 處方 引用 頻度數는 1.1)과 같았다36).

2.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調査

羌活이 主藥으로 활용된 病症을 조사해 보면 2에서 보는 바와 같다36). 眼科疾患에서는 內障 · 外障 · 視一物爲兩 · 眼病通治 等 症狀에서 가장 많은 處方을 사용하고 있으며 2.1), 風病에서는 風有中血脉中腑中臟之異 · 暴瘖 · 口眼喎斜 · 手足癱瘓 · 中風熱證 · 五痺 · 痺證 等 病症에 通治에 羌活이 主藥으로 活用하고 있다 2.2). 이는 羌活이 中風病 治療에 중요한 作用을 하고 있음을 時事하고 있다.

小兒疾患에서는 急驚風 · 癲癎 · 諸熱 · 五軟五硬 · 發熱吉凶證 · 黑陷 · 痘後瞖膜에 羌活이 主藥으로 使用되어 2.3) 腦疾患이나 熱病 ‧ 痘疹 等의 治療에 중요하게 使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寒病에서는 兩感傷寒爲死證 · 太陽形證 · 陽明形證 · 傷寒表證 · 可汗不可汗證 · 感寒及四時傷寒 · 外感挾內傷證에 使用되었으며 2.4), 頭部疾患에서는 頭風證 · 熱厥頭痛 · 六經頭痛當分 · 眉稜骨痛 等의 活用하였고 2.5), 痎瘧疾患에서는 六經瘧 · 風瘧初起 · 感冒寒熱瘧에 羌活이 主藥으로 使用하고 있어 2.6)外部로부터 感染된 바이러스성 疾患에도 羌活을 使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도 火病 疾患에서는 中焦熱 · 五心熱로 火鬱에 2.7) 腰病疾患에서는 瘀血腰痛으로 인한 2.8) 鼻病의 鼻塞 · 鼻齄와 牙齒疾患의 蟲蝕痛 · 牙齒動搖 그리고 癰疽의 癰疽 · 附骨疽 · 疔疽에 皮膚病의 癮疹瘙痒 · 手足麻痺 · 大風瘡 · 瘰癧 等의 증상에도 羌活이 主藥으로 使用하고 있다 2.9).

또한 癲狂 · 虛煩不睡 · 失音 · 諸蟲 · 大便秘結 · 搭顋腫 · 項强 · 積心痛 ‧ 肛門痒痛 · 風濕 · 咳逆 · 骨折筋斷傷 · 寡婦師尼病 等 59개의 病症에서 羌活을 폭넓고 多樣하게 使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10).

3. 羌活의 使用量에 대한 調査

『東醫寶鑑』에 一回 使用量이 一貼으로 記錄 되어있는 處方으로 湯劑로는 加減芎辛湯 · 養血祛風湯 · 洗肝明目湯 · 疎風順氣湯 · 沈香天麻湯 · 養榮湯 · 獨活湯 · 陶氏補中益氣湯 · 開結舒經湯 · 疎風湯 · 三陽湯 · 冲和養胃湯 · 撥雲湯 · 通竅湯 · 增味五痺湯 · 陶氏冲和湯 · 葛根解肌湯 · 升陽散火湯 · 火鬱湯 · 羌活附子湯 · 散邪湯 · 茯神黃芪湯 · 羌活防己湯 · 秦艽羌活湯 · 明目細辛湯 · 羌活退瞖湯 · 川芎肉桂湯 · 蠲痺湯 · 九味羌活湯 · 防風冲和湯 · 加味益氣湯 · 羌附湯 · 桂枝羌活湯 · 麻黃羌活湯 · 羌活蒼朮湯 · 選奇湯 · 羌活勝濕湯 · 五痺湯 38개의 處方이 있으며, 散劑로는 人參羌活散(2) · 加味敗毒散 · 蓮心散 · 保肝散 · 大明復光散 · 理氣祛風散 · 天台散 · 羚羊角散(2) · 決明散 · 人參羌活散(1) · 連翹敗毒散 · 芎辛散 · 防風散 · 退雲散 · 行氣香蘇散 · 小通聖散 · 人參敗毒散 · 陶氏再造散 · 旣濟淸神散 · 地黃散 · 加味羌活散 · 獨活散 22개가 있으며, 飮劑로는 當歸連翹飮 · 加味消毒飮 2개가 있었다

使用量이 분명하지 않은 等分, 散劑, 丸劑 중 等分으로 처방은 皂角元 · 局方密蒙花散 · 散熱飮子 · 車前散 · 蒼朮散 · 蟬花散 · 撥雲退瞖丸 · 石膏羌活散 · 三化湯 · 解語丸 · 羌菊散 11개가 있으며, 散劑로는 菊花茶調散 · 羚洋角散(1) · 磨光散 · 加減撥雲散 · 五靈脂散 · 二活散 · 四聖散 · 蔓荊散 · 回生散 · 地黃散 10개가 있으며, 丸劑로는 肺風丸 · 磨風丸 · 驅風膏 · 鎭肝丸 · 金箔鎭心丸 · 薏苡丸 · 鐵粉散 7개가 있었다.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에서 一回 使用量을 度量衡으로 換算하여 調査한 結果 2.0分에서 2.0錢까지 폭넓게 使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2種의 方劑에서 羌活의 使用量은 1錢에서 1.6錢까지가 전체의 59.7%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使用量은 1.6錢으로 볼 수 있다. 적은 用量으로는 眼疾患과 小兒科에서 使用된 경우가 많았으며, 眉稜骨痛이나 項强症에서는 2錢까지 使用한 경우도 있었다36).

4.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및 基本方 分析 및 要約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疾患別로 區分하고 이에 대한 處方 構成內用과 基本方을 分析하고 要約하면 4.1-10)∼5.1-2)와 같다.

그 內容을 살펴보면 먼저 眼疾患에서는 祛風 淸熱 明目하는 防風湯 · 散熱飮子 · 密蒙花散 · 局方密蒙花散 等이 가장 많이 活用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中風疾患에서는 防風湯 · 九味羌活湯 · 人蔘敗毒散 等 外感風眼에 活用하는 處方과 二陳湯 · 導痰湯 · 溫白丸 等과 같이 內風에 使用하는 處方들을 모두 使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小兒科 疾患에서는 症狀에 따라 瀉淸丸 · 防風湯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傷寒에서는 防風湯과 더불어 九味羌活湯 · 防風冲和湯을 주로 사용하였고, 內傷에 사용하는 補中益氣湯이나 四君子湯 等의 補益劑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頭部疾患에서는 川芎茶調散을 가장 많이 사용 하였으며, 그 밖에도 火 · 腰 · 牙齒 · 聲音 · 大便 · 面 · 頸項 · 手 · 後陰 · 諸傷 · 婦人病에서도 모두 防風湯을 活用하고 있어 羌活의 祛風止痛하는 效能을 方劑에서 活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羌活이 主藥으로 使用된 方劑의 모든 疾患을 통하여 3회 이상(54%)의 頻度數를 보이고 있는 基本方을 調査해보면 防風湯 · 局方密蒙花散 · 升麻葛根湯 · 芎歸湯 · 散熱飮子 · 蒼朮散 · 菊花散 · 九味羌活湯 · 密蒙花散 · 補中益氣湯 · 導痰湯 · 洗肝散 等이 있었다. 이와 같은 내용은 補中益氣湯을 제외한 모든 基本方들이 祛風 淸熱 昇揚 發散 明目 祛痰의 效能을 나타내는 處方들로써 이 중 防風湯을 21%로 가장 많은 頻度數를 차지하고 있어 31개의 處方에서 祛風 止痛하는 效能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局方密蒙花散은 4.8%의 使用 頻度數를 차지하고 있어 7개 處方에서 活用하고 있는데 密蒙花 · 石決明 · 甘菊 等과 같이 射干 明目하는 效能을 발휘하여 眼科疾患에 많이 活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升麻葛根湯은 4.1%의 頻度數를 차지하고 6개의 處方에서 基本方으로 使用하고 있는데 陽明經의 昇揚 發散 作用을 돕는데 使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芎歸湯은 4.1%의 頻度數로 6개의 處方에서 活血祛瘀 作用을 하고 있으며, 散熱飮子는 3.4%를 차지하고 있어 5개의 處方에서 淸熱 祛風하는 效能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도 淸熱 祛風 明目射干하는 蒼朮散 · 菊花散 · 密蒙花散 · 洗肝散과 祛風 發散 止痛하는 九味羌活湯, 祛風痰하는 導痰湯 等을 基本方으로 活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眼科疾患에 使用한 冲和養胃湯이나 外感內傷에 사용했던 陶氏補中益氣湯, 加味益氣湯에서만 補益藥인 補中益氣湯을 合方하여 使用한 경우도 있었다36,37).

 

IV. 結 論

韓藥資源의 폭넓은 開發과 活用을 위하여 『東醫寶鑑』에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90處方에 대한 治療領域 · 病症 · 主治 · 각 處方別 一回使用量 · 處方構成內容 및 基本方을 分析한 結果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었다.

1. 羌活이 主藥으로 構成된 方劑는 총 27개 領域에 폭넓게 사용하고 있었으며, 그 중 眼門이 22.2%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내었고, 風門이 13.4%, 小兒門이 11.1%, 寒門이 8.9%, 頭門은 6.7%, 痎瘧門 4.5% 等의 順으로 調査 되었다. 2. 羌活이 主藥으로 配伍된 病症 및 主治는 內障, 外障 等 59개의 病症으로 調査 되었다. 3. 62種의 方劑에서 羌活의 一回 使用量은 1錢에서 1.6錢까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羌活이 主藥으로 使用된 基本方으로는 防風湯 等 63개의 基本方을 活用하고 있었으며, 이 중 防風湯이 21.52%의 頻度數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局方密蒙花散 · 升麻葛根湯 · 芎歸湯 · 散熱飮子 · 蒼朮散 · 菊花散 · 九味羌活湯 · 密蒙花散 等의 順으로 사용하고 있어 祛風 淸熱 明目 升散 止痛하는 基本方들이 病症에 따라 合方되어 使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