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친환경농산물 인증기관의 신뢰도 제고방안 - 민간인증기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Certificate bodie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 Shin, Y.K.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Park, J.K.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발행 : 2015.07.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농산물 인증업무를 담당하는 민간인증기관을 대상으로 경영실태를 조사하고 민간인증기관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대안 등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3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1달간) 국내에 소재지를 두고 있는 76개 인증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60개 인증기관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형태는 주식회사·영농조합법인·유한회사가 55%, 대학법인이 23.2%, 사단법인이 13.3%이며 지역별로는 광주·전남이 23.3%, 서울·인천·경기 18.3%, 대구·경북이 15.0% 등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인증기관의 평균 인증건수는 277건이며 평균 인증농가는 1,195호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평균 조수입이 2억 6,209만원, 비용이 2억 5,504만원, 이익은 1,684만원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민간인증기관 가운데 흑자인 경영체가 62.5%로 조사되었으며 적자 경영체가 29.2%, 수익이 제로인 경영체가 8.3%를 차지하고 있지만 모기업이나 재단으로부터의 전입금을 제외하면 적자경영체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부실인증의 발생이 우려되는 단계는 인증신청단계가 50.0%, 인증심사단계 26.7%, 사후관리단계 23.3%로 조사되었으며 다섯째, 부실인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농가교육을 철저히 한다는 응답이 33.3%, 인증심사원 자격강화가 21.7%, 인증비용 현실화가 15.0%, 인증기관지정 및 재지정기준 강화가 11.7% 등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raw up some measures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certificate bodie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For th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s of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 survey of the private certificate bodies. Based on the survey, the main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main reason of providing the certification services is the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21.7%) followed by the revenue seeking of the organizations (20.0%). Second, the average number of cases per private certificate bodies is 277 cases for 1,195 farms, and the average net revenue per authority is estimated as 16.84 million Won with the average total revenue of 262.09 million Won and the average total cost of 255.04 million Won.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ertificate bodies requires a variety of policy op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3. 농친환경농산물정보시스템 친환경인증통계 정보.
  2. 김명환 외 2인. 1998. 농산물 품지인증제도와 안정성조사제도의 발전 방향. 연구보고 R39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김창길 외 2인. 2005.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와 구매행태 부석. 연구보고 R50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김창길 외 2인. 2013.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실태와 시장 전망. KREI 농정포코스 55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김태균.김충실. 1993. 유기농산물에 대한 수요분석. 농업정책연구 제20권 2호. 한국농업정책학회.
  6. 김호. 1993. 유기농산물의 생산 및 소비 실태와 유통계열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박현태 외 2인. 1999. 친환경농산물의 유통개선 방향. 연구보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서종혁 외 2인. 1992. 유기농산물의 생간 유통실태와 장기발전방향. 연구보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신용광.황윤재. 2007.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 개선방안. 연구보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윤주이. 2002. 친환경농산물 생산·소비구조와 신뢰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이계임 외 2인. 2005. 농식품 품질경쟁력 제고를 위한 식품표시제도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C2005-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조완형. 2003. 친환경농산물 생산·소비·유통의 특성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친환경농산물인증기관협회. 2011. 전문인증기관 운영실비 징수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