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Value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eachers and its Development Plan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가치와 발전방안

  • 권영임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 차수정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Received : 2015.05.18
  • Accepted : 2015.06.21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 to be the basic help for the study of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eachers, and it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eachers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the teachers' pool system to the presen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eacher system and to find the more systematic development plan. Thus, focusing on the advanced researches and materials regarding the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eachers,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economical, social and educational values and the plan to solve the present problems. An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suggests the development plans for curriculums and training course, qualification and employment, field experiences,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 of the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위한 연구의 기초적 도움이 되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강사풀 제도에서 현재 문화예술교육사로 발전해 온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체계적인 발전방안을 연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선행연구 및 자료를 중심으로 경제적 사회적 교육적 가치, 현황 문제점에 대한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교육과정 및 연수교육의 발전방안, 자격 취득 및 취업관련 발전방안, 현장에서의 발전 방안, 근로조건 및 강사 처우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paper.html
  2. 2014 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4년 12월.
  3. 김정선, 국악분야 예술강사 파견사업에 관한 비교 연구: 2004-2006 서울시 강사부분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4. 이정화,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5. 문화부,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 12개 재지정', 2015년 1월 29일.
  6. 박현주, '<2013 국정감사>문화예술교육사 양성만 있고 일자리 대책 없어: 도종환 의원 자격증 80% 장롱자격증 될 우려', 아주경제, 2013년 10월 14일.
  7. 송미숙, 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레인보우북스, 2014.
  8. 장기범, "배경과 실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정체성", 음악교육공학, Vol.11, pp.25-40, 2010.
  9. 양현미, 정은희, 전효관, 박은영, 홍진표, 장용미,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10.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 한길아트, 2008.
  11. 문화정책백서, 2004.
  12. 문화정책백서, 2005.
  13. 김영순, 전영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내용 계열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제6권, 제4호, pp.87-110, 2011.
  14. 문화정책백서, 2003.
  15. 문화정책백서, 2007.
  16. 문화정책백서, 2008.
  17. 문화정책백서, 2009.
  18. 문화관광부.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 대회 추진기획단, 'The 2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보도자료, 2010.
  1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주관) 문화체육관광부 (후원) 김을동 국회의원(주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을 위한 공청회', 2011.
  20. 정재한, "문화예술교육정책과 사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 사진 문화예술강사제 도입을 준비하며", 한국사진학회, Vol.21, pp.99-111, 2009.
  21. 김용준,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백서, 박근혜 정부 희망의 새 시대를 위한 실천과제, 문화체육관광부, 2013.
  22. 문화예술정책백서, 2013.
  23. 곽은아, 한국전통음악교육의 철학적 토대와 교과과정 적합성 분석: 초.중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4. 민경원, "영화 강사풀의 역사와 비전", 모드니예술, Vol.2, pp.211-223, 2009.
  25. 이하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교육과정 참여자의 교육 만족도 및 행동의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6. 문화관광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가공인 문화예술교육사 이렇게 달라집니다' 리플렛, 2014년 12월.
  27. 신영숙,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대전광역시 문화예술교육 현황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8. 김현아, 한-프랑스 문화예술교육전문인력 시스템 비교 분석: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정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9. 박환석, 문화예술교육사의 활동영역 및 배치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0. 남기현,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1. 이주연,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립을 위한 전문 예술교육가(TA) 해외사례연구", 미술교육논총, Vol.33, pp.267-286, 2012.
  32. 김경민, "문화예술교육사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모드니예술, Vol.9, pp.57-67, 2013.
  33. 김영미, 김정미, 김성아, 최숙선,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와 전망", 부산대학교 논문집, Vol.34, pp.293-305, 2013.
  34. 남기현, "해외 예술강사 사례를 통해 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방향", 예술교육연구, Vol.11, No.3, pp.1-27, 2013.
  35. 김수진,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 교과현황 조사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6. 권정숙,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3, pp.203-228, 2013.
  37. 윤명원, "국악 전공자의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이수전략", 음악교육공학회, Vol.17, pp.227-242, 2013.
  38. 선걸,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운영 방향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분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9. 박소연, 임채홍, 박상현, 이주연, 김서용, 홍성만,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 평가 준거 개발", 한국조형교육학회, Vol.46, pp.99-120, 2013.
  40. 김인설, 박칠순, 조효정, "예술가인가 교육가인가? :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Vol.17, No.2, pp.185-216, 2014.
  41. 최종호, "문화재교육사와 문화예술교육사의 자질과 역량,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박물관학보, 25호, pp.79-100, 2013.
  42. 정춘옥, "문화예술교육사와 박물과 교육사: 자격, 직무, 역량, 비교", 박물관 학보, 제25호, pp.5-24, 2013.
  43. 임학순, 선걸,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제도 도입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개발방향 모색", 디지털 콘텐츠와 문화정책, No.6, pp.169-192, 2012.
  44. 강성룡, 이경화,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과 창의 성",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pp.5-27, 2012.
  45. 박연지, 무용전공자들의 문화예술교육사 시행에 따른 인식도가 활성화 지수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6. 송미숙, 김경은, "문화예술교육 지원 단체 및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무용연구, Vol.31, No.2, pp.77-102, 2013.
  47. 오세곤, "문화예술교육 관련 법령 및 제도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2, pp.5-37, 2008.
  48. 염지은,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수도권 집중...지방 폐강 속출', News 1, 2014년 9월 19일.
  49. 이동연, 문화연대 뉴스레터 문화빵, 2012년 4월.
  50. 김호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취득 쉬워진다.', 부산일보, 2014년 12월 17일.
  51. 박장호, '문화예술교육사 지원법 시행령 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data news, 2014년 12월 17일.
  52. 황보람, '우려가 현실로...시행1년, 신규채용 전무한 문화예술교육사, 머니투데이, 2014년 10월 7일.
  53. 황보람, '학생 삥 뜯는' 예체능 교수, '키울 순 없어도 밟을 순 있다', 머니투데이, 2014년 3월 7일.
  54. 홍승용, 손영호, 이주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Vol.34, No.34, pp.77-94, 2015.
  55. 이지향, '예술강사 토론회 녹취록', 국회의원회관 신관 2층 제1세미나실, 2012년 9월 12일 am.10-1.
  56. 문화체육관광부.교육부, '2014 예술강사 지원사업 지원대상 학교선정 및 지원계획', 2013.
  57. 탁지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예술강사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Vol.25, No.3, pp.17-43, 2014.
  58. 박창욱, '문화예술교육사 80% 장롱자격증 전락우려', 머니투데이, 2013년 10월 13일.
  59. 함형식, '예술강사 토론회 녹취록', 국회의원회관신관 2층 제1세미나실, 2012년 9월 12일 am.10-1.
  60. 통계청, "2015년 2월 고용동향", 2015년 3월 18일.
  61. 최샛별, '이웃 간 소통의 부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극복할 수 있어', 서울경제, 2014년 11월 25일.
  62. D. W. Pack, "Is art good for us?: Beliefs about high culture in american life, Lanham; Boulder; New Work; Oxford; Rowman&Littlefield Publishers, Inc,"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4, No.1, pp.187, 2004. https://doi.org/10.1093/joc/54.1.187
  63. James S. Caterall, Susan A. Dumais, and Gillian Hampden-Thompson, "The Arts and Achievement in At-Risk Youth: Findings from Four Longitudinal studies," 2013.
  64. S. S. Lowe, "Creating Community Art for Community Development," joumal of contemporary ethnography, Vol.29, No.3, pp.357-386, 2000. https://doi.org/10.1177/089124100129023945
  65. F. Matarasso, "Use or ornament? the social impact of participation in the arts," 1997.
  66. 이은영, '문화예술교육 받은 사람들, 봉사.기부 더 많이 한다', 머니투데이, 2014년 11월 24일.
  67. 최샛별, '꿈과 끼를 찾는 자유학기제의 지원군, 문화예술교육사', 서울경제, 2014년 11월 18일.
  68. 장호영, '창의성과 올바른 인성 키워주는 문화예술교육', 시사인천, 356호, 2010년 9월 5일.
  69.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사이트, http://www.moleg.go.kr/main.html/-paper.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