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Hotelier's Job Environment on the Emotional Exhaus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호텔리어의 직무환경이 감정소진과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연구

  • 김연선 (원광보건대학교 호텔관광과) ;
  • 김건 (중부대학교 호텔경영학과)
  • Received : 2015.05.29
  • Accepted : 2015.06.08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is study is effect of Hotelier's job environment on emotional exhaus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data analyses, a total of 25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mong them, 202 survey data were used for analyses. This study obtained following results. First, it found that fee, colleagues and atmosphere had the nega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exhaustion. Second, promotion, fee, colleagues and atmosphere had the posit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Third, fee, colleagues and atmosphere had the negative effects on the turnover intention. Fourth, emotional exhaustion had the negat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Fifth, Hotelier's emotional exhaustion had the positive effects on the turnover intention. Finally, Hotelier's job satisfaction had the negative effects on the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특급호텔 호텔리어의 직무환경이 감정소진과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호텔리어를 대상으로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202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리어의 직무환경 요인 중 보수와 동료 및 분위기 요인이 감정소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호텔리어의 직무환경 요인인 승진 및 인사, 보수, 그리고 동료 및 분위기 요인 모두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호텔리어의 직무환경 요인 중 보수, 그리고 동료 및 분위기 요인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호텔리어의 감정소진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호텔리어의 감정소진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호텔리어의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현정, 호텔종사원 서비스품질과 직무환경요인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 이계원, 호텔 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서비스품질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 정경구, 프로축구 구단의 직무환경,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 고미애, 김지연, 이두진, "외식기업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저널, 제27권, 제5호, pp.253-267, 2013.
  5. 박계영, 이인성, "호텔 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조직 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8권, 제2호, pp.213-225, 2014.
  6. 최학수, 김만술, "호텔경영형태에 따른 조직문화 특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18권, 제2호, pp.301-321, 2003.
  7. 박성수, 김미선,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에 따른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1권, 제4호, pp.153-175, 2012.
  8. 김영락, 임영규, "직무환경, 직무태도, 직무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간의 인과적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세무회계연구, 제24권, 제0호, pp.127-148, 2009.
  9. 김정숙, 강희순, "대학내 성희롱 고충상담원의 자기효능감, 직무환경,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3호, pp.516-539, 2013.
  10. S. Jayaratne and W. A. Ch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in social work: A national survey," In Faber, B. A., Stress and burnout in the human services profession, NY: Pergamon Press. Perman & Hartman, 1982.
  11. 김진희, 카지노 직원의 직무환경이 조직유효성과 고객지향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2. J. R. Hackman and G. R. Oldham,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0, pp.159-170, 1975. https://doi.org/10.1037/h0076546
  13. 정소영, 직무환경 요인으로 살펴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4. 윤혜미, "소진: 다면적 이해와 대응방안", 한국사회복지학, 제22권, pp.118-141, 1993.
  15. 변재우, 이유양, 고재윤, "호텔연회부서의 직무환경이 종사원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제15권, 제4호, pp.197-222, 2012.
  16. P. C. Smith, L. M. Kendall, and K. L. Hulin,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The Work and Retirement. Rand McNally, 1969.
  17. 이성천, 직무환경이 지방공무원들의 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8. 김정훈, 특급호텔 베이커리 직무환경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9. B. Perlman and E. A. Harman, "Burnout: Summary and future research," Human Relations, Vol.35, No.4, pp.283-305, 1982. https://doi.org/10.1177/001872678203500402
  20. C. L. Cordes and T. W. Dougherty,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4, pp.621-656,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9402210153
  21. C. Maslach, Burnout: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2.
  22. 강대훈, 홍석자,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21세기 사회복지연구, 제10권, 제1호, pp.171-191, 2013.
  23. 조상은, 양해술,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소진이 고객지향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386-40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6.386
  24. 이충형, 외식산업에서의 감정노동 수준에 따른 멘토링과 감정소진 및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 의도와의 관계,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5. 김건, 문정희, "특급호텔 종사원의 감정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9권, 제6호, pp.309-326, 2015.
  26. H. C. Smith, Psychology of Industrial Behavior, N. Y.: McGraw-Hill Book Co. Inc. 1955.
  27. R. Hoppock, Job satisfaction, New York Harper and Brother, 1935.
  28.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arvin D, Dunnette 2nd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76.
  29. J. P. Meyer and A. J. Allen,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3, No.1, pp.1-18, 1990.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30. J. Jang and R. T. George,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polychronicity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 study of non-supervisory hotel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31, No.2, pp.588-595, 2012. https://doi.org/10.1016/j.ijhm.2011.08.004
  31. 김준환, "호텔종사원의 정서상태와 감정노동이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경영학회지, 제16권, 제5호, pp.89-99, 2013.
  32. 이충형, 류기상, "외식산업에서 발생 가능한 감정노동 수준에 따른 감정소진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의 관계: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호텔경영학연구, 제23권, 제3호, pp.183-200, 2014.
  33. 이영순, 김은정, 천성문, "청소년동반자의 자기효능감, 직무환경,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제8권, 제2호, pp.179-195, 2009.
  34. 서선, "항공사 아웃소싱 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420-43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420
  35. 박광용, 전진화, "비정규직 호텔조리사의 직무환경과 조직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제13권, 제2호, pp.69-80, 2007.
  36. 박종철, 윤용보, "호텔종사원의 직무환경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제28권, 제6호, pp.133-148, 2014.
  37. 안성조, 안황권, "경비원의 직무환경과 사기 및 이직의사와의 관계", 한국경호학회지, 제9호, pp.1-16, 2005.
  38. R. T. Lee and B. E. Ashforth, "A further examination of managerial burnout: toward an integrated mod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4. No.1, pp.3-20, 1993. https://doi.org/10.1002/job.4030140103
  39. 이상희, 김혁수, "외식업체 종사원의 이직경험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영향관계", 호텔경영학연구, 제23권, 제3호, pp.2453-258,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