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Brand Personality, Brand-Self-image Congruence and Brand Affect on SNS Brand Recommendation

SNS 브랜드개성, 자아동일시, 브랜드감정이 SNS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 하주용 (인하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한영주 (인하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Received : 2015.05.28
  • Accepted : 2015.06.15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Due to tough competition among social network services, technological specification alone could not be an adoption factor by the users. Instead, emotional factors such as a brand image and feeling towards an SNS brand became important factors in service differentiation. This study examined Korean young users perception of brand personalities of three social network services, Facebook, Kakao Story, and Band. It also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brand personality, brand-self-image congruence, and brand affect on brand recommendation to others. The authors conducted a survey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SNS users perceived three SNS's brand personalities differently,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an SNS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recommendation. Brand personality, brand-self-image congruence, and brand affect combined determine brand recommendation. When the brand personality variable is statistically controlled, brand affect has strong effect on brand recommendation.

유사한 속성을 가진 SNS들이 경쟁하는 상황에서 개별 SNS의 기능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속성인 브랜드 측면에서의 서비스 차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세가지 SNS브랜드(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들에 대하여 어떠한 이미지로 평가하는지, 그리고 브랜드개성과 더불어 브랜드-자아 동일시, 브랜드감정 등의 요인이 추천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20대 대학생 이용자들의 각 SNS서비스에 대한 브랜드개성 평가에 차이가 났으며, 각기 다른 개성 요인이 각 서비스의 추천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브랜드개성과 브랜드-자아 동일시의 효과가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브랜드감정이 SNS추천의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세가지 SNS 모두에서 브랜드감정이 추천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며 그 영향력은 브랜드개성이나 브랜드-자아일치도보다 두 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EMarketer, Younger Users Spend More Daily Time on Social Networks: Facebook's user penetration is more than double that of any other socia l network, Nov. 2014. http://www.emarketer.com/Article/Younger-Users-Spend-More-Daily-Time-on-Social-Networks/1011592
  2. Chen, EMarketer Worldwide Internet Social Net work and Mobile Users: Q2 2014 Complete Forecast. 2014. http://www.scribd.com/doc/234107591/EMarketer-Worldwide-Internet-Social-Network-and-Mobile-Users-Q2-2014-Complete-Forecast#scribd
  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3.
  4. 이윤희, "국내 SNS의 이용 현황과 주요 이슈 분석", Internet & Security Focus,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8).
  5. 이주영, 소셜미디어서비스 현황 및 활용: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KISDI 연구보고서, 2013.
  6. 이호영, 김희연, 정부연, 장덕진, 김기훈, 소셜미디어의 성장과 온라인 사회관계의 진화, KISDI연구 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7. 소셜미디어연구포럼, 소셜미디어의 이해, 미래 M&B, 2012.
  8. EMarketer, For B2C Marketers, Social Media Tops Content Marketing Efforts, Oct. 2013.
  9. 김유경, 허웅, 김운, "eBrand로서의 인터넷 웹사이트의 개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4호, pp.229-276, 2001.
  10. 장우성, 문윤택, "SNS (트위터와 페이스북) 브랜드개성과 충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 권, 제2호, pp.359-387, 2012.
  11. 김유경, "브랜드개성의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제품특성과 소비자 요인을 중심으로", 광고 연구, 제49호, pp.29-53, 2000.
  12. 김철완, 문연희, 최지호, "브랜드 SNS몰입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제30권, 제2호, pp.107-116, 2012.
  13. 이주영, 브랜드SNS개성과 자아 이미지 일치성 이 브랜드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페이스북 팬 페이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4. 심성욱, 김도형, 황장선, "공중파 방송의 채널 브랜드개성과 시청자의 자아 이미지 일치 정도가 채널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19권, 제1호, pp.7-36, 2008.
  15. D. A. Aaker, Managing Brand Equity, NY: The Free Press, 1991.
  16. 김정구, "브랜드개성을 통한 광고전략 연구", 광고학연구, 제9권, 제1호, pp.37-52, 1998.
  17. K. L. Keller, "Conceptualization,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ality," J. of Marketing, Vol.57, No.1, pp.1-22, 1993. https://doi.org/10.2307/1252054
  18. 박범순, "광고가 표현하는 브랜드개성과 소비자 가 인식하는 브랜드개성의 일치성 연구: 제품유형 별 최초 시장 진입 브랜드의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2권, 제1호, pp.155-183, 2010.
  19. 김정구, 류주연, 성희승, "브랜드개성이 구전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일체감 이론의 적용", 소비자학연구, 제13권, 제1호, pp.25-43, 2002.
  20. J. Aaker,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 of Marketing Research, Vol.34, pp.347-356, Aug. 1997. https://doi.org/10.2307/3151897
  21. 안광호, 한상만, 전성률, 전략적 브랜드관리: 이론과 응용(제3판), 학현사, 2008.
  22. J. Aaker, "Accessibility or Diagnosticity? Disentangling the Influence of Culture on Persuasion Processes and Attitudes," J. of Consumer Research, Vol.26, pp.340-357, Mar. 2000. https://doi.org/10.1086/209567
  23. 박성연, 이유경, "브랜드개성과 자아이미지 일치 성이 소비자 만족,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소비자들의 브랜드개 성과 소비자-브랜드 관계 유형 인식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7권, 제1호, pp.7-24, 2006.
  24. 김정구, 안용현, "브랜드개성의 FCB모델에 따른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1권, 제4호, pp.65-85, 2000.
  25. 안주아, "인터넷 쇼핑몰의 브랜드개성요인과 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 연구, 제67호, pp.59-83, 2005.
  26. 박수이, "웹사이트의 이브랜드개성 차원 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 pp.17-29, 2006.
  27. J. E. Escalas and J. R. Bettman, "You Are What They Eat: The Influence of Reference Groups on Consumer Connections to Brands," J. of Consumer Psychology, Vol.13, No.3, pp.339-348, 2003.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1303_14
  28. 형연희, "자아일치성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브랜드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4권, 제5호, pp.3227-3255, 2011.
  29. 김문섭, 이형탁, "스마트폰 구전에 있어서 브랜드-자아 일치성과 동조성의 역할에 관한 연구: 단말기와 이동통신 서비스의 영향력 비교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3권, 제1호, pp.281-299, 2012.
  30. I. J. Dolich, "Congruence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s and Product Brands," J. of Marketing Research, Vol.6, pp.80-84, Feb. 1969. https://doi.org/10.2307/3150001
  31. M. J. Sirgy,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 of Consumer Research, Vol.9, pp.287-300, Dec. 1982. https://doi.org/10.1086/208924
  32. J. S. Levy, "Symbols for Sale," Harvard Business Review, Vol.37, pp.117-119, 1959.
  33. E. L. Grubb and H. L. Grathwohl, "Consumer Self-Concept, Symbolism and Market Behavior: A Theoretical Approach," J. of Marketing, Vol.31, No.4, pp.22-27, 1967. https://doi.org/10.2307/1249461
  34. T. R. Graeff, "Using Promotional Message to Manage the Effects of Brand and Self-Image on Brand Evaluation," J. of Consumer Marketing, Vol.13, No.3, pp.4-18, 1996. https://doi.org/10.1108/07363769610118921
  35. 박주영, 최인혁, 장경숙, "브랜드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저널, 제3권, 제2호, pp.92-114, 2001.
  36. 이유재, 이지영,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감정, 브랜드 로열티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 간의 비교", 광고연구, 제65호, pp.101-125, 2004.
  37. 이유재, 라선아, "브랜드 퍼스낼리티-브랜드 동일시-브랜드자산 모형: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마케팅연구, 제17권, 제3호, pp.1-33, 2002.
  38. 류주연, 김정구, "브랜드 경험에 따른 긍정적 감정이 자아인식의 향상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 연구, 제28권, 제4호, pp.57-80, 2013.
  39. A. Chaudhuri and M. B. Holbrook,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 of Marketing, Vol.65, No.2, pp.81-93, 2001. https://doi.org/10.1509/jmkg.65.2.81.18255
  40. 정연승, "고급 승용차 시장에서의 브랜드개성 효과",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7권, 제3호, pp.219-237, 2009.
  41. 김문섭, "브랜드감정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성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경제, 제46권, 제1호, pp.1-17, 2013.
  42. Y. Sung and J. Kim,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Psychology & Marketing, Vol.27, No.7, pp.639-661, 2010. https://doi.org/10.1002/mar.20349
  4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SNS 이용 추이 분석", KISDISTAT Report, 1-5, 2013(12).
  44. 금희조,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한국언론학회 엮음, 디지털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pp.187-218, 2014.
  45. 고병기, "네이버, 라인 이어 밴드까지... 'SNS 쌍두마차' 성장 질주", 서울경제, 2014(02. 09).
  46. 정보통신정책연구원, "SNS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STAT Report, 2015(3).
  47. 김운, 인터넷 브랜드의 개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48. 이지욱, 브랜드개성이 브랜드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터넷 검색포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9. 정승화, 이유리, "온라인 패션 쇼핑몰의 모기업 특성이 e브랜드개성에 미치는 영향", 복식연구, 제61권, 제5호, pp.64-76, 2011.
  50. 김현철, 온라인 브랜드개성이 온라인 브랜드태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51. M. J. Sirgy, D. Grewal, T. F. Mangleburg, J. Park, K. Chon, C. B. Claiborne, J. S. Johar, and H. Berkman, "Assessing the Predictive Validity of Two-methods of Measuring Self-image Congruence," J.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5, No.3, pp.229-241, 1997. https://doi.org/10.1177/0092070397253004
  52. 보양키식 온드라크, "브랜드 감정,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몰입에 의한 고객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저널, 제4권, 제2호, pp.135-158, 2012.
  53. 김경희, "온라인 쇼핑몰 브랜드개성에 따른 포지셔닝전략 수립",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334-34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