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of Physical Therapists in Twenties: Focusing on Therapeutic Exercise Task

20대 물리치료사의 근육뼈대계 증상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분석: 운동치료 업무를 중심으로

  • 왕중산 (여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안호정 (동남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Received : 2015.03.10
  • Accepted : 2015.04.30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of physical therapists in their 20s who are responsible for therapeutic exercise an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144 subjects based on the measurement tools provided by national institu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ny subjects were experiencing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disorder in their hands/wrists/fingers, shoulders, and waist with high proportionate of subjects experiencing the symptoms and disorder in their right hand/wrist/finger. Among job stress, job environment, job requirement, and compens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burden(r=.297~.392, p=.000). In particular, shoulder pain intensity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requirement, duration of pain in hand, wrist, and fingers as well as workplace culture(r=.331~.478, p=.003~.009) which indicates that musculoskeletal symptoms are some what correlated with job stress.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how more concern and make an effort to manage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본 연구는 운동치료를 담당하는 20대 물리치료사들의 근육뼈대계 증상과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고 둘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총 144명을 대상으로 국가기관에서 제공하는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손/손목/손가락, 어깨, 허리에 근육뼈대계 증상과 질환이 많고, 특히 오른쪽 손/손목/손가락에 증상과 질환의 비율이 매우 높은 특징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 중 직무환경, 직무요구, 보상은 육체적 부담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297~.392, p=.000), 특히 목의 통증정도는 직무환경과 직무요구, 어깨의 통증정도는 직무요구, 손/손목/손가락의 통증기간과 직장문화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r=.331~.478, p=.003~.009) 근육뼈대계 증상은 직무스트레스와 일정부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이들의 근육뼈대계 증상과 직무스트레스의 관리를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령제6호(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전부개정령), 2010.
  2. L. W. Pedrertti and M. B. Early,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5th ed), Mosby, 2001.
  3. P. Jezukaitis and D. Kapur, "Management of Occupation-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Vol.25, No.1, pp.117-129, 2011. https://doi.org/10.1016/j.berh.2011.01.010
  4. 김경모,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통증과 직무 스트레스,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용준형, 이충휘, 권오윤, 전혜선, "물리치료사의 직무관련 근골격계 통증과 직무 스트레스",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pp.53-61, 2010.
  6. 한국산업안전공단,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2년차년도), 2004.
  7. 이중호, "물리치료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통증과 부담작업 유해요인 평가",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69-79, 2012. https://doi.org/10.12674/ptk.2012.19.2.069
  8. M. Campo, S. Weiser, K. L. Koenig, and M. Nordi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pis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with 1-year Follow-up," Physical Therapy, Vol.88, No.5, pp.608-619, 2008. https://doi.org/10.2522/ptj.20070127
  9. J. E. Cromie, V. J. Robertson, and M. O. Bes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sical Therapists: Prevalence, Severity, Risks, and Responses," Physical Therapy, Vol.80, No.4, pp.336-351, 2000. https://doi.org/10.1093/ptj/80.4.336
  10. W. J. Grooten, P. Wernstedt, and M. Camp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Fe male Swedish Physical Therapists with more than 15 years of Job Experience: Prevalence and Associations with Work Exposures,"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Vol.27, No.3, pp.213-222, 2011. https://doi.org/10.3109/09593985.2010.481323
  11. Y. Salik and A. Ozca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urvey of Physical Therapists in Izmir-Turkey,"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Vol.5, No.27, pp.1-7, 2004. https://doi.org/10.1186/1471-2474-5-1
  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 요양기관 현황 통계자료집(2007-2011년도), 2012.
  13. 국민건강보험공단, 2013 상반기 건강보험주요통계, 2013.
  14. 동종익, 물리치료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대응 행위 분석: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5. 신지영, 의료기관 유형에 따른 물리치료사의 직 무스트레스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6.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 실무지침 및 조사방법, 2007.
  17. NIOSH, NIOSH health hazard report: Newsday OH: NIOSH Report No. HETA89-250-2046, 1990.
  18. B. B. Bork, T. M. Cook, J. C. Rosecrance, K. A. Engelhardt, M. J. Thomason, I. J. Wauford, and R. K. Worle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Physical Therapists," Physical Therapy, Vol.76, No.8, pp.827-835, 1996. https://doi.org/10.1093/ptj/76.8.827
  19. U. Lundberg, R. Kadefors, B. Melin, G. Palmerud, P. Hassmen, M. Engstrom, and I. E. Dohns, "Psychophysiological Stress and EMG Activity of the Trapezius Muscl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1, No.4, pp.354-370, 1994. https://doi.org/10.1207/s15327558ijbm0104_5
  20. 한승엽, 노동희, 손보영, 이나정, 안선정, 감경윤, "근골격계질환 예방활동이 작업.물리치료사의 통증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0권, 제1호, pp.29-41, 2012.
  21. 김성렬, "호텔종사원의 근무환경에 따른 근골격계 통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256-26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256
  22. 이정언, 주천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449-45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449
  23. 이나임, 체간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이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