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Engineering Camp Program involving Engineering Design Activity and Intra-/Inter-Team Works for High School Students: Plant factory as main theme

공학설계활동과 팀 내, 팀 간 협력 기반 고등학생 공학 캠프 프로그램 운영 사례: 식물공장을 주제로

  • Cho, Kyung-Su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조경숙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5.02.02
  • Accepted : 2015.05.06
  • Published : 2015.05.29

Abstract

Informal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to cultivate engineering literacy using the human resources and facilities of university. Plant factory, a smart farming technology, was selected as a main theme, and the novel engineering camp program involving engineering design activities and intra-linter-team works was planned. The camp program was applied to 38 high school students in an active learning classroom. Five team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elemental technologies such as biotechnology,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energy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ing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th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intra- and inter-team activities to achieve the final goal of 'the construction of a plant factory in school'. The team work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eight steps of engineering design process (identifying the problem and need, identifying criteria and constraints, brainstorming possible solutions, selecting the best possible solution, constructing a prototype, testing and evaluating the solution, communicating the solution, and refining design). Participants'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n the contents of engineering design was 4.48 on 5-point Likert scale.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on creative activity and systematic methodology was 4.43 on 5-point Likert scale. 97% of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to team works, and 92% of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career mentoring activity supplied by undergraduate/graduate students.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the engineering camp program involving engineering design activity and intra-/inter-team works can contribute to cultivate engineering literacy such as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collaboration, communication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increase their interests in engineering fields.

고등학생의 공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대학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비정규 공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스마트 농업 기술인 식물공장을 주제로 선정하여 공학설계 및 팀 내 팀 간 활동 중심의 공학 캠프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대학의 첨단 강의실을 이용하여 38명의 고등학생에게 적용하였다. 참가학생들은 생물공학, 정보통신공학, 에너지공학, 기계공학 및 건축공학 등 5가지 식물공장 요소 기술 중심으로 팀 내 활동과 팀 간 협력을 통해 '교정에 식물공장 세우기'라는 최종 미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팀 활동은 8단계로 구성된 공학설계과정(문제와 필요 확인하기, 기준과 제한조건 확인하기, 가능한 해결책 찾기, 최선의 해결책 선택, 시작품 제작, 시험과 해결책 평가하기, 해결책에 대한 의사소통, 재설계 및 설계 수정하기)으로 진행되었다. 만족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공학설계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38점 이었고, 창의적 활동 및 탐구방법의 합리성/체계성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4.43점 이었다. 참가학생의 94%가 팀워크에 만족한다고 답변하였고, 대학(원)생들이 제공한 진로 멘토링 활동에 대해서도 참가학생의 92%가 만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학설계과정 및 팀 내 및 팀 간 협업을 기반한 공학 교육 프로그램은 참가 학생들의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협동심,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공학적 소양을 함양하고 공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찬(2009).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의 진화: 식물공장, SERI 경제보고서 제255호.
  2. 권혁수.박경숙(2009). 공학적 디자인: 과학 기술, 공학, 수학교육의 촉진자. 과학교육연구지, 33(2) : 207-220
  3. 김기수(2014). 우리나라의 초.중등 공학교육 사례: 충남대학교 청소년창의기술인재센터. 공학교육, 50(4) : 48-53.
  4. 김기수.김영민.허혜연, 이창훈(2013).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전문가들의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연구, 38(2) : 136-155
  5. 김연중.한혜성(2013). 식물공장의 전망과 정책 과제. 농정포커스, 제 49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영민.이창훈.김기수(2012). 공학전문가가 인지하는 고등학교 공학 기술 교과 교육 목표와 내용 요소.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 221-249.
  7. 김영민.허혜연.이창훈.김기수(2013a). 초.중등학교 교사의 초.중등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공학교육연구, 16(5) : 9-17
  8. 김영민.허혜연.이창훈.이소이.김기수(2013b). 공학 기술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인식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청소년 창의기술인재 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실과교육연구, 19(4) : 271-296.
  9. 김영민.허혜연.임나영.김영숙.이창훈.김기수(2013c).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 참가학생들의 공학에 대한 태도 변화. 국제공학교육포럼 2013 학술대회 논문집, 116.
  10. 김은경(2010).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의 전공결정 영향 요인. 한국공학교육학회, 13(6) : 80-86
  11. 김이형.이선하.정상만(2004). 대학 내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실 프로그램 운영상의 특성과 개선방안. 공학교육연구, 7(4) : 5-15.
  12.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 90-101.
  13. 문대영(2009).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 연구: STEM 통합 접근 교육 프로그램 적용응 통해.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 51-66.
  14. 박소라.남현욱(2008). F1 in Schools 프로그램을 이용한 초등학생 대상 공학 기술 교육에 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1(1) : 83-98.
  15. 박현주.김영민.김영민.노석구.정진수.이은아.유은정.이동욱.박종원.백윤수(2012). 과학교육 내용표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 729-75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729
  16. 박현주.백윤수(2014). 초등 및 중학교 수준의 공학교육 내용 표준 제안. 공학교육연구, 17(4) : 87-94.
  17. 박태현(2009). 청소년 공학교육 현황과 방향, 공학교육, 16(2) 39-42.
  18. 성의석.나승일(2012). 통합적 STEM 교육이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 255-274.
  19. 손소영(2008). 영국의 청소년 공학 탐험프로그램 소개. 공학교육, 15(2) : 16-19
  20. 심덕섭.최지호.양동민.문연희.허영호(2009) 과업기들이 프로젝트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효능감의 조절효과. 경영학연구, 38(6) : 1599-1623.
  21. 안정호.임지영(2014). 공학설계수업에서 팀 성격 구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7(1) : 50-56.
  22. 이재훈.윤정현.강영명(2010). 팀 간 특성과 팀 간 갈등, 그리고 팀 간 협력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팀 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62 : 3-396.
  23. 이춘식(2008). 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실과교육연구, 14(2) : 157-174.
  24. 이태호.김태훈(2014). Capstone-design 활동에서 MBTI 성격 유형에 따른 팀 상호작용 변화 분석. 공학교육연구, 17(1) : 57-64.
  25. 장경애.윤혜경(2005). 비정규 과학교육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4(4) : 329-336.
  26. 조희영.정경원(2006). 디자인팀 구성원의 내재적 속성이 그룹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9(5) : 43-54.
  27. 지해성(2013) 학제간 팀별 설계프로젝트 기반 산학공동 공학 설계교육. 공학교육연구, 16(3) : 51-60.
  28. 최유현.박기문.임윤진.임병웅(2011). 주니어 공학 팀 미션 프로젝트 교육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과 적용 효과. 공학교육연구, 14(3) : 15-24.
  29. 한국과학창의재단(2013). 초.중등 공학교육 강회방안 정책 연구.
  30. Campion, M. A., Medsker, G. J., & Higgs, A. C.(1993). Relationships between work group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A replication and extension. Personnel Psychology, 49(2) : 429-452.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6.tb01806.x
  31. Doppelt, Y., Schunn, C. D., Silk, E., Mehalik. M., Reynolds, B., & Ward. E.(2009). Evaluating the impact of a facilitated learning community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eacher practice and student achievement.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7(3) : 339-354. https://doi.org/10.1080/02635140903166026
  3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10). Standards for K-12 Engineering Educat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3. Pasmore, W., Francis, C., Haldeman. J., & Shani, A.(1982). Sociotechnical systems: A north American reflection on empirical studies of the seventies. Human Relations, 35 : 1179-1204. https://doi.org/10.1177/001872678203501207
  34. The committee on K-12 engineering education(2009). Engineering in K-12 Education: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