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that Participating Motives and Involvement about Lifelong Education have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Continuous Intention to Take Course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동기와 관여가 평생교육 학습자의 만족, 지속수강의도, 권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2.06
  • Accepted : 2015.05.08
  • Published : 2015.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the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and involvement on lifelong education have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from lifelong educati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take courses,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lifelong education. The results from a quantitative research show that the practical and recreational motives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o situational involvement in lifelong education and that the relational and goal-oriented motives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o continuous involvement in lifelong education. Moreover, for satisfaction about teaching methods, practical motives had a relatively higher effect. For satisfaction about facility comfort, recreational motives had a relatively higher effect. For satisfaction about communication, relational motives had a relatively higher effect. For satisfaction about contents' quality, goal-oriented motives had a relatively higher effect. The finding also shows that situational involvement had a relatively higher effect on satisfaction about contents' quality. Continuous involvement had a relatively higher effect on satisfaction about teaching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 동기와 관여가 평생교육 학습자의 만족, 지속 수강 의도, 그리고 권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평생교육 참여 동기는 실용적, 오락적, 관계적, 목표지향적 참여 동기로 구분하고, 평생교육에 대한 관여는 상황적 관여와 지속적 관여로 구분하였다. 정량적 연구 결과, 실용적 참여 동기와 오락적 참여 동기는 평생교육에 대한 상황적 관여와, 목표지향적 참여 동기와 관계적 참여 동기는 평생교육에 대한 지속적 관여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수 방법에 대한 만족에는 실용적 동기가, 시설 편리성에 대한 만족에는 오락적 동기가, 소통에 대한 만족에는 관계적 동기가, 콘텐츠 품질에 대한 만족에는 목표지향적 동기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에 대한 상황적 관여는 콘텐츠 품질에 대한 만족에, 지속적 관여는 교수 방법에 대한 만족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지속 수강 의도에는 콘텐츠 품질에 대한 만족이, 평생교육 권유의도에는 시설편리에 대한 만족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철호,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통제된 열등의식 해소, 유보된 욕망 충족, 자발적 재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1호, pp.515-530,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11.515
  2. C. O. Houle, The Inquiring Mind,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3. 최운실, 여성사회교육기관의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정무제2장관실, 1996.
  4. 유해엽, 기영화, "노인 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평생교육HRD연구, 제5권, 제1호, pp.55-74, 2009.
  5. Barry J. Babin, William R. Darden, and Griffin, Mitch,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9, pp.644-656, 1994.
  6. C. H. Kim, Basic Perspectives on Consumers' Web-Related Communication & Behavior: The Concept of Value Expectation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SM, 2004.
  7. 김철호, "광고에 대한 윤리적 가치관과 기대가치 성향이 광고소구 유형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19권, 제6호, pp.221-236, 2008.
  8. 김철호, "광고에의 노출 동기와 크리에이티브 표현 기법이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태도 및 노출 동기 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포럼, 제34권, pp.469-480, 2012.
  9. J. L. Zaichkowsky,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2, No.3, pp.341-352, 1985. https://doi.org/10.1086/208520
  10. J. F. Engel, R. D. Blackwell, and P. W. Miniard, Consumer Behavior, The Dryden Press, 1993.
  11. R. N. Laczniak and D. D. Muehling,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Advertising Message Involvement In Ad Processingm," Psychology & Marketing, Vol.10, No.4, pp.310-319, 1993.
  12. Utpal M. Dholakia, "A motivational process model of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 risk percep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35, No.11/12, pp.1340-1362, 2001.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6479
  13. 김소영, 이기영, "주부의 자원활동 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제4권, 제2호, pp.99-108, 2000.
  14. 변주성, "평생교육 기관별 도자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영향요인 구조분석", 미술교육연구논총, 제28권, pp.81-108, 2010.
  15. R. H. Maki and W. S. Maki, "Prediction of learning and satisfaction in web-based and lecture course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Vol.28, pp.197-219, 2003. https://doi.org/10.2190/DXJU-7HGJ-1RVP-Q5F2
  16. 권금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learning 사회복지 교과목을 중심으로 ", Journal of the Korean Date Analysis Society, Vol.12, No.3, pp.1717-1728, 2010.
  17. A. P. Rovai, "In Search of higher persistence rates in distance education online program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6, pp.1-6, 2003. https://doi.org/10.1016/S1096-7516(02)00158-6
  18. 박현권, "스포츠센터의 서비스 질과 고객만족도 재구매의도 및 권유의향과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8권, 제1호, pp.161-173, 2003.
  19. 이견직, "전문 공공포털사이트의 유용성 평가요인 및 제고 방안 연구: 국가복지정보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28권, 제1호, pp.27-50, 2008.
  20. R. E. Petty and J. T. Cacioppo,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Persuasion," New York: Springer-Verlag, 1986.
  21. 이정의, 대학사회교육 참여동기에 관한 연구: 참여자의 배경 특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2. 이숙원, 한국 대학부설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 결정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3. 전명수, 송선희, "노인 평생교육 참여 동기 유형 이 교육만족도와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438-448, 2012.
  24. Barry J. Babin and William R. Darden, "Consumer self-regulation in a retail environment," Journal of Retailing, Vol.71, pp.47-70, 1995. https://doi.org/10.1016/0022-4359(95)90012-8
  25. W. Ulaga, "Capturing Value Creation in Business Relationships: A Customer Perspectiv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32, pp.677-693, 2003. https://doi.org/10.1016/j.indmarman.2003.06.008
  26. R. W. Palmatier, R. P. Dant, D. Grewal, and K. R. Evans,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Relationship Market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70, No.4, pp.136-153, 2006. https://doi.org/10.1509/jmkg.70.4.136
  27. 김철호, "지역 브랜드 정체성 구축 동인으로서의 올림픽 기대가치와 지역사회 소속감 측정 척도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2호, pp.149-160, 2013.
  28. 윤승욱, 우소영, "광고가 유발한 감정 반응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 관여도와 브랜드 친숙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권, 제1호, pp.7-39, 2005.
  29. J. H. Antil, "Conceptualization and Cperationalization of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1, pp.203-209, 1984.
  30. H. Bloch and Marsha L. Richins, "A Theoretical Model for the Study of Product Importance Perception," Journal of Marketing, Vol.47, Summer, pp.69-81, 1983. https://doi.org/10.2307/1251198
  31. 김종식, 임왕규,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179-18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179
  32. 김나영, 강정은, "여성 평생교육 참가자의 참여 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958-96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958
  33. 권인탁, "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성인 학습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제11권, 제3호, pp.139-164, 2013.
  34. 최청락, "스쿠버다이버들의 관여도 수준과 다이빙횟수에 따른 교육만족도와 참여의도의 차이",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1권, 제1호, pp.65-75, 2006.
  35. 주영주, 유나연, 설현남, "사이버 대학생의 직장 유무에 따른 고립감, 상호작용, 콘텐츠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 의향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525-54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525
  36. 권준영, 김시중, "프로야구 스포츠 이벤트 관람 동기가 관람 만족, 재방문의사 및 권유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6권, 제2호," pp.55-64, 2012.
  37. 김철호, "상호작용성과 컨텐츠로서의 웹정보에 대한 상황적 관여도가 웹기반 정보 회상과 정보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18권, 제3호, pp.199-227, 2007.
  38. 심선경, "온라인수업에서 학습도구와 학습성취, 학습만족 간의 관계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487-49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3.487
  39. 신은경, 이홍석, 현영섭, "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이 관계만족과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학연구, 제16권, 제3호, pp.101-126, 2010.
  40. 최병수, 유상미, "교육용 모바일 앱의 ARCS 요인과 학습지속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239-247, 2013. https://doi.org/10.7236/JIIBC.2013.13.4.239
  41. 최재희, 이화석, "댄스스포츠 참여 노인의 참여 동기, 심리적 행복감, 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pp.156-169, 2012.
  42. 이희정,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참여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제 19권, 제2호, pp.67-108, 2011.
  43. 이광현, 홍지영, "학습유형별 평생학습 참여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지방교육경영, 제17권, pp.42-59, 2009.

Cited by

  1. Shared Value Expectation on Lifelong Education vol.13, pp.1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2.325
  2.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Online Degree Course vol.30, pp.4, 2018, https://doi.org/10.13000/JFMSE.2018.08.30.4.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