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고선강(2008). 치매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자원 이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209-229.
- 고선강(2011). 중노년기 가정의 세대 간 자원이전: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57-175.
- 고선강(2012a).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03-121.
- 고선강(2012b). 부모의 결혼자금 지원과 경제적 자원이전: 20-40대 기혼여성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3), 1-19.
- 고선강(2013). 중년기 가정의 자산과 3세대 간 경제자원 이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31-144.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131
- 고선강(2014).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간 경제자원 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79-101.
-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 권영인(2014). 미혼 및 기혼 무자녀 남성과 여성의 출산 의사 고찰과 미래 예상 출산 자녀수 관련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3(2), 251-268.
- 김나영(2011). 미혼남녀의 출산관련 가치관과 이상적인 자녀수의 인과관계. 사회과학연구논총, 26, 5-23.
- 김두섭(2007).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한국인구학, 30(1), 67-95.
-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 김순미.박미려(2008). 중.고령자가구의 경제적 자원 교류유형 및 교류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14.
- 김영순(2013). 기혼자녀를 둔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이전과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영순.고선강(2014). 중년기 부모와 기혼 자녀 간 상호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도구적 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43-162.
- 김지경.송은경(2004). 부모와의 경제적 교류여부 및 교류액의 결정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75-89.
- 김지경.송현주(2008). 결혼으로 분가한 자녀와 부모 간의 사적소득이전. 사회보장연구, 24(3), 77-98.
- 김태헌.이삼식.김동희(2006). 인구 및 사회 경제적 차별출산력-인구센서스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1), 1-23.
- 류덕현(2007). 출산율과 여성노동공급에 대한 거시적 실증분석. 공공경제, 12(1), 39-74.
- 마미정(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 문숙재.김지연.(2006). 소득계층에 따른 경제적 자원교류 결정 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9-329.
- 박수미(2008). 둘째 출산 계회의 결정요인과 가족 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5-73.
- 배희선(1998). 중.노년기 가계의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적 자원이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헌재.김지영(2013). 출산장려금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15(1), 3-27.
- 신윤정(2008). 보육.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사회연구, 28(2), 103-134.
- 안윤숙.이상호(2010). 공보육정책이 자녀출산 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3, 227-258.
- 야마다, 마스히로(山田昌弘)(1999) (김주희 역) (2004). 패러사이트 싱글의 시대. 서울: 성신여대출판부.
- 엄동욱(2009). 우리나라는 저출산함정에 빠진 것인가? -저출산함정 가설의 검증과 함의-. 한국인구학, 32(2), 141-159.
- 염지혜(2013).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강남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5, 43-63.
- 유계숙(2009). 저출산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2007년 출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69-189.
- 유계숙(2013). 청년층의 경제적 합리성으로 본 희망자녀수와 출산시기: 저출산트랩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3), 141-151. https://doi.org/10.7466/JKHMA.2013.31.3.141
- 유계숙(2014). 헬리콥터부모 역할이 대학생자녀의 출산의향과 희망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21(3), 5-12.
- 은기수(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 최근 우리나라에서 저출산이 갖는 의미. 보건복지포럼, 102, 25-35.
- 이삼식.최효진.오영희.서문희.박세경. 도세록(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보건복지부가족부.
- 이성용(2009). 출산순위별 출산증가 요인 분석. 한국인구학, 32(1), 51-70.
- 이세영.홍달아기(2014). 대학생의 결혼관과 출산의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2), 3-28.
- 이윤정.고선강(2011). 어머니와 성인 자녀간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돌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37-151. https://doi.org/10.7466/JKHMA.2011.29.6.137
- 이재경.조영미.이은아.유정미(2005). 유럽의 저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여성주의 적 분석. 한국여성학, 21(3), 133-166.
- 이제상(2011).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산업 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1), 27-61.
- 이진숙.김태원(2014). 독일의 저출산문제와 최근 대응의 변화. 국제지역연구, 18(1), 3-16.
- 이현옥(2011). 한국 여성의 출산행태 결정 요인 분석.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형실(2003). 농촌 노인의 세대 간 사회적 지원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집단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4), 57-69.
- 임현주(2013). 인구.사회학적 변인, 경제변인, 양육.출산 변인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유아교육연구, 33(3), 35-58.
- 장지연(2005). 여성의 경제활동과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102, 45-56.
- 정상천(2014). 저출산문제: 프랑스 사례연구.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5(2), 327-359.
- 정성호(2009).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향후과제. 사회과학연구, 48(2), 1-22.
- 정성호(2010). 저출산 요인의 인과모형. 사회과학연구, 49(1), 69-91.
- 주효진.곽경희.조주연(2010). 사회경제적 요인과 정책적 요인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24(4), 211-228.
-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 최새은.옥선화 (2003). 30대 기혼남녀의 초혼연령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1), 53-73.
- 하석철(2010). 부모 자녀 간 소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수혜자인 부모와 제공자인 자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4(2), 101-136.
- 한민아.한경혜(2004). 세대간 지원교환유형과 성인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35-152.
- 홍성희.곽인숙(2014). 성인자녀의 지원교환이 중년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70-91.
- 황정미(2005).'저출산'과 한국 모성의 젠더 정치. 한국여성학, 21(3), 99-132.
- Becker (1993). A treatise on the family. Boston: University Press
- Easterlin, R. A.(1973). relative economic status and the American fertility swings. in Family Economic Behavior, Eleanor B. Sheldon, ed. Philadelphia: Lippincott.
- Freedman(1976). Fertility, aspirations, and resources: A symposium on the Easterlin hypothesi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3/4), 411-415. https://doi.org/10.2307/1971618
- Hakim, C. (2003). A new approach to explaining fertility patterns: Preference theor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3(3), 349-374.
- Miller, W. B.(1992). Personality traits and developmental experiences as antecedents of childbearing motivation. Demography, 29(2), 265-285. https://doi.org/10.2307/2061731
- Olneck, M. R., & Wolfe, B. L.(1978). A note on some evidence on the Easterlin hypothesi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6(5), 953-958. https://doi.org/10.1086/260720
- Thompson, R., & Lee, C.(2011). Fertile imagination: young men's reproductive attitudes and preferences.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9(1), 43-55. https://doi.org/10.1080/02646838.2010.544295
- Torr, B. M., & Short, S. E. (2004). Second births and the second shift: a research note on gender equity and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0(1), 109-130. https://doi.org/10.1111/j.1728-4457.2004.00005.x
- Wright, R. E.(1989). The Easterlin hypothesis and European fertility rate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5(1), 107-122. https://doi.org/10.2307/1973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