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Soil Quality for Artificial Planting's Ground with Large Integrated Underground Parking Lot in Apartment Complex

대규모 지하통합주차장을 갖는 공동주택 인공식재지반 토양품질 개선방안

  • 강명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은엽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정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미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4.11.13
  • Accepted : 2015.01.29
  • Published : 2015.01.30

Abstract

Most landscape areas in apartment complex have been changing. Increasing the area of underground parking lots have an effect on apartment's circumstance. Natural ground was decreased so that the most space in apartment complex were converted into an artificial ground. To suggest the soil quality manag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situation about the soil quality of planting ground such as the quality standard as artificial soil, the difference of natural ground, and the difference of soil quality according to the work classification. As a result, the soil quality of the apartment complex with a large underground parking lot had low quality of soil.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relatively fine but soil chemical properties needed the quality control. The soil quality of natural ground and artificial grou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soil quality by the work classification also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we established improvements about standards of the chemical properties for quality management, the soil quality in the natural ground and applying the equivalent standard according to the work classification.

공동주택 아파트의 조경공간이 변화하고 있다. 지하주차장 조성 면적이 증가하면서 자연지반 면적이 감소되었다. 그 결과 단지 대부분의 조경공간이 인공지반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식재공간의 현재 토양품질 실태를 분석하여 단지 내 조경공간의 토양품질 관리를 위한 시사점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토양반입형태가 상이한 3개 사업지구 대상으로 총 17개의 물리성 및 화학성 항목을 조사하여 현 토양품질수준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통계분석(T-test 검증)을 수행하여 지반특성별과 공정주체별 토양 품질의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규모 지하통합주차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의 토양수준은 인공토양 식재기준과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가시적 판단이 용이한 물리성은 양호하나 화학성 품질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동주택 지반특성별 토양 품질과 담당공종별 토양 품질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유의수준 5%). 일반적으로 인공지반보다 자연지반의 식재환경이 양호하다는 인식이지만 실제 분석결과 토양품질에 있어서는 자연지반의 토양이 인공지반 토양 품질수준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자연지반 토양에 대한 관리기준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종별 담당부서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수준의 토양이 반입되고 있는 점은 바람직하나 그 토양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품질제고를 위한 관리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14), 조경설계기준.
  2. 김선혜(2004), "화단형태의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식재토양조성 및 관수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6): 12-18.
  3. 농촌진흥청(2011),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 기준.
  4. 농촌진흥청(2011), 비료의 품질검사 방법 및 시료 채취 기준, 농촌진흥청 고시 제2011-46호.
  5. 박준석, 박지혜, 주진희, 윤용한(2010), "옥상녹화 식재지반이 토양수분과 순비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8(3): 98-106.
  6. 이은엽, 문석기(2000), "옥상녹화공법의 배수층 구조별 식물생육효과",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4): 11-21.
  7. 조성호, 이경재, 한봉호, 노태환(2010), "공동주택단지의 지반구조에 따른 수목 생육 상태 비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 154-158.
  8. 한국토지주택공사(2014), 설계지침(조경).
  9. 한국토지주택공사(2014), 설계지침(토목).
  10. 한국토지주택공사(2014), LH 전문시방서(조경).
  11. 허근영, 심경구(2000), "인공지반의 녹화를 위해서 단용 또는 노지토양과 혼합하여 이용되는 인공토양의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8(2): 28-38.
  12. 홍성래, 정대영, 심상렬(2009), "공동주택단지의 주차장 유형에 따른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7(1): 4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