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ents Service of EBS in the Era of Smart Media

스마트 미디어 시대 EBS의 콘텐츠 서비스

  • 박주연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5.01.05
  • Accepted : 2015.01.28
  • Published : 2015.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contents service of EBS providing on the multi-platform in the era of smart media.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nts service of EBS in order to seek and suggest EBS's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smart media environment. As a result, EBS is providing real-time service, VOD and e-learning, but its current contents service is concentrated on providing e-learning service. This study recommended that EBS need to reinforce contents suitable for various multi-platform uses. It also suggested EBS need to cooperate with diverse webs service and SNS service in order to widen openness of its platform, and to provide not only diverse contents, but also applications by offering mobile and on-demand contents and service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at EBS is needed to move towards a more public and comprehensive media portal.

본 논문의 목적은 스마트 미디어 시대에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교육방송 EBS의 콘텐츠 서비스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유형은 무엇인지, 그리고 콘텐츠 서비스 전략과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EBS는 웹기반과 모바일 영역에서 EBS 방송 실시간 서비스, 다시보기 VOD, 그리고 e-learning 서비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콘텐츠를 다양한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역량은 잘 구축되어 있다고 판단되지만, EBS의 멀티 플랫폼 서비스가 e-learning측면에 치우쳐져 있어, EBS의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차별성을 인지시킬 수 있는 서비스 재편이 필요하다. EBS가 개방성을 확대하고 다양한 웹서비스와 SNS 서비스 등을 더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공영적 통합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역할 강화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2013.
  2. 최세경, "스마트 시대에 EBS의 플랫폼 및 콘텐츠 전략 방안", 한국언론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 발제문, 2012.
  3. 유승관, 안수근, "멀티 플랫폼 시대 케이블TV의 경쟁력 강화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pp.142-15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142
  4. H. Jenkins, Convergence Cult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5. R. Hobbs and A. P. Jense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1, No.1, pp.1-17, 2009.
  6. 박주연, 전범수, "방송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 활용 유형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제23호, pp. 263-285, 2011.
  7. Die Mediananstalten, Programmbericht 2013, Vistas: Berlin, 2013.
  8. Ofcom,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nnual Report, 2013.
  9. EBS, 2013사업연도 경영평가보고서, 한국교육방송공사, 2014.
  10. 유홍식, "공영방송 EBS의 성과와 방통융합시대를 여는 EBS의 역할", 한국언론학회 2010 봄철정기학술대회 발제문, 2010.
  11. 정용준, "교육방송의 공적 가치와 정체성 비교 분석", 미디어와 교육, 제1권, 제1호, pp.3-30, 2011.
  12. EBS, EPEI 조사보고서, 한국교육방송공사, 2014.
  13. EBS, CI 수용자조사 보고서, 한국교육방송공사, 2014.
  14. 임종수, "지상파 EBS 편성연구: 공사화 이후 장르/영역 분화의 성과와 한계",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3호, pp.130-171, 2013.
  15. 신정아, "TV 다큐멘터리의 온라인 소통에 관한 연구: 소셜 큐레이션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 봄철 정기학술대회 발제문, 2014.
  16. EBS, 2013 EBS 年誌, 한국교육방송공사, 2014.
  17. EBS, DAUM EBS 지식 운영보고, 콘텐츠사업부 내부자료, 한국교육방송공사, 2014.
  18. EBS, EBS-Naver 서비스 현황 보고, 콘텐츠사업부 내부자료, 한국교육방송공사, 2014.
  19. EBS, EBS 유투브 서비스 내부보고서, 한국교육방송공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