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rnamented Dagger Sheath from Gyerim-ro Tomb No.14, Gyeongju: On the Joining Process of Gold Granules

경주 계림로 14호분 장식보검 금립의 접합방법에 관한 고찰

  • Yu, Heisu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15.07.30
  • Accepted : 2015.09.11
  • Published : 2015.10.30

Abstract

In most gold objects crafted using the granulation technique that have been thus far discovered in the Korean Peninsula, granules were joined using a soldering alloy of gold and silver. However, it was recently revealed through SEM-EDS analysis performed on the ornamented dagger sheath from Gyerim-ro Tomb No.14 in Gyeongju that the gold granules were joined to the surface of this sheath using an entirely different technique. The gold granules on the Gyerim-ro dagger sheath are evenly sized and shaped, the surface has a dendritic texture. Dendritic textures are a characteristic feature of metal alloys, not observed in pure metals. As a matter of fact, the gold granules were made of a ternary alloy of 77wt% Au, 18wt% Ag and 4wt% Cu. Due to this component, the alloy has a melting point below 1000℃ (approximately 980℃),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1064℃, the melting temperature of pure gold. This makes it possible to join the gold granules directly to the surface of the sheath by briefly heating them to high temperature, without the use of soldering or any other media. When examined through SEM image, the surface of the sheath showed no traces of soldering, it suggests that the granules were joined through unaided fusion.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출토된 누금세공유물의 접합방법을 살펴보면 금과 은을 합금한 재료를 사용한 금납법으로 접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주 보문동합장분 출토 금제태환이식(국보 제90호), 호암미술관 소장 금제세환이식과 금제태환이식(보물 제557호) 그리고 통일신라시대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출토 금제풍탁(金製風鐸) 등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주 계림로 14호묘 출토 장식보검(裝飾寶劍)의 금립 접합방법은 지금까지 확인된 방식과는 다르다는 것을 SEM-EDS 분석으로 알 수 있었다. 계림로 장식보검의 금립은 크기와 형태가 매우 고르고, 표면에 수지상 조직(樹枝狀組織)을 갖고 있다. 순수한 금속에서는 이 수지상 조직이 나타나지 않으며, 합금된 물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금립의 조성은 Au 77wt%, Ag 18wt%, Cu 4wt%의 3원계 합금물질이다. 이 성분 특성(합금 금속)으로 인하여 순수한 금의 녹는점인 1064℃ 보다 훨씬 더 낮은 온도인 1000℃ 미만(약 980℃)에서도 금속의 용해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금땜이나 다른 매개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순간적으로 고온을 가하게 되면 금립의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SEM 이미지 관찰에서도 땜의 흔적을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것으로 보아 융접법에 의한 접합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