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Participatory Motivation of learner in Fashion Major Degree Program i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학점은행제 패션전공 학위과정 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 Yi, Hye-Yun (Dept. of Apparal Coordination, Jeonju Kijeon College) ;
  • Park, Myung-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이혜윤 (전주기전대학 의상코디네이션과) ;
  • 박명자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5.09.07
  • Accepted : 2015.10.27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ajors on Learning Participatory Mo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of Universities and Job Technical Colleges that are operating academic degrees on bachelor of fashion and associate of industrial arts i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romote efficient operation and devise a strategy for reinforc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individual Learning Participatory Motivation and purpose of learners. In this study,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into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of Universities and Job Technical Colleges operating academic degrees i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Degrees were divided into bachelor of fashion and associate of industrial arts, and majors were divided into fashion design and fashion business for bachelor of fashion and fashion design and fashion business for associate of industrial arts. Looking at Learning Participatory Motivation of learners, factors selected by learners as considerations for registration and selection of currently affiliated educational institution were found to be 'acquisition of degree at a university' and 'acquisition of degree' for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of Universities and fashion design major, and 'for employment' and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and skill' for Job Technical Colleges and fashion business major.

Keywords

References

  1.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4). 2014년 학점은행제 신규 교육기관 역량강화 워크샾 자료집. 서울: 국가평생교육원.
  2. 권순봉. (2007). 전문대학생과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비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인탁. (2013). 대학평생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1(3). 139-164.
  4. 김민서. (2009). 학점은행제 체육계열 학습자의 교육 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민. (2013). 학점은행제 교육기관 유형별 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만족도 비교.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은경, 이유경, 정화연, 한자영, 황선아. (2010). 패션 CS(Costumer Service)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2(2), 139-151.
  7. 서동균. (2013).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기관만족이 지각된 학업 성취도, 재등록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학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안정은. (2012). 외식 조리직업전문학교의 특성이 학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점은행제 교육생을 중심으로. 청운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육광심. (2008). 학점은행제 관광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연구 : 직업전문학교를 중심 으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은주희, 임규연. (2013).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참여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25(2). 479-499.
  11. 이정은. (2005).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점취득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현정. (2013).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은희. (2004). 성인대학원생의 학습과 변화.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정화연. (2012). 전문대학교 패션관련과의 전공교과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3). 23-36.
  15. 한경희. (2014). 전문대학 패션디자인전공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211-225.
  16. 한상훈. (2003).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9(3), 225-245.
  17.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2014). http://www.cb.or.kr
  18. Houle. C. O. (1961). The inquiring mind.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 Kubat,U.(2011).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 values, perceived value of education and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and Management Studies, 3(1), 407-420.
  20. Woolfolk, A. (2003). The therapeutic ideology of moral freedom. Journal of Classical Sociology, 3(3), 247-262. https://doi.org/10.1177/1468795X030033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