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Sleeve Pattern of Tailored Jacket of Females in their Twenties

20대 여성의 테일러드 재킷 소매패턴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5.06.09
  • Accepted : 2015.08.13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sleeve pattern of tailored jacket which shows seamlessly beauty of females in their twenties who have relatively smaller change of body compared people of other ages and has outstanding functional operation. So we selected a pattern of manufacturer who received highest score after evaluating wearing condition of three types of jacket in the industry, whose targets are career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en tested its appearance and functional operation of 6 experimental jackets with armhole depth of B/4 and B/4-1(cm) along with sleeve cap height of A.H/3, A.H/3+1, A.H/3+2. As a result, the pattern which has good result of external appearance evaluation were sleeve with armhole depth of B/4-1 and sleeve cap height of A.H/3+2 as well as sleeve with armhole depth of B/4-1 and sleeve cap height of A.H/3+1. The pattern of good result for movement adaptation were sleeve with armhole depth of B/4-1 and sleeve cap height of A.H/3 as well as sleeve with armhole depth of B/4 and sleeve cap height of A.H/3. So we could find that the larger is the armhole depth and height of sleeve, the better influence on adaptability of jacket it makes and that the smaller is the armhole depth and height of sleeve, the better influence on movement adaptability of jacket it makes. It has been proved that armhole depth of tailored jacket of females in their twenties doesn't affect significantly on its appearance when designing it but it makes good influence on movement adaptability when experimental clothing has armhole depth of B/4-1and that sleeve cap height of A.H/3 that is 1cm shorter than A.H/3+1 which is used in industry makes good influence on appearance and functional operation.

Keywords

References

  1. 구본정. (2007). 신축성 유무와 소매산의 높이에 따른 동작기능성에 관한 연구 : 여고생 하복 블라우스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효숙, 이소영. (2007). 블라우스 패턴 북. 서울: 경춘사.
  3. 김희진. (2003). 20대 여성을 위한 재킷 원형 비교.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구영. (2008). 여성복 테일러드 재킷의 칼라제작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6). 947-954.
  5. 도정옥. (2003). 소재의 신장률에 따른 소매원형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현식. (2004). 20대 여성의 재킷패턴 설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문남원, 조훈정. (2001). 두 장 소매의 패턴메이킹에 관한 비교 연구. 복식문화연구, 9(5), 700-711.
  8. 사이즈코리아. (2010). 사이즈코리아데이터. 자료검색일 2014.9.02., 자료출처 http://sizekorea.kats.go.kr/
  9. 서완석, 김숙진. (2014). 국내 여성복 브랜드재킷의 맞음새 평가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15-29.
  10. 신장희. (2014). 20대 여성을 위한 재킷패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3), 1-13.
  11. 전은정. (2004). 중년여성의 재킷 맞음새 향상을 위한 그레이딩 룰 값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정란. (2003). 팔 유형 특성에 따른 소매 적합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2), 219-228.
  13. 박상희, 최정욱. (2008). 17세기-19세기 남성 재킷류의 소매패턴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2), 105-115.
  14. 박선경. (2004). 여성복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착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매산 높이변화에 따른 기능성 측정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2(2), 249-261.
  15. 정두이. (2011). 테일러드 재킷 꺽임선에 따른 라펠과 윗칼라의 조화에 관한 패턴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길순, 류신아. (2009). 소매산의 높이와 신축성 유무에 따른 동작기능성에 관한 연구-여고생 여름 교복 블라우스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7(6), 992-1008.
  17. 최창숙. (2012). 한국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의복 선호도 분석에 따른 재킷 제작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허미옥, 구미지, 황진숙. (2000). 진동깊이에 따른 길원형의 동작 적합성 및 심미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2), 164-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