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ation of NCS based Vocational Curriculum Procedures Developing Models Recognized b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Experts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 모형의 타당화

  • Received : 2015.01.06
  • Accepted : 2015.03.23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CS-based vocational curriculum procedures developing models recognized by experts in the National Skill Standards and to verify them. As for a research method for efficiently achieving this study, Delphi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ree times based on the result of preliminary Delphi investigation, contents of in-depth interview (review and advice), and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NCS in Korea and abroad. Major results of study in regard of validation of NCS-based vocational curriculum procedures developing models recognized by experts of National Skill Standards are as follows. First, validity of conceptual model(plan) of NCS-based vocational curriculum developing procedures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implementing it on 10 members of verification for Delphi preliminary investigation tools, the average was higher than 4.70, and validity of contents was turned out to be outstanding in 1.00. Secondly, validity of conceptual model(plan) of NCS-based vocational curriculum developing procedures was verified by using Delphi preliminary investigation tools.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it in order on 10 members of verification for Delphi preliminary investigation tools, validity of contents on questions in each area from the development procedures model(plan) was all 1.00, and appropriateness of contents on the components was turned out to be outstanding in 1.00. In addition, validity of contents on interrelation and comprehensiveness of components in the development procedures model(plan) was all turned out to be very satisfying in 1.00. Third, Delphi investigation was implemented in three rounds on 26 Delphi panel members for the verification. As a result consistency rate of interrelation and comprehensiveness among questions in each area of development procedures model(plan), components on the contents, and elements was turned out to be outstanding in .75 from all of three rounds. Here, consistency rate from all three rounds was turned out to be 1.00, and convergence rate was shown to be .00 that very well satisfied the conditions(except for 1 question out of 29).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opinion from Delphi panel members was completely consistent in the third round of Delphi investigation research. Such a result in the study was from how Delphi selection criteria were strictly reinforced, and, at the same time, implies how will of participation of Delphi panel members was important.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NCS 국내 외 관련 선행 및 문헌 연구 고찰, 전문가의 심층 면담(검토 자문) 내용과 델파이 예비 조사를 거친 결과를 토대로 델파이 연구를 3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 모형의 타당화에 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개념적 모형(안)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델파이 예비 조사 도구 검증 위원 10명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전체 평균이 4.70 이상이고 내용 타당도는 모두 1.00으로 매우 타당하게 나타났다. 둘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절차 모형(안)에 대한 타당성을 델파이 예비 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델파이 예비 조사 도구 검증 위원 1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순차적으로 검증한 결과, 개발 절차 모형(안)의 영역별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가 모두 1.00이고 내용의 구성 요소에 대한 내용 타당도 또한 모두 1.00으로 매우 타당하였다. 그리고 개발 절차 모형(안)의 구성 요소 간 상호 연계성과 통합성에 대한 내용 타당도도 모두 1.00으로 조건을 만족하는 매우 타당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델파이 패널 위원 26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본 조사를 제1, 2, 3 라운드별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개발 절차 모형(안)의 영역별 문항, 내용의 구성 요소, 구성 요소 간 상호 연계성과 통합성에 대한 제1, 2, 3 라운드의 합의도가 모두 .75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타당하였다. 여기서 제3 라운드의 합의도가 전체 1.00이며 수렴도 역시 모두 .00으로 조건을 만족하는 매우 타당한 결과(29개 문항 중 1개 문항 제외)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제3 라운드 델파이 조사 연구에서 델파이 패널 위원들의 의견이 완전하게 합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당초 델파이 패널 선정 기준을 엄격하게 강화한 결과이며, 동시에 델파이 패널 위원들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진현, 최성주(2012). 용접분야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을 위한 능력단위 도출. 대한용접.접합학회지, 30(2), 5-10.
  2. 교육부(2013).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교육부와 고용노동부가 함께 국가직무능력표준 구축 본격 가동. 교육부, 보도자료(2013. 4. 22.).
  3. 교육부, 고용노동부(2013). 자격기본법(법률 제11722호).
  4. 권오정(2005).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과 활용에 대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권이종 외(1990). 기본수업 모형의 이론과 실제 II.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6. 김덕기(2005). 산업부문별 인적자원개발과 국가직무능력표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김동연, 김진수(2014).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모형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2), 101-121.
  8. 김동연, 오승균, 구자길, 김진수(2014).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1), 143-163.
  9. 김장호(2005).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김진수(2012).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서울: 웅보출판사.
  11. 김진실(2011). 건축시공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27(7), 167-174.
  12. 김판욱 외(2010). 능력 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서울: 양서원.
  13. 나승일(1999). 정보화 사회의 초중고학생들을 위한 교양농업교육의 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1(1), 21-41.
  14. 나승일 외(2007). 국가직무능력표준 실용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191-215.
  15. 박기문(2011). 체제 분석적 접근에 기반한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 모형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6. 박동열 외(2005).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교육훈련과정 개발 매뉴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신명훈, 김현수, 박종성(2000). 우리나라 자격 제도의 개편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안성로(2009). 국가직무능력표준(KSS)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오수경(2013). 전자정보통신 산업 현장 기반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방안.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20. 오승균, 김진수(2008). 지식기반사회에서 공업교육 전문가가 인식하는 공업계열 전문대학의 역할과 기능. 직업교육연구, 27(1), 91-116.
  21. 은태욱(2012).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2. 이건남(2008). 고등학생의 대학 전공 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3. 이규녀(2010). 인재개발 사이버 교육 프로그램의 과정중심 평가준거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4. 이기우(201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과 활용. 한국산업인력공단.
  25. 이소이(2011). STEM 통합 접근의 기술 수업 설계 모형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6. 이영현 외(2002). 능력중심 사회 구현을 위한 자격 제도의 방향과 과제. 한국직업능력발원.
  27. 이용균(2010). 전문대학의 미래 예측 및 구조 조정 방향에 관한 델파이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8. 이용순 외(2004).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V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9.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30. 주인중, 박종성, 김덕기(2006). 반도체 소자, 설계 개발 생산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 시안 개발 연구. 진로 교육 연구, 19(2), 17-31.
  31. 주인중, 조정윤, 임경범(201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사업의 현안 및 정책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2. 한국산업인력공단(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33. 함승연(2005). 전문대학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 인증 준거에 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34. AQF. (2014). Australian Qualifications Framework levels. Retrieved June 1, 2014 from the World Wide Web: http://aqf.edu.au/aqf.
  35. Dalkey, N. C. (1969). The Delphi method: An experimaental study of group opinion. The RAND corp., RM-5882-PR.
  36. Finch, C. R., & Crunkilton, J. R. (1999). Curriculum development o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ion: planning, content, and implementation(5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37. KRIVET. (2014). NCS. Retrieved June 1, 2014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krivet.re.kr.
  38.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8.
  39. Likert, R. (1932).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Archives. of Psychology, No. 140.
  40. Mager, R. F., & Beach, K. M. (1967). Developing Vocational Instruction. Fearon.Pitman Publishers, Inc.
  41.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3rd ed.). New York: McGraw Hill.
  42. Ofqual. (2014). Comparing qualification levels. Retrieved June 1, 2014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 aqf.edu.au/aqf.
  43. Peterson, R. A. (1994). A meta-analysis of Cronbach's coefficient alpha.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2), 381-391. https://doi.org/10.1086/209405
  44. Seels, B., & Glasgow, Z. (1998). Making Instructional Design Decisions (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45. Stufflebeam, D. L. (1999). Based on The Program Evaluation Standard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