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상진.황정원 (2010). 학교책무성 체제에서 학업성취도에 기초한 학교성과지표는 중등학교 학교평가 지표로서 적합한가? : 학교효과 이론에 의한 타당도 검증, 교육학연구, 48(1), 23-52.
- 김근진.이현철 (2010). 사립학교가 중학교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교육행정학연구, 31(1), 31-52.
- 김기석 외 (2009). 하향평준화 현상의 실증 분석 - 고입 전형방식에 따른 학생 성적 변화의 비교, 교육사회학연구, 19(1), 29-54.
- 김달효 (2006). 능력별 집단편성의 비판적 이해. 서울 : 시그마프레스.
- 김대석.조호제 (2013).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6(2), 1-24.
- 김민성 (2010). 초.중.고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수준, 학교수준 변인의 효과: 학교급별, 상.하위 학교집단 간 비교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자료 분석 심포지엄, OMR 2010-55.
- 김소영.김진한 (2011). 학교 특성이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9(4), 205-229.
- 김양분, 박병영, 남궁지영, 황지희 (2007).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중학교 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7-21.
- 김재춘 (1997). 다시 생각해 본 수준별 교육과정 :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편성, 운영논의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15(2), 19-50.
- 남궁지영, 김위정, 김양분 (2012).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 1-3주기 초.중.고등학교 종합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2-23.
- 남궁지영.김위정 (2014).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별 특성 비교 분석, 교육평가연구, 27(1), 231-254.
- 박현정 (2010).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교육평가연구, 23(4), 887-907.
- 박혜숙 (2012). 수학교과 사교육 경험패턴, 성별, 자율학습시간과 수업이해도 탐색, 교육심리연구, 26(3), 695-716.
- 배호순(2000).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국내외 연구성과의 메타분석, 한국교사교육, 17(1), 279-313.
- 성열관 (2008). 수준별 교육과정의 감환된 의미로서 영어, 수학 이동수업의 효과성 검토, 교육과정연구, 26(2), 167-189.
- 안종수 (2014), 학급 내 수준별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 및 협동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465-492.
- 이현철 (2010).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종단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4(1), 1-11.
- 임선아 (2011). 부모와 학생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25(4), 811-833.
- 임현정, 김양분, 장윤선, 기경희 (2008).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초등학교 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8-3-2.
- 임현정, 김양분, 신혜숙, 신종호, 이광현(2011).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III): 초등학교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1-22.
- 정혜경 (2012). 비실험 연구에서 인과효과 추정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교육학연구, 50(3), 29-50.
- 황여정 (2008).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연구, 14(1), 71-101.
- 황혜정 (2006), 국가 수준에 준하는 수학과 수준별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3), 317-345.
- Ainsworth, J. W. (2002). Why does it take a village? The mediation of neighborhood effects on educational achievement, Social Forces, 81(1), 117-152. https://doi.org/10.1353/sof.2002.0038
- Alexander, L., & Simons, J. (1975). The Determinants of School Achiev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 Bank Staff Working Paper.
- Coleman, J. S. et al.(196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 W.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 Coleman, J. S. et al (1982). Achievement and Segregation In Secondary Schools: A Further Look At Public And Private School Differences, Sociology of Education, 53, 162-182.
- Finn, J. D. & Rock, D. A. (1997). Academic success among students at risk for school failur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2), 79-92. https://doi.org/10.3200/JOER.98.2.79-93
- Guay, F., Larose, S., & Boivin, M. (2004). Academic self-concept and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 A ten-year longitudinal year, Self and Identity, 3, 53-68. https://doi.org/10.1080/13576500342000040
- Hoffer et al. (1985). Achievement Growth In Public And Catholic Schools, Sociology of Education, 58, 74-97. https://doi.org/10.2307/2112249
- Hoy & Miskel (2005).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7th ed. The McGraw-Hill.
- Keliher, A. C. (1931). A critical study of homogeneous grouping, Bureau of Publication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 Kulik, J. A. (1991). Findings on grouping are often distorted : Response to Allan, Educational Leadership, 48(6), 67.
- Marsh, H. W. & Yeung, A. S. (1997). Causal effects of academic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longitudinal data,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1). 41-54.
- McDill & Nariello (1986). Performance Standards, Student Effort On Homework, And Achievement, Sociology of Education, 59, 18-31. https://doi.org/10.2307/2112483
- Miller, W. S., & Otto, H. J. (1930). Analysis of experimental studies in homogeneous group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1, 95-102. https://doi.org/10.1080/00220671.1930.10880020
- Oakes, J. (1985). Keeping track, New Haven CT : Yale University Press.
- Rosenbaum, P.R. and Rubin, D.B. (1983).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70, 41-55. https://doi.org/10.1093/biomet/70.1.41
- Stuart E.A. (2007). Estimating causal effects using school-level data sets, Educational Researcher, 36(4), 187-198. https://doi.org/10.3102/0013189X07303396